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曰 嗚呼 汝念哉어다
[傳]念我所以告汝之言이라
今民 將在祗遹乃文考 紹聞하며 하라
[傳]今治民 將在敬循汝文德之父 繼其所聞하고 服行其德言으로 以爲政敎
往敷求于殷先哲王하여 用保乂民하며
[傳]汝往之國하여 當布求殷先智王之道하여 用安治民이라
汝丕遠惟商耉成人하여 하면 知訓하며
[傳]汝當大遠求商家耇老成人之道하여 常以居心이면 則知訓民이라
[傳]又當別求所聞父兄하고 用古先智王之道하되 用其安者以安民이라
[傳]大于天하여 爲順德하면 則不見廢하여 常在王命이라
[疏]‘王曰嗚呼封汝’至‘王命’
○正義曰:旣言文王‘明德愼罰’之, 武王尙行之, 汝旣得爲君,
方別陳明德之事, 故稱王命而言曰 “嗚呼, 封, 汝常念我所以告汝之言哉.
今治民所行, 將在敬循汝文德之父, 繼其所聞者, 服行其德言, 以爲政敎.
汝往之國, 當分布求於殷先智王之道, 用安治民. 不但法其先君, 汝又當須大遠求商家耇老成人之道, 居之於心, 卽知訓民矣.
其外又更當別求所聞父兄, 用古先智王之道, 用其安者以安民. 卽古虞夏之道也.
人事旣然, 又闡大於天之道, 而爲順德, 又加之寬容, 則汝身不見廢, 常在王命.”
[疏]○傳‘今治’至‘政敎’
○正義曰:“繼其所聞, 服行其德言”者, 謂文王先有所聞善事,
今令康叔繼續其文王所聞善事, 被服而施行其德言, 以爲政敎也.
[疏]○傳‘汝當’至‘訓民’
○正義曰:上云 “敷求殷先哲王”, 謂求殷之賢君. 此言“求商家耇老成人”, 謂求殷之賢臣. ‘大遠’者, 備徧求之.
[疏]○傳‘又當’至‘安民’
○正義曰:以父兄乃所居殷外, 故云“別求.” 上只言“遹乃文考”,
竝言‘兄’者, 以上云“寡兄勖”, 則以文武道同, 言文可以兼武, 故竝言‘父兄’也.
‘古先哲王’, 鄭云 “虞夏也.” 孔亦當然. 以上代與今事遠, 不可以同, 故言“用其安者.”
[疏]○傳‘大于’至‘王命’
○正義曰:以天道人用而光大之, 故因云‘大’也. 其文及殷古先哲王, 與天其道不異,
以前後聖迹雖殊, 同天不二也. 以康叔亞聖大賢, 治殷餘惡, 故使之用天道爲順德也.


왕께서 말씀하였다. “아! 아. 너는 유념할지어다.
내가 너에게 고한 말을 유념하라는 것이다.
지금 백성들을 다스림은 앞으로 네 文考(文德을 가진 아버지 文王)를 경건히 따르는 데에 달려 있을 뿐이니, 들어온 〈文考을〉 잘 계승하도록 할 것이며, 〈文考의〉 덕스런 말씀을 복종해 실행하도록 하라.
지금 백성들을 다스림은 앞으로 네 文德을 가지신 아버지를 경건히 따르는 데에 달려 있으니, 그 들어온 착한 일을 계승하고 그 덕스런 말씀을 복종해 실행하는 것으로 政敎를 삼도록 하라는 것이다.
〈너는 네가 봉해진 나라로〉 가서 나라 先哲王들의 를 널리 탐구하여 백성들을 편안히 다스려야 할 것이며,
너는 봉해진 나라로 가서 응당 나라 先智王들의 를 널리 탐구하여 백성들을 편안히 다스려야 한다는 것이다.
너는 〈어진 임금들을 보필하던〉 나라의 老成한 신하들이 〈밝은 덕으로 백성들을 교훈하던 행적을〉 원대하게 생각하여 마음에 간직하면 백성들을 교훈할 방법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너는 응당 나라 노성한 사람들의 를 원대하게 탐구하여 늘 마음에 간직하면 곧 백성들을 교훈할 방법을 알 수 있을 게란 것이다.
父兄에게〉 들은 것을 별도로 구하고 〈나라〉 옛 先智王를 따르되 〈그중에서〉 안정성 있는 것을 이용해서 백성들을 편안히 보호하도록 하라.
또한 마땅히 父兄에게 들은 것을 별도로 구하고 옛 先智王를 이용하되 그중에서 안정성 있는 것을 이용해서 백성들을 편안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하늘의 를 확대하여 을 따르고 관용을 더하면 너의 몸이 폐기되지 않아 을 보존할 수 있을 것이다.”
하늘의 를 확대하여 을 따르면 폐기 당하지 아니하여 항상 을 보존할 수 있을 게라는 것이다.
의 [王曰嗚呼封汝]에서 [王命]까지
正義曰文王이 ‘덕을 드러내 쓰고 형벌을 신중히 한’ 교훈을 武王이 힘써 행했기 때문에 네가 임금이 될 수 있었던 점에 대해 이미 말하였고,
바야흐로 별도로 덕을 드러내 쓰는 일을 진술해야 되기 때문에 王命이라 칭해서 말씀하였다. “아, 아! 너는 항상 내가 너에게 고한 말을 유념할지어다.
지금 백성들을 다스림에 있어 행할 바는 앞으로 네 文德을 가진 아버지를 경건히 따르는 데에 달려 있을 뿐이니, 들어온 〈아버지의 을〉 계승하며, 〈아버지의〉 덕스런 말씀을 복종해 실행하는 것으로 政敎를 삼도록 하라.
너는 봉해진 그 나라로 가서 응당 나라 先智王들의 를 널리 탐구하여 백성들을 편안히 다스려야 한다. 단지 그 先君만을 본받을 뿐 아니라, 너는 또 마땅히 모름지기 나라 노성한 사람들의 를 원대하게 탐구하여 마음에 간직하면 곧 백성들을 교훈할 방법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밖에 또다시 마땅히 별도로 父兄에게 들은 것을 구하고 옛 先智王를 쓰되 그중에서 안정성 있는 것을 이용해서 백성들을 편안하게 다스려야 한다. 이것이 곧 예전 나라와 나라의 이다.
인간의 일은 이미 그렇거니와 또한 하늘의 를 밝게 확대하여 을 따르고, 또 寬容을 더하면 너의 몸이 폐기를 당하지 아니하여 항상 王命을 보존할 것이다.”
의 [今治]에서 [政敎]까지
正義曰:“들은 바를 계승하고 그 덕스런 말씀을 服行하라.”는 것은 文王이 먼저 들은 착한 일이 있음을 이르니,
지금 康叔으로 하여금 그 文王이 들은 착한 일을 계속해서 몸에 흠뻑 입혀지게 하고 그 덕스런 말씀을 시행하여 政敎를 삼도록 한 것이다.
의 [汝當]에서 [訓民]까지
正義曰:위에서 말한 “나라의 先哲王을 널리 구하라.”는 것은 나라의 어진 임금을 구함을 이르고, 여기서 말한 “나라의 노성한 사람을 구하라.”는 것은 나라의 어진 신하를 구함을 이른다. ‘大遠’은 두루 구하는 일이다.
의 [又當]에서 [安民]까지
正義曰父兄은 사는 곳이 나라 밖이기 때문에 “별도로 구하라.”고 한 것이다. 위에서는 단지 “너의 文考를 따르라.”고만 말하였는데, 〈孔傳에서〉
’까지 아울러 말한 것은 위에서 “흔치 않은 이 힘썼다.”라고 말했기 때문이니, 文王武王가 같기 때문에 文王武王을 겸할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父兄’을 아울러 말한 것이다.
[古先哲王] 鄭玄이 “나라와 나라이다.”라고 하였으니, 孔安國도 당연히 그렇게 보았을 것이다. 上代와 오늘날의 일은 멀리 떨어졌기 때문에 동일하게 할 수 없다. 그러므로 “그중에서 안정성 있는 것을 이용하라.”고 말한 것이다.
의 [大於]에서 [王命]까지
正義曰天道는 사람이 씀으로 해서 빛이 나고 커지기 때문에 따라서 ‘’라고 한 것이다. 그 文王나라의 옛 先哲王은 하늘과 더불어 그 가 다르지 않으니,
前後 성인의 자취는 비록 다르나 하늘을 함께한 것은 다르지 않다. 康叔亞聖이자 大賢으로서, 나라의 남은 을 다스리기 때문에 그로 하여금 天道를 써서 을 따르게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衣德言 : 蔡傳은 “文王의 덕스런 말씀을 服行하도록 하라는 것이다.[服行文王之德言]”라고 풀이하였고, 兪樾(≪群經平議≫)은 ‘衣’를 陳의 뜻을 가진 旅의 古字로 보아 “그 덕스런 말씀을 布陳함을 말한 것이다.”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宅心 : 蔡傳은 “마음을 편안히 간직하는 것으로 곧 너의 머무를 곳을 편안히 하라는 뜻이다.[處心 安汝止之意]”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別求聞由古先哲王 用康保民 : 蔡傳은 ‘由’를 行(행하다)의 뜻으로 보아 “또 별도로 탐구하여 〈堯‧舜‧禹 같은〉 옛적 先哲王의 일들을 듣고서 그를 따라 행하여 백성들을 편안하게 보호하도록 하라.”고 풀이하였다.
역주4 弘于天……不廢在王命 : 呂祖謙은 “康叔이 성현의 학문을 내리 탐구하고, 天理를 확대하여 덕을 몸에 넉넉히 가지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면 성대하다고 이를 수는 있겠지만, 단지 王命을 폐기하지 않는 정도에서 끝나 겨우 허물만 면할 수 있었을 뿐이니, 이는 人臣의 직분이 다하기 어려운 점을 보인 것이다.[康叔 歷求聖賢問學 至於弘于天 德裕身 可謂盛矣 止能不廢王命 才可免過而已 此見人臣職分之難盡]”라고 풀이하고, 蔡傳은 “이와 같이 된다면 마음이 넉넉해지고 몸이 확 펴져서 움직이면 禮를 어김이 없어, 이에 왕에게 있는 命을 폐기하지 않을 것이다.[若是 則心廣體胖 動無違禮 斯能不廢在王之命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5 (調)[訓] : 저본에는 ‘調’로 되어 있으나, 諸本에 의거하여 ‘訓’으로 바로잡았다.
역주6 (三)[王] : 저본에는 ‘三’으로 되어 있으나, 諸本에 의거하여 ‘王’으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