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今王 嗣受厥命하시니 我亦惟玆二國命 嗣若功이라하노니
[傳]其 夏殷也 繼受其王命이니 亦惟當以此夏殷長短之命으로 爲監戒 繼順其功德者하여 而法則之
[疏]‘我不’至‘若功’
○正義曰:言王所以須愼不可不敬之德者, 以我不可不監視于有夏, 亦不可不監視于有殷,
皆有歷年, 長長, 由敬與不敬故也. 王當法其歷年, 戒其不長.
更說宜監之意, 我不敢獨知, 亦王所知, 曰有夏之君, 服行天命, 以敬德之故, 惟有多歷年數. 謂桀父已前也.
其末亦我不敢獨知, 亦王所知, 曰有夏桀不其長久, 惟不敬其德, 乃早墜失其王命.
是爲敬者長, 不敬者短, 所以我不可不監夏也. 我不敢獨知, 亦王所知, 曰有殷之君受天命, 以敬德之故, 惟有多歷年數.
謂紂父已前也. 其末亦我不敢獨知, 亦王所知, 曰殷紂不其長久, 惟不敬其德, 乃早墜失其王命.
亦是所敬者長, 不敬者短, 所以我不可不監殷也. 夏殷短長旣如此矣,
今王繼受其命, 我亦惟當用此二國夏殷長短之命以爲監戒, 繼順其功德者而法則之. 勸王爲敬也.
[疏]○傳‘言王’至‘不長’
○正義曰:‘相’‧‘監’俱訓爲視, 上言‘相有夏’‧‘相有殷’, 今復重言‘監有夏’‧‘監有殷’者, 上言順天則興, 棄命則滅,
此言敬則歷年, 不敬則短, 故重言視夏殷, 欲令王法其歷年, 戒其不長故也.
[疏]○傳‘以能’至‘所知’
○正義曰:下云 “不敬厥德, 乃早墜厥命.” 知其“以能敬德者, 故多歷年數”也.
上言‘相夏’‧‘相殷’, 言上天以道安人, 人主考天順之.
非創業之君不能如是, 故傳以禹湯當之. 此言‘敬德’‧‘歷年’, 則繼體賢君亦能如此, 所言‘歷年’非獨禹湯而已.
下傳云 “殷之賢王, 猶夏之賢王”, 則此多歷年數者, 夏則桀前之賢王, 殷則紂前之賢王, 不失位者皆是也.
召公此誥, 指以告王, 故知言“我不敢獨知”者, 其意言亦是王所知也. 王說亦然.
이라 嗚呼 若生子 罔不在厥初生하여 自貽하니
[傳]言王新卽政이라 始服行敎化 當如子之初生이니 習爲善이면 則善矣
自遺智命 無不在其初生이니 爲政之道 亦猶是也


지금 왕께서는 이어서 天命을 받으셨으니, 나 또한 이 두 나라의 천명을 받은 분 중에 공덕이 있는 분을 이어야 할 것으로 여깁니다.
()’는 바로 나라와 나라이다. 〈지금 은〉 그 王命을 이어받았으니, 또한 마땅히 이 나라와 나라의 歷年의 길고 짧은 監戒로 삼고, 그중에서 功德이 있는 분을 이어 순종하여 본받아야 한다고 한 것이다.
의 [我不]에서 [若功]까지
正義曰:“은 모름지기 공경하지 않을 수 없는 을 삼가 공경히 해야 한다.”라고 말한 것은 우리는 나라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으며, 또한 나라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니,
모두 歷年의 길고 짧음이 공경하고 공경치 않음에 매여 있기 때문이다. 은 응당 그 歷年의 긺을 본받고 그 길지 않음을 경계해야 한다.
다시 살펴보아야 할 뜻을 말한다면 나만 감히 알 것이 아니라, 또한 도 알아야 할 것이니, 이르건대, 나라 임금이 天命服行하여 을 공경했기 때문에 年數를 많이 누린 것이다. 이는 의 아버지 이전을 이른다.
그 끄트머리도 또한 나만 감히 알 것이 아니라, 또한 도 알아야 할 것이니, 이르건대, 나라 이 역년이 장구하지 못한 것은 그 덕을 공경치 아니하여 일찍 그 王命을 실추시켰기 때문이다.
이는 덕을 공경한 자는 영년이 길고 덕을 공경치 않은 자는 역년이 짧았으니, 그래서 나는 나라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고 한 것이다. 나만 감히 알 것이 아니라, 또한 도 알아야 할 것이니, 이르건대, 나라의 임금이 天命을 받아 덕을 공경했기 때문에 年數를 많이 누린 것이다.
이는 의 아버지 이전을 이른다. 그 끄트머리도 또한 나만 감히 알 것이 아니라, 또한 왕도 알아야 할 것이니, 이르건대, 나라 가 역년이 장구하지 못한 것은 그 덕을 공경치 아니하여 일찍 그 王命을 실추시켰기 때문이다.
역시 덕을 공경한 자는 역년이 길고 덕을 공경치 않은 자는 역년이 짧았으니, 그래서 나는 나라를 살펴보지 않을 수 없다고 한 것이다. 나라와 나라의 짧고 긺이 이미 이와 같다.
지금 은 이어서 그 을 받았으므로 우리도 또한 마땅히 이 두 나라인 나라와 나라의 길고 짧은 監戒로 삼고, 그중에서 功德이 있는 분을 이어 순종하여 본받아야 할 것이다. 에게 덕을 공경하도록 권면한 것이다.
의 [言王]에서 [不長]까지
正義曰은 모두 (보다)의 뜻으로 풀이하는데 위에서는 ‘相有夏’‧‘相有殷’이라 말하고 지금 다시 ‘監有夏’‧‘監有殷’이라 말한 것은 위에서는 천명을 순종하면 흥성하고 천명을 버리면 멸망한다는 것을 말하였고,
여기서는 덕을 공경하면 역년이 길고 덕을 공경치 않으면 역년이 짧다는 것을 말하였기 때문에 거듭 나라와 나라를 살펴보라고 말해서 으로 하여금 그 歷年의 긺을 본받고 그 역년이 길지 못함을 경계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의 [以能]에서 [所知]까지
正義曰:아래에서 “그 덕을 공경치 아니하여 일찍 그 을 실추시켰다.”라고 했기 때문에 “능히 덕을 공경했기 때문에 歷年數가 많았다.”라는 것을 〈孔安國이〉 알았던 것이다.
위에서 ‘相夏’‧‘相殷’이라 말할 때에는 모두 “天道가 따라서 자식처럼 편안하게 해주었으며, 〈또한 임금이〉 天心을 향해 상고해서 경건히 순종하여 어김이 없었다.”라고 하였으니, 上天로써 사람을 편안하게 하므로 군주는 하늘을 상고하여 순종한다는 점을 말한 것이다.
創業한 임금이 아니면 이와 같을 수 없기 때문에 에서 임금과 임금으로 해당시킨 것이다. 여기서 말한 ‘敬德’‧‘歷年’은 왕통을 이은 〈임금이면 聖君이 아닌〉 賢君도 또한 이와 같을 수 있으니, 이른바 ‘歷年’은 꼭 임금과 임금이어야만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아랫에서 “나라의 賢王나라의 賢王과 같다.”라고 하였으니, 여기의 年數를 많이 누린 분은, 나라의 경우는 이전의 賢王나라의 경우는 이전의 賢王으로서 왕위를 잃지 않은 분이 모두 이에 해당하는 것이다.
召公의 이 는 가리켜 에게 고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나만이 감히 알 것이 아니다.”라고 말한 것이, 그 뜻은 역시 도 알아야 할 바란 것임을 〈공안국이〉 알았던 것이다. 王肅의 말도 또한 그러하다.
왕께서 처음으로 집정하신지라, 아! 태어나는 아이가 그 갓 태어남에 있어 스스로 哲命을 부여받지 아니치 않음과 같아야 하니,
은 새로 집정한지라. 비로소 敎化服行하기를 마땅히 어린애가 갓 태어났을 때와 같아야 하니, 을 익히면 해질 것이다.
스스로 智命을 부여받는 것이 갓 태어날 때에 있지 않음이 없는 것이니, 정사를 하는 방법도 역시 이와 같음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敬所爲 : 앞의 經文 “王敬作所不可不敬德”과 傳文 “敬爲所不可不敬之德”을 보면 이 疏文도 “敬爲所”가 되어야 할 듯하다. 경문은 고치지 않고 “敬爲所”로 번역하였다.
역주2 (不與)[與不] : 저본에는 ‘不與’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宋兩浙東路茶鹽司本‧宋慶元間建安魏縣慰宅本에 의거하여 ‘與不’로 바로잡았다.
역주3 皆云 天迪從子保 面稽天若 : 天迪……天若은 ‘相夏’에 딸린 말이고 ‘相殷’에 딸린 말은 “天迪格保 面稽天若”이 따로 있으니, ‘皆云’은 잘못된 것이다.
역주4 王乃初服 : 蔡傳은 윗글에 붙여서 “하물며 왕께서는 새로 세운 도읍에서 처음으로 정무를 보아 敎化를 服行하기 시작하시는 때가 아닙니까.[況王乃新邑初政 服行敎化之始乎]”라고 풀이하였다.
역주5 哲命 : 呂祖謙과 林之奇는 ‘性命’으로, 宋代 葉夢得은 ‘하늘이 命한 것’으로 보았는데, 陳師凱(≪書蔡氏傳旁通≫)는 葉夢得이 바르게 본 것으로 여겼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