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曰 嗚呼 敬明乃罰하라
[傳]歎而勅之하되 凡行刑罰 汝必敬明之하니 欲其重愼이라
人有小罪라도 非眚이어든 乃惟終이라
하여 式爾
[傳]小罪라도 非過失이면 乃惟終行之 自爲不常하여 用犯汝리라
有厥罪小 乃不可不殺이니라 乃有大罪라도 非終이면 乃惟眚 이니라
[傳]汝盡聽訟之理하여 以極其罪하여 是人所犯 亦不可殺이어든 當以罰宥論之
[疏]‘王曰嗚呼封敬’至‘可殺’
○正義曰:以上旣言‘明德’之理, 故此又云‘愼罰’之義, 而王言曰 “嗚呼, 封. 又當敬明汝所行刑罰, 須明其犯意.
人有小罪, 非過誤爲之, 乃惟終身自爲不常之行, 用犯汝. 如此者, 有其罪小, 乃不可不殺, 以故犯而不可赦.
若人乃有大罪, 非終行之, 乃惟過誤爲之, 以此故, 汝當盡斷獄之道, 以窮極其罪,
是人所犯, 乃不可以殺, 當以罰宥論之, 以誤故也. 卽原心定罪, 斷獄之本, 所以須敬明之也.”


이 말씀하였다. “아! 아. 너의 형벌을 경건히 밝히도록 하라.
탄식하면서 경계하되 “무릇 형벌을 행하는 일을 너는 반드시 경건하게 밝히도록 하라.”고 한 것은 그 형벌을 신중히 다루게 하려는 뜻에서였다.
사람이 작은 죄를 지었더라도 과오로 지은 죄가 아니거든 바로 그 죄를 〈고치지 못하고〉 종신토록 행할 것이다. 스스로 정상치 못한 일을 하여 너를 범한다면,
작은 죄를 지었더라도 과오로 지은 죄가 아니거든 종신토록 행할 것이다. 스스로 정상치 못한 일을 하여 너를 범할 게란 것이다.
그 죄가 작더라도 죽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큰 죄를 지었더라도 종신토록 행할 것이 아니면 바로 과오로 저지른 것이 우연히 그렇게 된 것이니, 〈너는〉 獄訟을 듣는 도리를 다하여 그 죄를 끝까지 추궁해서, 죽일 것이 아니거든 〈벌을 줄 것인지 사면을 할 것인지를 가지고 논해야 한다.〉”
너는 獄訟을 듣는 도리를 다하여 그 죄를 끝까지 추궁해서 이 사람이 범한 바가 죽일 것이 아니거든 마땅히 벌을 줄 것인지 사면할 것인지를 가지고 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 [王曰嗚呼封敬]에서 [可殺]
正義曰:이상에서 이미 ‘明德’의 이치를 말했기 때문에 여기서 또 ‘愼罰’의 뜻을 말한 것인데, 이에 대해 이 말씀하였다. “아! 아. 또 마땅히 네가 행할 형벌을 경건히 하고 분명히 해서, 모름지기 그 범행 의도를 밝혀야 한다.
사람이 작은 죄를 지었으나 과오로 지은 것이 아니면 종신토록 스스로 정상치 못한 행동을 하여 너를 범할 것이다. 이와 같은 자는 지은 죄가 작더라도 죽이지 않을 수 없으니, 고의로 범한 것이어서 사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일 사람이 큰 죄를 지었더라도 종신토록 행하지 않는다면 곧 과오로 저지른 것이니, 이런 까닭으로 너는 마땅히 옥사를 결단하는 도리를 다하여 그 죄를 끝까지 추궁해서
이 사람이 범한 바가 죽일 것이 아니라면 마땅히 벌을 줄 것인지 사면을 할 것인지를 가지고 논해야 한다. 〈왜냐하면〉 과오로 저지른 죄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심을 추구하여 죄를 정할 것이니, 옥사를 결단하는 근본은 모름지기 경건하고 분명해야 하기 때문이다.”


역주
역주1 自作不典式爾 : 蘇軾(≪書傳≫)은 “스스로 불법을 자행하면서 당연한 법인 양 하는 것[乃惟自作不法 而曰法固當爾]”으로 풀이하였는데, 林之奇는 “蘇軾의 말이 옳다.[此說是也]”라고 하였으며, 蔡沈은 ‘式’을 用의 뜻으로 보아 “스스로 불법을 저질러, 마음 씀이 이와 같으면[乃其固爲亂常之事 用意如此]”으로 풀이하였다.
역주2 自作不典 : 兪樾(≪群經平議≫)은 ‘典’을 善의 뜻을 가진 ‘腆’으로 보아 “‘自作不典’은 스스로 不善을 저지른 것이다.[自作不典者 自作不善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自)[身] : 저본에는 ‘自’로 되어 있으나, “岳本에는 ‘自’가 ‘身’으로 되어 있으니, 疏와 부합한다.”라고 한 阮元의 校勘記에 의거하여 ‘身’으로 바로잡았다.
역주4 : 兪樾은 衍字로 보았다.
역주5 適爾 : 蘇軾은 “마침 그렇게 됨을 만난 것[適會其如此]”으로, 宋代 楊簡(≪五誥解≫)은 “과오로 인하여 마침 죄를 얻은 것이지, 그 본심은 아닌 것[乃因眚災 適爾得罪 非其本心]”으로 풀이하였는데, 宋代 林之奇와 元代 朱祖義(≪尙書句解≫)는 蘇軾의 말을 따랐으며, 蔡傳은 ‘適’을 偶의 뜻으로 보아 “과오가 불행에서 발생하여 우연히 이와 같이 된 것[乃其過誤 出於不幸 偶爾如此]”으로 풀이하였고, 兪樾은 ‘適’을 始의 뜻으로 보아 “‘適爾’는 始爾의 뜻이니, 정히 끝까지 저지르지 않을 것을 볼 수 있겠다.[適爾者 始爾也 正見其非終也]”라고 하였다.
역주6 旣道極厥辜 時乃不可殺 : 蔡傳은 “이미 스스로 진술하여 그 정실을 다 말해서 감히 숨긴 일이 없거든 죄가 비록 크더라도 죽이지 말아야 한다.[旣自稱道 盡輸其情 不敢隱匿 罪雖大 時乃不可殺]”로 풀이하였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