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亦惟純佑하고 秉德迪知天威 乃惟時昭文王일새라
[傳]文王 亦如殷家 惟天所大佑하고 文王 亦秉德하여 蹈知天威 乃惟是五人 明文王之德일새라
[傳]言能明文王德하여 蹈行顯見하여 覆冒下民하고 彰聞上天 惟是故 受有殷之王命이라
○冒 馬作勖이니 勉也
[疏]‘又曰’至‘命哉’
○正義曰:文王旣有賢臣五人, 又復言曰 “我之賢臣猶少, 無所能往來.”
五人以此道法, 敎文王以微蔑精妙之德, 下政令於國人. 德政旣善, 爲天所佑.
文王亦如殷家, 惟爲天所大佑, 文王亦秉德, 蹈知天威. 文王德如此者, 乃惟是五人明文王之德使然也.
五人能明文王德, 使蹈行顯見, 覆冒下民, 聞於上天, 惟是之故, 得受有殷王之命哉. 言文王之聖, 猶須良佐, 我所以留輔成王.
[疏]○傳‘有五’至‘良佑’
○正義曰:“無能往來”一句, 周公假爲文王之辭, 言文王有五賢臣, 猶恨其少.
又復言曰 “我臣旣少, 於事無能往來.” 謂去還理事, 未能周悉, 言其好賢之深, 不知厭足也.
‘迪’, 道, ‘彜’, 法也. ‘蔑’, 小也, 小謂精微也. 而五人以此道法, 敎文王以精微之德, 用此精微之德, 下敎令於國人.
言雖聖人, 亦須良佐, 以見成王須輔佐之甚也. 鄭玄亦云 “蔑, 小也.”


文王이〉 또한 〈나라가 하늘의〉 큰 도움을 받듯이 하고, 을 가지고 하늘의 위엄을 적실히 알게 된 것은 바로 이 〈다섯 사람이〉 文王〈의 을〉 밝혔기 때문이다.
文王이 또한 나라가 하늘의 큰 도움을 받듯이 하고, 文王이 또한 을 가지고 하늘의 위엄을 적실히 알게 된 것은 바로 이 다섯 사람이 文王을 밝혔기 때문이란 것이다.
〈다섯 사람이 文王을 밝히어〉 지극히 행하여 드러내서 〈백성에게〉 덮여지고 上帝에게 알려지게 하였다. 이 때문에 나라의 왕명을 받으신 것이다.
능히 文王을 밝히어 지극히 행하여 드러내서 백성에게 덮여지고 하늘에 알려지게 하였다. 이 때문에 나라의 王命을 받게 된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는 馬融이 ‘’으로 적었는데, ‘’의 뜻이다.
의 [又曰]에서 [命哉]까지
正義曰文王이 이미 어진 신하 다섯 명을 가졌는데도 또 다시 말씀하기를 “나의 어진 신하가 외려 적어서 왕래할 수가 없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다섯 사람들은 이 道法을 가지고 文王을 은미하고 精妙으로써 가르쳐서 政令國人에게 내려가도록 하였다. 德政이 이미 선하게 베풀어지자 하늘이 도운 바가 되었다.
文王은 또한 나라가 하늘의 큰 도움을 받듯이 하고, 文王은 또한 을 가지고 하늘의 위엄을 적실히 알았다. 文王의 덕이 이와 같은 것은 바로 이 다섯 사람이 文王을 밝혀 그렇게 되도록 했기 때문이다.
다섯 사람이 능히 文王의 덕을 밝히어 지극히 행하여 드러내서 백성에게 덮여지고 上天에게 알려지게 하였으니, 이런 때문에 나라의 왕명을 받게 된 것이다. 文王 같은 성인도 외려 어진 보좌를 필요로 했으니, 그래서 내가 머물러 成王을 보필하려 한다고 말한 것이다.
의 [有五]에서 [良佑]까지
正義曰:“無能往來”란 1周公文王의 말씀을 빌려서 한 말인데, 文王은 다섯 어진 신하를 가졌어도 외려 그 숫자가 적음을 한스러워했다고 말한 것이다.
또 다시 말씀하기를 “나의 신하가 숫자가 적어서 일을 함에 있어서 능히 왕래할 수 없다.”라고 하였으니, 갔다 왔다 하며 일을 다스릴 때에 능히 빈틈없이 하지 못함을 이른 것인데, 어진 이를 좋아하는 생각이 너무도 깊어서 만족해할 줄 모름을 말한 것이다.
’은 의 뜻이고, ‘’는 의 뜻이다. ‘’은 의 뜻인데, ‘’는 精微함을 이른다. 다섯 사람이 이 道法을 가지고 文王精微으로써 가르쳤으므로 이 精微을 써서 敎令國人에게 내려가게 한 것이다.
아무리 聖人이라 하더라도 또한 어진 보좌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말해서 成王에게 輔佐가 필요함의 심각성을 보인 것이다. 鄭玄도 “‘’은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亦惟純佑……惟時受有殷命哉 : 蔡傳은 “文王은 이와 같은 다섯 신하를 소유하였기 때문에 또한 殷나라가 하늘이 도와준 명이 순일하여 著姓한 百官과 王人들이 德을 가지지 않은 이가 없었던 성세를 만났을 때와 같았음을 말한 것이다. 위에서 이미 뒤집어 말하기를 ‘文王이 만일 이와 같은 다섯 신하들이 常敎로 계도함이 없었더라면 또한 德이 아래로 國人에게 내려가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또 바로 말하기를 ‘하늘이 곧 文王을 도운 명이 순일한 것은 이와 같이 德을 가진 신하들이 덕을 지극히 행하고 하늘의 위엄을 실제로 알았는지라, 이러므로 文王을 밝게 드러내어 그 德을 계도해서 위에 나타나고 아래에 덮여져 上帝에게 알려지게 했기 때문이다.’라고 한 것이다. 이 때문에 드디어 殷나라의 天命을 받게 된 것이다.[言文王有此五臣者 故亦如殷爲天純佑命 百姓王人 罔不秉德也 上旣反言 文王若無此五臣 爲迪彛敎 則亦無德下及國人 故此又正言 亦惟天乃純佑文王 蓋以如是秉德之臣 蹈履至到 實知天威 以是 昭明文王 啓迪其德 使著見於上 覆冒於下 而升聞于上帝 惟是之故 遂能受有殷之天命也]”라고 풀이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