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公曰 嗚呼 어다 我受命 無疆惟休 亦大惟艱이라
[傳]以朝臣無能立功至天이라 其當視於此어다 我周受命無窮惟美 亦大惟艱難이니 不可輕忽하여 謂之易治
告君乃猷裕하노니 不以後人迷하노라
[傳]告君汝謀寬饒之道하노니 我留與汝輔王하여 不用後人迷惑이라 欲敎之
[疏]‘公曰嗚呼’至‘人迷’
○正義曰:周公歎而呼召公曰 “嗚呼, 君, 我以朝臣無能立功至天之故, 故君其當視於此. -謂視此朝臣無能立功之事.-
我周家受天之命, 無有境界惟美, 亦大惟艱難, 不可輕忽, 謂之易治.
我今告君, 汝當謀寬饒之道以治下民, 使其事可法, 我不用使後世人迷惑, 故欲敎之也.”
[疏]○傳‘告君’至‘敎之’
○正義曰:‘猷’, 訓爲謀. “告君汝謀寬饒之道. 故當以寬饒爲法. 我留與汝輔王, 不用使後人迷惑怪之.
無法則迷惑, 故欲與汝作法以敎之.” 鄭云 “召公不說似隘急, 故謀於寬裕也.”


은 말씀하였다. “아! 은 이 때문에 이 일을 눈여겨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가 天命을 받은 것은 무궁한 아름다움이기도 하지만, 또한 굉장히 어려운 일이기도 하니라.
朝臣 중에 능히 을 세워 하늘에 이른 자가 없기 때문에 〈은〉 마땅히 이 일(朝臣을 세우지 못한 일)을 눈여겨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가 天命을 받은 것은 무궁한 아름다움이기도 하지만, 또한 굉장히 어려운 일이기도 하니, 경홀히 여겨 다스리기 쉬운 것이라 말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에게 너그러운 방법을 모색할 것을 당부하노니, 나는 후인을 미혹하지 않게 하려 하느니라.”
너에게 너그러운 방법을 모색할 것을 당부하노니, 나는 머물러서 너와 함께 을 보필해서 후인을 미혹하지 않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너와 함께 법칙을 만들어〉 그를 가르치고자 한다는 것이다.
의 [公曰嗚呼]에서 [人迷]까지
正義曰周公이 탄식하고 나서 召公을 불러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아, 아! 나는 朝臣 중에 능히 을 세워 하늘에 이른 자가 없기 때문에 은 마땅히 이것을 눈여겨보아야 한다. -이 朝臣 중에 능히 공을 세운 자가 없는 점을 눈여겨볼 것을 이른다.-
우리 나라가 하늘의 을 받은 것은 무궁한 아름다움이기도 하지만, 또한 굉장히 어려운 일이기도 하니, 경홀히 여겨 다스리기 쉬운 것이라 말해서는 안 된다.
나는 지금 에게 고하노니, 너는 마땅히 너그러운 방법을 모색하여 下民을 다스리되 그 일이 법칙이 될 수 있게 해야 한다. 나는 후인을 미혹하지 않게 하려 하기 때문에 이들을 가르치고자 한다.”
의 [告君]에서 [敎之]까지
正義曰:‘’는 (모색)의 뜻으로 풀이한다. “ 너에게 너그러운 방법을 모색할 것을 당부한다. 그러므로 마땅히 너그러움으로 법칙을 삼아야 한다. 나는 머물러서 너와 함께 을 보필해서 후인으로 하여금 미혹하거나 괴이하게 여기지 않게 할 것이다.
법칙이 없으면 미혹하기 때문에 너와 함께 법칙을 만들어 그들을 가르치고자 한다.” 鄭玄은 “召公이 좋아하지 않은 것은 속이 좁고 급한 것 같다. 그러므로 너그러운 방법을 모색하도록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肆其監于玆 : 蔡傳은 ‘肆’를 大의 뜻으로 보아 “‘玆’는 윗글에 말한 것을 가리키니, 周公이 탄식하고 나서 召公이 윗글에서 말한 것을 크게(깊이) 살펴보도록 하려고 한 것이다.[玆指上文所言 周公歎息 欲召公大監視上文所陳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今)[令] : 저본에는 ‘今’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宋兩浙東路茶鹽司本‧宋慶元間建安魏縣慰宅本에 의거하여 ‘令’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