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注疏(5)

상서정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王曰 이어든 予往已이니다 이니다
[傳]公留以安定我이어든 我從公言하여 往至洛邑已矣 公功進大하니 天下咸敬樂公功이라
어다 我惟無斁其康事하노니 公勿替刑하면 四方 其世享하리니다
[傳]公必留하고 無去以困我哉어다 我惟無厭其安天下事하노니 公勿去以廢法하면 則四方 其世世享公之德하리라
[疏]‘王曰公定’至‘世享’
○正義曰:王又呼公 “公留以安定我, 我從公言, 往至洛邑已矣. 公功進且大矣, 天下皆樂公之功, 敬而歡樂.
公必留, 無去以困我哉. 公留助我, 我惟無厭其安天下之事. 公勿去以廢法, 則四方之民, 其世世享公之德矣.”
[疏]○傳‘公留’至‘公功’
○正義曰:讀文以‘公定’爲句, 王稱‘定’者, 言定己也, 故傳言“公留以安定我.” ‘我’字傳加之.
‘我從公言’, 是經之‘予’也. ‘往至洛邑已矣’, 言己順從公命, 受歸政也.
‘公功已進大 天下咸敬樂公之功’, 亦謂居攝時也. 釋詁云 “肅, 進也.”
[疏]○傳‘公必’至‘之德’
○正義曰:王言己才智淺短, 公去則困, 故請公“無去以困我哉.” 我意欲太平, 惟無厭倦其安天下之事.
是以留公, 公勿去以廢治國之法, 則天下四方之民, 蒙公之恩, 其世世享公之德. ‘享’, 謂荷負之.


은 말씀하였다. “이 〈나를〉 안정시키시거든 나는 〈洛邑으로〉 갈 것입니다. 進大(진취되고 장대함)하니 〈천하 사람들이 모두 을〉 공경하고 기뻐하였습니다.
이 머물러 나를 안정시키거든 나는 의 말씀에 따라 洛邑으로 갈 것입니다. 進大하니 천하 사람들이 모두 을 공경하고 즐거워했다는 것이다.
은 〈반드시 머무시고〉 나를 피곤하게 하지 말지어다. 나는 〈지금 洛邑으로 가서〉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을 것이니, 이 〈떠나가〉 법을 폐기하지 마시면 사방의 백성들이 대대로 〈을〉 누릴 것입니다.”
은 꼭 여기에 머무시고 떠나감으로써 나를 피곤하게 하지 말지어다. 나는 〈지금 洛邑으로 가서〉 천하를 편안하게 하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을 것이니, 이 떠나감으로써 법을 폐기하지 마신다면 사방의 백성들이 대대로 을 누릴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의 [王曰公定]에서 [世享]까지
正義曰은 또 을 불러서 말씀하였다. “이 머물러 나를 안정시키거든 나는 의 말씀에 따라 洛邑으로 갈 것입니다. 이 이미 진취하고 장대하니 천하 사람들이 모두 을 좋아하여 공경하면서 기뻐하고 즐거워하였습니다.
은 꼭 여기에 머무시고 떠나감으로써 나른 피곤하게 하지 말지어다. 이 머물러 나를 도와주시면 나는 〈지금 洛邑으로 가서〉 천하를 편안하게 하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 떠나감으로써 법을 폐기하지 마신다면 사방의 백성들이 대대로 을 누릴 것입니다.”
의 [公留]에서 [公功]까지
正義曰經文을 읽을 때에 ‘公定’을 로 삼으면 이 ‘’이라 칭한 것은 자기를 안정시킴을 말한 것이기 때문에 에서 “이 머물러 나를 안정시키거든”이라고 말하였으니, ‘’자를 에서 보탠 것이다.
我從公言’〈의 는〉 바로 經文의 ‘’인 것이다. ‘往至洛邑已矣’는 자기가 에 순종하여 〈周公이〉 돌려준 정권을 받은 것을 말한다.
公功已進大 天下咸敬樂公之功’은 또한 居攝할 때를 이른 것이다. ≪爾雅≫ 〈釋詁〉에 “‘’은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의 [公必]에서 [之德]까지
正義曰은 자기는 才智淺短하므로 이 떠나가면 피곤하게 될 것을 말하기 때문에 에게 “떠나감으로써 나를 피곤하게 하지 말지어다.”라고 청한 것이다. 나(成王)의 뜻은 太平을 이루려 하므로 “천하를 편안하게 하는 일을 게을리 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런 때문에 을 머물게 하는 것이니, 은 떠나감으로써 나라를 다스리는 법을 폐기하지 마신다면 천하 사방의 백성들이 의 은혜를 입어 대대로 을 누릴 것입니다.”라고 한 것이니, ‘’은 받아 입음을 이른다.


역주
역주1 公定 : 蔡傳은 ‘定’을 ‘止’의 뜻으로 보아 “公이 이곳에 머물거든”으로 풀이하였다.
역주2 公功肅將祗歡 : 蔡傳은 ‘功’, ‘歡’에 句를 끊어서 “周公의 事功을 사람들이 모두 엄숙히 받들어 공경하고 기뻐하니, 마땅히 洛邑을 鎭撫하여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기쁘게 할 것이요[周公之功 人皆肅而將之 欽而悅之 宜鎭撫洛邑 以慰懌人心]”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 孔疏에서는 ‘已’로 적고 있다.
역주4 公無困哉我惟無斁其康事 : 兪樾(≪群經平議≫)은 ‘哉’와 ‘我’가 倒置된 것으로 보아 ‘我’에 句를 끊어서 “公은 나를 피곤하게 하지 말고,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는 일을 게을리 하지 말라고 당부하는 것이다.[公無困我哉 無斁其康事]”라고 풀이하였다.
역주5 公無困哉 : 蘇軾(≪書傳≫)은 “나를 버리고 가면 나를 피곤하게 한다.[去我則困我也]”로, 林之奇(≪尙書全解≫)는 “公은 마땅히 여기에서 게으름을 부리지 말아야 한다.[公當無倦于此也]”로, 朱子(≪朱子語類≫)는 “公은 일을 가지고 스스로 피곤하지 말라.[公無以事自困]”로 풀이하였는데, 蔡傳은 ‘哉’자를 ‘我’자로 바꾸어서 孔傳을 따랐다.
역주6 (已)[以] : 저본에는 ‘已’로 되어 있으나, 孔傳에 의거하여 ‘以’로 바로잡았다.
역주7 (置)[致] : 저본에는 ‘置’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致’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5) 책은 2020.12.29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