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曰 封 我聞하니 惟曰 在昔殷先哲王 하며
[傳]聞之하니 於古殷先智王 -謂湯- 蹈道畏天하고 明著小民이라
하사 自成湯으로 咸至于帝乙 成王畏相하니
[傳]能常德持智하여 從湯至帝乙 中間之王 猶保成其王道하고 畏敬輔相之臣하여 不敢爲非
惟御事厥棐有恭하여 不敢自暇自逸이온
[傳]惟殷御治事之臣 其輔佐畏相之君 有恭敬之德하여 不敢自寬暇自逸豫
矧曰其
[傳]崇 聚也自逸 猶不敢이온 況敢聚會飮酒乎 明無也


왕이 말씀하였다. “아! 나는 들으니 이르건대, ‘옛날에 나라의 先哲王은 〈를 몸소〉 실천하고 하늘의 위엄을 두려워하고 〈을〉 小民에게 드러내며,
들으니 ‘옛날에 나라 先智王은 -을 이른다.- 를 몸소 실천하고 하늘의 위엄을 두려워하며, 小民들에게 밝게 드러냈다.’고 했다는 것이다.
을 늘 간직하고 밝은 지혜를 가지고서 〈政敎를 하여,〉 成湯으로부터 帝乙에 이르기까지 王道를 이루고 相臣을 경외하니,
능히 을 늘 간직하고 밝은 지혜를 가지고서 〈政敎를 하여〉, 으로부터 帝乙에 이르기까지 그 중간의 왕들도 외려 그 王道를 보존하여 이루고, 輔相하는 신하를 경외하여 감히 그릇된 짓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일을 맡아 다스리는 사람들도 임금을 보좌하는 일에 공경(충성)을 다하느라 감히 스스로 여가를 가지거나 스스로 안일하지 못했다.’ 하는데,
나라의 일을 맡아 다스리는 신하는 그 정승을 경외하는 임금을 輔佐할 때에 공경하는 을 가져 감히 스스로 한가한 여가를 가지거나 스스로 안일을 즐기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하물며 감히 모여서 술을 마셨겠는가.
의 뜻이다. 스스로 여가를 가지고 스스로 안일을 즐기는 것도 외려 감히 하지 못했거늘, 하물며 감히 모여서 술을 마셨겠는가. 〈절대로 그런 일이〉 없었음을 밝힌 것이다.


역주
역주1 迪畏天顯小民 : 林之奇(≪尙書全解≫)는 ‘迪’을 道의 뜻으로 보아 “殷나라 先哲王의 道는 하늘의 밝은 道와 小民을 두려워하는 데에 있었을 뿐이다. 하늘에 밝은 道가 있어 吉凶과 善惡이 각각 그 類로써 應報하니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 小民은 보호하기 어려워 愚夫‧愚婦 그 어느 하나도 능히 나를 이겨내니 또한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迪 道也 殷先哲王之道 在於畏天顯小民而已 天有顯道 吉凶善惡 各以其類應 不可不畏也 小民難保 愚夫愚婦 一能勝予 亦不可不畏也]”로, 呂祖謙(≪增修東萊書說≫)은 “商王의 흥기시대에는 대개 이 道 때문에 하늘을 두려워하고 백성을 두려워하였다. 하늘에는 밝은 道가 있고 小民은 보호하기 어려운데 어찌 감히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商王之興 蓋以是道而畏天畏民也 天有顯道 小民難保 何敢不畏]”로, 陳經(≪尙書詳解≫)은 “‘迪’은 蹈의 뜻이니 몸소 실행함을 이른다. 하늘에는 밝은 道가 있고 小民은 보호하기 어려우니, 모두 두려워할 대상이다.[迪 蹈也 躬行之謂也 天有顯道 小民難保 皆可畏者也]”로, 蔡傳은 “‘迪畏’는 두려워서 행실에 나타나는 것이니, 하늘의 밝은 命을 두려워하고 小民의 보호하기 어려움을 두려워한 것이다.[迪畏者 畏之而見於行也 畏天之明命 畏小民之難保]”로, 吳澄(≪書纂言≫)은 “‘迪畏’는 실제로 하늘의 밝음 -天道의 顯明함- 을 두려워한다는 말과 같다.[迪畏 猶言實畏天顯 -天道之顯明-]”라고 풀이하였다. 孔傳은 ‘天’에 句를 끊고, 蔡傳과 林之奇, 呂祖謙, 陳經, 吳澄은 모두 ‘顯’에 句를 끊었다.
역주2 經德秉哲 : 蔡傳은 ‘德을 늘 간직하여 변하지 않았다.’라는 것은 자기의 처신 문제를 말한 것이고, ‘명철한 마음을 가져 의혹하지 않았다.’라는 것은 사람의 등용 문제를 말한 것이다.[經其德而不變 所以處己也 秉其哲而不惑 所以用人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敢崇飮 : 蔡傳은 ‘崇’을 尙(숭상)의 뜻으로 보아 “감히 술 마시기를 숭상하겠는가.”라고 풀이하였다.
역주4 (假)[暇] : 저본에는 ‘假’로 되어 있으나, 諸本에 의거하여 ‘暇’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