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公曰 君奭 在昔上帝 하고 申勸之德하사 其集大命于厥躬하시니라
[傳]在昔上天 割制其義하고 重勸文王之德이라 能成其大命於其身이라 謂勤德以受命이라


은 말씀하였다. “君奭아! 옛날 상제께서 그 〈를〉 割制(판단)하고, 거듭 寧王을 권면해서 大命을 그 몸에 모아주셨다.
옛날 上天이 그 割制하고 거듭 文王을 권면하였기 때문에 능히 大命을 그 몸에 이루었다는 것이다. 덕을 열심히 닦아서 천명을 받은 것을 이른다.


역주
역주1 : “蘇軾(≪書傳≫)은 “天降割喪”으로, 林之奇(≪尙書全解≫)는 蘇軾처럼 〈大誥〉의 “天降割于我家 不少延之割”이란 ‘割’로, 呂祖謙은 “裁割其偏”으로 보았고, 蔡傳은 蘇軾을 따랐다.
역주2 寧王 : 蔡傳에서 ‘寧王’을 武王으로 본 것에 대하여 陳師凱(≪書蔡氏傳旁通≫)는 “‘寧王’을 孔注(孔傳)는 文王으로 여겼는데, 蔡傳은 武王으로 여겼으니, 과연 ‘武王’이라면 아래에 ‘惟文王尙克修和我有夏’란 말을 접하였으니, 반드시 缺文이 있을 것이다.[寧王 孔注以爲文王 蔡傳以爲武王 果武王也則 下接惟文王尙克修和我有夏 必有缺文]”라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周나라가 天下를 얻은 것은 비록 武王이 한 일이지만, 그 기반은 실로 文王이 닦은 것을 감안하면 ‘寧王’을 ‘文王’으로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宋代 夏僎(≪尙書詳解≫)은 ‘寧王’을 文王과 武王을 竝稱한 것으로 보았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