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公曰 嗚呼 惟乃知民德 亦罔不能厥初 惟其終이니
[傳]惟汝所知民德 亦無不能其初 鮮能有終이니 惟其終則惟君子 戒召公以愼終이라
祗若玆하여 敬用治하라
[傳]當敬順我此言하여 自今以往으로 敬用治民職事하라
[疏]‘公曰嗚呼’至‘用治’
○正義曰:周公歎而呼召公曰 “嗚呼. 君, 惟汝知民之德行, 亦無有不能其初, 惟鮮能其終.”
言行之雖易, 終之實難, 恐召公不能終行善政, 故戒之以愼終.
“汝當以敬順我此言, 自今以往, 宜敬用此治民職事.” 戒之使行善不懈怠也.
[疏]○傳‘惟汝’至‘愼終’
○正義曰:詩云 “靡不有初, 鮮克有終.” 是凡民之德, 無不能其初, 少能有終者. 凡民皆如是, 有終則惟君子.
蓋召公至此已說, 恐其不能終善, 故戒召公汝愼終也. 鄭云 “召公是時意說, 周公恐其復不說, 故依違託言民德以剴切之.”


은 말씀하였다. “아! 아. 네가 아는 백성들의 德行은 처음에는 〈을〉 잘하지 않는 이가 없지만, 〈으로〉 끝맺음을 잘하는 이는 적으니,
네가 아는 백성들의 德行은 또한 처음에는 〈을〉 잘하지 않는 이가 없지만, 〈으로〉 끝맺음을 잘하는 이는 적으니, 끝을 잘 맺으면 君子란 것이다. 召公더러 끝맺음을 신중히 하라고 경계한 것이다.
나의 이 말을 경건히 따라서 앞으로는 백성들을 다스리는 〈職事를〉 경건히 행하도록 하라.”
응당 나의 이 말을 경건히 따라서 이제부터는 백성들을 다스리는 職事를 경건히 행하도록 하라는 것이다.
의 [公曰嗚呼]에서 [用治]까지
正義曰周公이 탄식하고 나서 召公을 불러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아! 아. 네가 아는 백성들의 德行은 또한 처음에는 〈을〉 잘하지 않는 이가 없지만, 〈으로〉 끝맺음을 잘하는 이는 적으니라.”
행하기는 비록 쉽지만 마무리하기는 실로 어려우니, 召公이 끝내 善政을 잘 행하지 않을까 두려워하기 때문에 끄트머리를 삼가라고 경계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너는 응당 나의 이 말을 경건히 따라서 이제부터는 이 백성들을 다스리는 職事를 의당 경건히 행하도록 하라.” 경계해서 을 행하여 게으름을 부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의 [惟汝]에서 [愼終]까지
正義曰:≪詩經≫ 〈大雅 〉에 이르기를 “처음에는 을 잘하지 않는 이가 없지만, 으로 끝맺음을 잘하는 이는 적다.”라고 하였으니, 이는 凡民의 덕행이 처음에는 〈을〉 잘하지 않는 이가 없지만, 〈으로〉 끝맺음을 잘하는 이는 적다는 것이다. 凡民이 모두 이와 같으니, 〈≪詩經≫의 말처럼〉 끝맺음을 잘하는 이가 있다면 君子라는 것이다.
아마 召公이 이때에 와서 〈심기가〉 이미 좋아졌지만 그가 끝내 으로 잘 마치지 못할까 두렵기 때문에 “召公 너는 끄트머리를 삼가라.”고 경계한 것이다. 鄭玄은 “召公이 이때에 의중이 좋아졌지만 周公은 그가 다시 좋아하지 않을까 염려하였기 때문에 망설이다가 백성의 덕행에 의탁해 말해서 절실하게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 林之奇는 “自今以往”으로 본 孔傳을 따랐는데, 蔡傳은 ‘職所로 가라[就職]’로 풀이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