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公曰 敷乃心하사 乃悉命汝하사 作汝民極하시고
[傳] 布其乃心爲法度하사 乃悉以命汝矣하사 爲汝民立
[傳]汝以前人法度 明勉配王하고 在於誠信 行此大命而已
하여 丕承無疆之恤이라
[傳]惟文王聖德하여 爲之子孫 無忝厥祖하여 大承無窮之憂
[疏]‘公曰前’至‘之恤’
○正義曰:周公又言曰 “前人文武, 布其乃心制法度, 乃悉命汝, 爲民立中正之道矣, 治民之法, 已成就也.
汝當以前人之法度, 明自勉力, 配此成王, 在於誠信, 行此大命而已. -言已有舊法, 易可遵行也.-
惟文王聖德, 造始周邦, 爲其子孫, 欲令無忝厥祖, 大承無窮之憂. 故我與汝不可不輔.”
[疏]○傳‘前人’至‘正矣’
○正義曰:‘乃’, 緩辭, 不訓爲汝.
[疏]○傳‘汝以’至‘而已’
○正義曰:‘勖’, 勉也, ‘偶’, 配也, ‘亶’, 信也. 汝當以前人法度, 明自勉力, 配成王, 在於誠信, 行大命而已.
言其不復須勞心. 傳以‘乘’爲行, 蓋以乘車必行, 故訓‘乘’爲行.


은 말씀하였다. “前人인 〈文王武王께서〉 마음을 펼쳐 〈법도를 만들어서〉 모든 것을 너에게 명하시어 너를 백성들의 中正(표본)으로 세우시고,
前人文王武王이 마음을 펼쳐 法度를 만들어서 모든 것을 너에게 명하시어 너를 백성들의 中正으로 세우셨다는 것이다.
‘너는 분명하게 힘써서 을 보좌하고, 誠信에 있어서는 이 大命을 행해야 할 뿐이다.’라고 하셨으니,
너는 前人法度를 가지고 분명하게 힘써 을 보좌하고, 誠信에 있어서는 이 大命을 행할 뿐이란 것이다.
文王을 생각하여 무궁한 걱정을 크게 이어받아야 한다.
文王聖德을 생각하여 자손 된 자는 그 조상을 욕되게 하지 말아서 무궁한 걱정을 크게 이어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의 [公曰前]에서 [之恤]까지
正義曰周公은 또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前人文王武王께서 마음을 펼쳐 法度를 제정하여 모든 것을 너에게 명하시어 백성들을 위해 中正(표본)의 를 세우셨으니, 백성을 다스리는 법이 이미 성취되었다.
召公 너는 응당 前人法度를 가지고 분명하게 스스로 힘써 成王을 보좌하고, 誠信에 있어서는 이 大命을 행할 뿐이라 경계하셨다. -이미 舊法이 있으니 쉽게 遵行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文王께서 聖德을 가지고 나라를 창시하신 것을 생각하여 자손 된 자는 그 조상을 욕되게 하지 말아서 무궁한 걱정을 크게 이어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나와 너는 〈成王을〉 보필하지 않을 수 없다.”
의 [前人]에서 [正矣]까지
正義曰:‘’는 緩辭이지, 의 뜻으로 풀이한 것이 아니다.
의 [汝以]에서 [而已]까지
正義曰:‘’은 의 뜻이고, ‘’는 의 뜻이고, ‘’은 의 뜻이다. “너는 응당 전인의 법도를 가지고 분명히 스스로 힘써서 成王을 돕고, 誠信에 있어서는 大命을 행해야 할 뿐이다.”란 것이다.
다시 勞心할 필요 없음을 말한 것이다. 에서 ‘’을 의 뜻으로 풀이하였으니, 아마 수레를 타면 반드시 행차하기 때문에 ‘’을 의 뜻으로 풀이한 모양이다.


역주
역주1 前人 : 蔡傳은 ‘前人’을 武王으로 보고 이하의 말들은 武王의 顧命으로 보았다.
역주2 前人文武 : 孔傳처럼 ‘前人’을 文王과 武王으로 보면, 召公에게 당부하는 주체가 일관성이 없게 되는 것이 문제이다.
역주3 中正 : 古本에는 ‘正’ 아래에 ‘之敎’ 두 글자가 있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4 曰汝明勖偶王 在亶乘玆大命 : 蔡傳은 “〈嗣王이 아직 어리므로〉 너는 응당 분명하게 힘써서 왕을 보필하고, 피차간에 있어서 서로 신뢰하며 〈마음과 힘을 합하여〉 이 大命(天命)을 수레에 싣듯 안전하게 간직해야 할 것이니”로 풀이하였다.
역주5 乘玆大命 : 蘇軾‧林之奇‧夏僎은 ‘乘’을 乘載의 뜻으로 보았고, ‘大命’은 蘇軾과 林之奇는 天命으로, 夏僎은 ‘文王과 武王의 막대한 命’으로 보았는데, 蔡傳은 蘇軾을 따랐다.
역주6 在亶乘玆大命……丕承無疆之恤 : 呂祖謙은 周公의 말로 보았는데, 〈洛誥〉의 “惟王受命 無疆惟休 亦無疆惟恤”로 미루어볼 때, 呂祖謙의 견해가 설득력이 있는 것 같다.
역주7 惟文王德 : 蔡傳은 ‘惟’를 追念의 뜻으로 보아 “〈오늘의 天命은 바로 文王이 德을 가지고 받은 것이니만큼〉 文王의 德을 추념하여”로 풀이하였다.
역주8 戒召公 : 문왕 또는 무왕이 소공을 경계한 것인지 주공이 소공을 경계한 것인지 분명치 않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