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拜手稽首曰 公 不敢不敬天之休하사 來相宅하시니 其作周 삿다
[傳]成王 尊敬周公하여 答其拜手稽首而受其言하고 述而美之하여 言公不敢不敬天之美하사 來相宅하시니 其作周 以配天之美라하니라
公旣定宅하시고 視予하시니 我二人 이로다
[傳]言公前已定宅하시고 遣使來하여 來視我以所卜之美 常吉之居하시니 我與公共正其美로다하니라
○貞 正也 馬云 當也라하니라
公其以予 萬億年 敬天之休하실새
[傳]公其當用我萬億年敬天之美 十千爲萬이요 十萬爲億이니 言久遠이라
하노이다
[傳]成王盡禮致敬於周公하여 敎誨之言이라
[疏]‘王拜手’至‘誨言’
○正義曰:成王尊敬周公, 故亦盡禮致敬, 拜手稽首, 乃受公之語, 述公之美曰
“不敢不敬天之美, 來至洛相宅, 其意欲作周家配天之美故也.
公旣定洛邑, 卽使人來告, 亦來視我以所卜之美‧常吉之居, 我當與公二人, 共正其美.
公定其宅, 其當用我萬億年敬天之美故也.” 王旣言此, 又拜手稽首於周公, 求敎誨之言.
[疏]○傳‘成王’至‘之美’
○正義曰:拜手稽首, 施於極敬. 哀十七年左傳云 “非天子, 寡君無所稽首.” 諸侯小事大尙不稽首, 況於臣乎.
成王尊敬周公, 其拜手稽首而受其言, 又述而美之. 天命文武使王天下, 是天之美事, 言公不敢不敬天之美, 來相洛邑之宅.
[疏]○傳‘言公’至‘其美’
○正義曰:周公追述往前遣使獻卜, 成王復公言, 言公前已定宅, 遣使來, 來視我所卜之吉兆‧常吉之居.
自言前已知其卜, 旣有此美. 我當與公二人共正其美. 意欲留公輔己, 共公正此美事.
‘來來’重文者, 上‘來’言使來, 下‘來’爲視我卜也. 鄭云 “伻來來者, 使二人也.” 與孔意異.
[疏]○傳‘公其’至‘久遠’
○正義曰:言居洛爲治, 可以永久, 公意其當用我使萬億年敬天之美, 言公欲令己
胤久遠, 美公意之深也.
王制云 “方百里者, 爲方十里者百, 爲田九十億畝.” 方里者萬, 則是爲田九百萬畝.
今記乃云“九十億畝.” 是名十萬爲億也. 楚語云 “” 每數相十, 是古十萬曰億. 今之算術乃萬萬爲億也.
[疏]○傳‘成王’至‘之言’
○正義曰:此一段史官所錄, 非王言也. 王求敎誨之言, 必有求敎誨之辭, 史略取其意, 故直云‘誨言’.
爲求誨言而拜, 故言 “成王盡禮致敬於周公, 求敎誨之言”也.


왕도 손을 이마에 얹고 머리를 땅에 대어 큰절을 하고 나서 말씀하였다. “(周公)께서는 감히 하늘의 아름다운 을 공경하지 않을 수 없으시어, 〈洛邑으로〉 와서 〈臣民이 편안히〉 거주할 곳을 살펴보셨으니, 나라에 하늘에 필적한 아름다움을 지으셨습니다.
成王周公을 존경하여 그의 拜手稽首에 답하고 나서 그의 말을 받아들이고 술회하여 아름답게 여기면서 말씀하기를 “은 감히 하늘의 아름다운 을 공경하지 않을 수 없으시어 오셔서 거주할 곳을 살펴보셨으니, 나라에 하늘에 필적한 아름다움을 지으셨습니다.”라고 하였다.
께서 이미 거주할 곳을 정하고 나서 使者를 보내와 나에게 점괘의 아름다움과 항상 吉祥할 거주지를 보여주시니, 우리 두 사람이 그 아름다움을 함께 누릴 것입니다.
은 전에 이미 거주할 곳을 정하고 나서 使者를 보내와 나에게 점괘의 아름다움과 항상 吉祥할 거주지를 보여주시니 나는 과 함께 그 아름다움을 누릴 것이다.”라고 말씀하였다.
○‘’은 의 뜻이다. 馬融은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또한 께서 나로 하여금 만억년토록 하늘의 아름다운 을 공경히 받들도록 하시므로
은 응당 나로 하여금 만억년을 하늘의 아름다운 을 공경히 받들도록 하신다.”라고 한 것이다. 10의 이고, 10의 이니 久遠함을 말한 것이다.
손을 이마에 얹고 머리를 땅에 대어 큰절을 하며 敎誨의 말씀을 구하노이다.”
成王周公에게 예의를 다하고 공경을 다하여 敎誨의 말씀을 구하였다.
의 [王拜手]에서 [誨言]까지
正義曰成王周公을 존경하기 때문에 또한 예의를 다하고 공경을 다하여 손을 이마에 얹고 머리를 땅에 대어 큰절을 하고 나서, 의 말을 받아들였으며, 의 아름다운 점을 술회하였다.
“감히 하늘의 아름다운 을 공경하지 않을 수 없어서 洛邑에 오셔서 거주할 곳을 살펴보신 것은 그 뜻이 나라에 하늘에 필적한 아름다움을 지으려고 하셨기 때문입니다.
이 이미 洛邑을 정하고 나서 곧 使者를 보내와 고하시고 또한 나에게 점괘의 아름다움과 항상 吉祥할 거주지를 보여주시니 나는 마땅히 과 함께 두 사람이 그 아름다움을 누릴 것입니다.
이 그 거주할 곳을 정하신 것은 응당 나로 하여금 만억년토록 하늘의 아름다운 을 공경히 받들게 하셨기 때문입니다.” 은 이미 이렇게 말씀하고 나서 또 손을 이마에 얹고 머리를 땅에 대어 周公에게 큰절을 하면서 敎誨의 말씀을 구하였다.
의 [成王]에서 [之美]까지
正義曰:손을 이마에 얹고 머리를 땅에 대어 큰절을 함으로써 지극한 경의를 표하였다. ≪春秋左氏傳哀公 17년 조에 “天子가 아니고서는 寡君이 머리를 땅에 대어 큰절을 할 데가 없다.”라고 하였으니, 諸侯가 작은 나라로 큰 나라를 섬김에 있어서도 오히려 머리를 땅에 대어 큰절을 하지 않거늘, 하물며 신하에 있어서야 더할 나위 있겠는가.
그런데도 成王周公을 존경하였기 때문에 그 拜手稽首에 답하고 그의 말을 받아들였으며, 또 술회하여 아름답게 여겼다. 하늘이 文王武王에게 명하여 천하에 왕 노릇을 하게 한 것이 바로 하늘의 아름다운 일이니, “은 감히 하늘의 아름다운 을 공경하지 않을 수 없어서 洛邑의 집터를 와서 살펴보았다.”라고 말한 것이다.
의 [言公]에서 [其美]까지
正義曰周公이 이전에 使者를 보내 점괘를 드린 일을 追述하기 때문에 成王이 다시 의 말을 追述하기를 “께서 이전에 이미 거주할 곳을 정하고 나서 使者를 보내와 나에게 점괘의 길한 조짐과 항상 吉祥할 거주지를 보여주셨습니다.”라고 하였다.
“말하기 전부터 이미 그 점괘를 알았거니와 이미 이런 아름다운 일이 있으니, 나는 마땅히 과 두 사람이 그 아름다움을 누려야 할 것입니다.”라고 스스로 말하였으니, 아마도 을 머물려 자기를 보필케 하면서 과 함께 이 아름다운 일을 누리고자 한 것이리라.
來來’는 중복된 글인데 위의 ‘’는 使者가 온 것을 말하고, 아래의 ‘’는 나(成王)에게 점괘를 보이기 위한 것이다. 鄭玄은 “‘伻來來’는 두 사람을 使者로 보낸 것이다.”라고 하였으니, 孔安國의 뜻과 다르다.
의 [公其]에서 [久遠]까지
正義曰:“洛邑에 거주하여 정사를 하면 영구한 역년을 누릴 수 있으므로 의 뜻은 응당 나로 하여금 만억년토록 하늘의 아름다운 을 공경히 받들도록 하신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곧 “은 자기로 하여금 祚胤이 영원하게 하고자 한다.”는 말이니, 의 뜻이 깊음을 아름답게 여긴 것이다.
禮記≫ 〈王制〉에 “사방 100리라고 하는 것은 사방 10리 되는 것이 100이니, 田地로 환산하면 90억 가 된다.”라고 하였으니, 사방 1리인 것이 1만이니 이것을 田地로 환산하면 900만 가 된다.
지금 ≪禮記≫에 “90억 다.”라고 한 것은 10만을 억이라고 명명한 것이다. ≪國語≫ 〈楚語〉에 “百姓千品萬官億醜”라는 것은 매 마다 서로 10으로 하니, 옛날에는 10만을 억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의 算術萬萬을 억이라 한다.
의 [成王]에서 [之言}까지
正義曰:이 1史官이 기록한 것이지, 이 말한 것이 아니다. 敎誨의 말을 구했으면 반드시 敎誨를 구하는 말이 있었을 것인데 사관이 그 뜻을 대강 취했기 때문에 단지 ‘誨言’이라고만 한 것이다.
誨言을 구하기 위해서 절을 하였기 때문에 “成王周公에게 예의를 다하고 공경을 다하여 敎誨의 말씀을 구하였다.”라고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匹休 : 蔡沈은 匹을 配의 뜻으로 보아 “‘와서 거주할 곳을 살펴보았으니, 周나라에 아름다운 命에 배합할 땅을 만들려고 했기 때문이다.’라고 한 것은 洛邑에 거북점을 쳐서 周나라의 命을 무궁히 이어지도록 하려 함을 말한 것이다.[來相宅 爲周匹休之地 言卜洛 以配周命於無窮也]”라고 풀이하였고, 呂祖謙는 “洛邑을 튼튼하게 하는 것은 실은 宗周를 配匹하려는 것이니, ‘匹’은 宗周를 對하는 말이다.[鞏洛實配宗周 匹者對宗周之辭]”로, 王十朋은 “鎬京은 周나라 王室을 일으킨 땅이니, 이미 아름답다. 洛邑을 세워 중앙에 거주해서 정사를 함은 그 아름다움을 배필하기 위한 것이다.[鎬京興王之地 旣休矣 作洛以宅中圖治 爲匹其休]”로 풀이하였는데, 朱鶴齡(≪尙書埤傳≫)은 “이 해석들이 蔡傳보다 낫다.[此解勝蔡]”라고 평하였다.
역주2 伻來來 : 鄭玄은 두 사람을 심부름시킨 것으로 보았다.
역주3 卜休恒吉 : 蔡傳은 “점괘가 아름다워 항상 吉祥할 것[卜之休美而常吉者]”이라고 풀이하였다.
역주4 共貞 : 朱鶴齡(≪尙書埤傳≫)은 “‘貞’은 바르고 굳은 것으로 풀이되는 글자이다.……馬融이 ‘「貞」은 「當」의 뜻이다.’고 하였는데, 蔡傳에서 그것을 따른 것은 합당하지 못하다.[貞訓正而固也……馬融云 貞 當也 蔡傳從之 未合]”라고 평하였다.
역주5 公旣定宅……拜手稽首誨言 : 蔡傳은 “周公이 洛邑에 거주할 곳을 정하되 規模가 宏遠하게 한 것은 나로 하여금 만억년토록 하늘의 아름다운 命을 공경히 받들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또 손을 이마에 얹고 머리를 땅에 대어 큰절을 하여 周公이 점괘를 알리기 위해 가르쳐 준 말에 사례한 것이다.[周公宅洛 規模宏遠 以我萬億年敬天休命 故又拜手稽首 以謝周公告卜之誨言]”라고 풀이하였다.
역주6 (來)[求] : 저본에는 ‘來’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求’로 바로잡았다.
역주7 (答言)[故答] : 저본에는 ‘答言’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宋兩浙東路茶鹽司本‧宋慶元間建安魏縣慰宅本에 의거하여 ‘故答’으로 바로잡았다.
역주8 (於)[故] : 저본에는 ‘於’로 되어 있으나, 諸本에 의거하여 ‘故’로 바로잡았다.
역주9 (疑)[述] : 저본에는 ‘疑’로 되어 있으나, 諸本에 의거하여 ‘述’로 바로잡았다.
역주10 祚胤 : 福祚가 隆盛하고 자손이 繁昌한 일을 말한다.
역주11 (作)[祚] : 저본에는 ‘作’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宋兩浙東路茶鹽司本‧宋慶元間建安魏縣慰宅本‧武英殿本에 의거하여 ‘祚’로 바로잡았다.
역주12 百姓千品萬官億醜 : 百姓은 姓을 하사받거나 관직을 성씨로 삼기 때문에 百官을 이르고, 千品은 천 개의 종류라는 뜻으로 존귀한 성씨를 이르고, 萬官은 百官에 배속된 만 명의 관리를 이르고, 億醜는 억 명의 僚屬을 이른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