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惟民生厚하나 因物有遷이라
[傳]言自然之性 敦厚 因所見所習之物 有遷變之道 必慎所以示之
違上所命하고 從厥攸好하나니
[傳]人之於上 不從其令하고 從其所好 人主不可不慎所好
하면 時乃罔不變하여 允升于大猷하리니
[傳]汝治人 能敬常在道德하면 是乃無不變化其政教하여 則信升於大道하리라
惟予一人 膺受多福하며
[傳]汝能升大道 則惟我一人 亦當受其多福하여 無凶危
其爾之休 終有辭於永世하리라
[傳]非但我受多福而已 其汝之美名 亦終見稱誦於長世 言沒而不朽
[疏]‘惟民’至‘永世’
○正義曰:惟民初生, 自然之性, 皆敦厚矣, 因見所習之物, 本性乃有遷變, 爲惡皆由習效使然.
人之情性, 好違上所命, 命之不必從也. 從其君所好, 君之所好, 民必從之, 在上者不可不慎所好也.
汝之治民, 能敬, 終常在於道德教之. 汝以道德教之, 是民乃無不變化.
民皆變從汝化, 則信升于大道矣.
汝能如此, 惟我一人亦當受其多福, 無凶危矣, 其汝之美名, 亦終有稱誦之美辭於長世矣.


백성들이 태어날 때에는 〈그 성품이〉 순후淳厚하였으나, 외물로 인하여 변천하였다.
사람의 자연적인 성품은 돈후敦厚하지만, 보는 바와 익히는 바의 외물로 인하여 변천하는 길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보이는 바를 삼가야 한다는 것이다.
〈인민은〉 윗사람이 명령하는 것은 어기고 〈윗사람이〉 좋아하는 것을 따르니,
인민은 윗사람에 대하여 그 명령하는 것은 따르지 않고 그 좋아하는 것을 따른다. 그러므로 임금은 좋아하는 것을 삼가지 않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네가 능히 상도常道를 공경하되 〈마음을〉 도덕道德에 두면 이에 변화하지 않는 자가 없어서 진실로 대유大猷(대도大道)의 경지에 오를 것이니,
네가 인민을 다스림에 있어서 능히 상도常道를 공경하되 〈마음을〉 도덕道德에 두면 이에 〈인민이〉 그 정치교화에 변화하지 않는 자가 없어서 진실로 대도大道의 경지에 오를 것이란 말이다.
〈그렇게 되면〉 나 한 사람은 많은 복을 받을 것이고,
네가 능히 대도大道의 경지에 오르면 나 한 사람도 응당 많은 복을 받아 흉하거나 위태함이 없을 게란 것이다.
너의 아름다움도 끝내 영원한 세상에 훌륭한 이름을 남길 것이다.”
단지 나만 많은 복을 받을 뿐만이 아니라 너의 아름다운 이름 또한 마침내 유구한 세상에 칭송을 들을 게란 것이다. 곧 죽어도 〈영원히〉 썩지 않는다는 말이다.
의 [惟民]에서 [영세永世]까지
정의왈正義曰:“인민이 처음 태어날 적에는 자연적인 성품이 모두 돈후敦厚하였지만, 보는 바와 익히는 외물로 인하여 본성이 변천變遷이 있게 되는데, 을 함은 모두 익히어 본받는 것이 그렇게 만듦에서 말미암는다.
인민의 성정性情은 윗사람이 명령하는 것은 어기기를 좋아해서, 명령을 하면 반드시 따르지 않는다. 그 임금이 좋아하는 것은 따라서, 임금이 좋아하는 것은 인민이 반드시 따르게 되니, 위에 있는 이는 좋아하는 것을 삼가지 않을 수 없다.
네가 백성을 다스림에 있어서 능히 상도常道를 공경하되 끝까지 항상 〈마음을〉 도덕道德에 두어 가르칠 것이다. 네가 도덕을 가지고 가르치면 이 인민이 변화하지 않을 자가 없다.
인민이 모두 변하여 너의 교화를 따르면 진실로 대도大道에 오를 것이다.
네가 능히 이와 같이 하면 나 한 사람 또한 응당 많은 복을 받아 흉함과 위태함이 없을 것이고, 너의 아름다운 이름 또한 끝내 칭송하는 아름다운 말이 장원한 세상에 있을 것이다.”


역주
역주1 : 古本에는 ‘民’으로 되어 있다. 아래 孔傳의 “人之於上”이란 ‘人’과 “汝治人能敬”이란 ‘人’도 마찬가지다.
역주2 爾克敬 典在德 : 蔡傳은 “‘敬典’이란 君臣․父子․兄弟․夫婦․朋友의 常道를 공경하는 것이고, ‘在德’이란 그 常典의 道를 얻어 몸에 드러내는 것이다.[敬典者 敬其君臣父子兄弟夫婦朋友之常道也 在德者 得其典常之道 而著之於身也]”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所] : 孔傳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4 (當從)[常道] : ≪定本校記≫에 “當從은 응당 ‘常道’가 되어야 할 것 같다.[當從 疑當作常道]”라고 하였으니, 우선 ≪定本校記≫에 의거하여 번역해둔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