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曰 封 予不惟若玆多誥
[傳]我不惟若此多誥汝 我親行之
古人 有言曰 人 無於水이요 當於民이라하니라
[傳]古賢聖有言하되 人無於水監이요 當於民監이라하니라 視水見己形이요 視民行事 見吉凶이라
今惟殷 墜厥命하니 我其可不大監하여 撫于
[傳]今惟殷紂無道하여 墜失天命하니 我其可不大視此爲戒하여 撫安天下於是
[疏]‘王曰封予’至‘于時’
○正義曰:旣陳殷之戒酒與嗜酒以致興亡之異, 故誥之, 王命言曰 “封, 我不惟若此徒多出言以誥汝而已,
我自戒酒, 已親行之, 汝可法之也. 所以親行者, 古人有言曰 ‘人無於水監, 當於民監.’
以水監, 但見己形, 以民監, 知成敗故也. 以須民監之故, 今殷紂無道, 墜失其天命, 我其可不大視以爲戒, 撫安天下於今時也.”


왕께서 말씀하였다. “아! 나는 이처럼 〈너에게〉 많은 고유를 할 뿐만이 아니다.
나는 이처럼 너에게 많은 고유를 할 뿐 아니라, 나는 친히 행하고 있다고 한 것이다.
옛사람이 말을 남기기를 ‘사람은 물에 거울삼아 보지 말고, 마땅히 백성에 거울삼아 보아야 한다.’고 하였다.
옛 성현이 말을 남기기를 “사람은 물에 거울삼아 보지 말고 마땅히 백성에 거울삼아 보아야 한다.”고 하였다. 물을 보면 자기 얼굴만 보고, 백성의 행하는 일을 보면 吉凶까지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지금 나라가 하늘의 명을 실추시켰으니, 내 어찌 이를 크게 거울로 삼아 이때에 어루만지지 않을 수 있겠는가.”
지금 나라 無道하여 天命을 실추시켰으니, 나는 이것을 크게 보아 경계로 삼아서 이때에 천하를 어루만져 편안하게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라는 것이다.
의 [王曰封予]에서 [于時]까지
正義曰나라가 술을 경계하고 술을 즐기는 것으로 나라를 흥성하게 만들고 나라를 망하게 만든 다른 점을 이미 진술하였기 때문에 고유를 하니, 이 다음과 같이 명하여 말하였다. “아! 나는 이처럼 한갓 말을 많이 내어 너에게 고유할 뿐만 아니라
나는 스스로 술을 경계하여 이미 친히 행하고 있으니 너는 본받아야 할 것이다. 친히 행하는 까닭은 옛사람이 말을 남기기를 ‘사람은 물에 거울삼아 보지 말고 마땅히 백성에 거울삼아 보아야 한다.’고 하였다.
물을 거울삼아 보면 단지 자기의 얼굴만 볼 수 있지만 백성을 거울삼아 보면 成敗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백성을 대상으로 거울삼아 보기 때문에 지금 나라 無道하여 그 天命을 실추하였으니 나는 크게 보아 경계를 삼아 지금 이때에 천하를 어루만져 편안하게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역주
역주1 : 蔡傳은 時(때)의 뜻 그대로 풀었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