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하시니 畢協賞罰하사 戡定厥功하사 用敷遺後人休하시니
[傳]惟周家新升王位하니 當盡和天下賞罰하여 能定其功하여 用布遺後人之美 言施及子孫無窮이라
今王 敬之哉인저
[傳]敬天道하여 務崇先人之美
하사 無壞我하소서
[傳]言當張大六師之眾하여 無壞我高德之祖 寡有之教命이라
[疏]‘太保’至‘寡命’
○正義曰:太保召公與司徒芮伯, 皆共諸侯竝進, 相顧而揖, 乃竝再拜稽首, 起而言曰
“敢告天子, 大天改大國殷之王命, 誅殺殷紂. 惟周家文王․武王大受天道而順之, 能憂我西土之民, 以此王有天下.
惟我周家新升王位, 當盡和天下賞罰, 戡定其爲王之功用, 布遺後人之美, 將使施及子孫, 無有窮盡之期.
今王新即王位, 其敬之哉. 當張大我之六師, 令國常強盛, 無令傾壞我高祖寡有之命. -戒王使繼先王之業也.- ”
[疏]○傳‘冢宰’至‘見外’
○正義曰:召公爲冢宰, 芮伯爲司徒, 司徒位次冢宰, 故言“太保與芮伯咸進.”
芮伯已下, 共告群臣諸侯竝皆進也. ‘相揖’者, 揖之使俱進也. 太保揖群臣, 群臣又報揖太保, 故言‘相揖’.
動足然後相揖, 故‘相揖’之文, 在‘咸進’之下.
[疏]○傳‘言文’至‘所起’
○正義曰:‘羑’, 聲近猷, 故訓之爲道. 王肅云 “羑, 道也.”
文武所憂, 非憂西土而已, 特言“能憂西土之民.” 本其初起於西土故也.
[疏]○傳‘言當’至‘教命’
○正義曰:‘皇’, 訓大也. 國之大事, 在於強兵, 故令張大六師之眾.
‘高德之祖’, 謂文王也. 王肅云 “美文王少有及之, 故曰‘寡有’也.”


나라가〉 새로 왕위王位에 올랐으니, 상벌賞罰을 모두 화협하게 시행하여 그 공적을 확실하게 안착시켜 후인에게까지 아름다움을 물려주어야 하시니,
나라가 새로 왕위王位에 올랐으니, 마땅히 천하의 상벌賞罰을 모두 화협하게 시행하여 그로 인한 공적을 확실하게 안착시켜 후인에게까지 아름다움을 넘겨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곧 자손에게까지 무궁하게 미쳐가게 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지금 (강왕康王)께서는 경건하게 힘쓰소서.
천도天道를 경건히 행하여 선인先人의 아름다움을 힘써 숭상하라는 것이다.
육사六師(육군六軍)를 확대해서 우리 높은 덕을 가진 조상의 흔치 않은 교명敎命을 무너뜨리지 마소서.”
마땅히 육사六師의 군중을 확대해서 우리 높은 덕을 가진 조상의 흔치 않은 교명敎命을 무너뜨리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의 [태보太保]에서 [과명寡命]까지
정의왈正義曰태보太保소공召公사도司徒예백芮伯이 모두 제후諸侯와 함께 아울러 나아가 서로 돌아보며 읍하고는 모두 〈왕에게〉 재배하고 머리를 조아렸다가 일어나서 말하였다.
“감히 천자天子께 아뢰옵니다. 위대한 하늘이 대국大國나라의 왕명을 바꾸시어, 나라 주살誅殺하였습니다. 나라의 문왕文王무왕武王께서 크게 천도天道를 받아 순종하여 능히 우리 서쪽 지방의 백성들을 걱정하셨으니, 이로써 께서 천하天下를 소유하셨습니다.
우리 나라가 새로 왕위王位에 올랐으니, 마땅히 천하天下상벌賞罰을 모두 화협하게 시행하여 그 이 된 공용功用을 확실하게 안착시켜 후인에게까지 아름다움을 넘겨주어서 장차 자손에게까지 미쳐가 무궁한 영년을 누리게 해야 합니다.
지금 께서 새로 왕위王位에 오르셨으니, 경건하게 힘쓰소서. 그리고 우리의 육사六師를 확대하여 나라를 항상 강성하게 해서 우리 높은 덕을 가진 조상의 흔치 않은 교명敎命을 무너뜨리지 말도록 해야 합니다. -을 경계하여 선왕先王의 공업을 계승하도록 한 것이다.- ”
의 [총재冢宰]에서 [見外]까지
정의왈正義曰소공召公총재冢宰가 되고 예백芮伯사도司徒가 되었으니, 사도司徒의 지위가 총재冢宰에 다음가기 때문에 “태보太保예백芮伯이 함께 나아갔다.”라고 말한 것이다.
예백芮伯 이하는 공동으로 군신群臣제후諸侯들에 알려서 아울러 모두 나아갔던 것이다. ‘상읍相揖’은 읍하고 함께 나아가게 한 것이다. 태보太保군신群臣에게 읍하고 군신群臣은 또 태보太保에게 보읍報揖하기 때문에 ‘상읍相揖’이라 말한 것이다.
발을 움직인 연후에 서로 읍하기 때문에 ‘상읍相揖’의 글이 ‘咸進’의 아래에 놓인 것이다.
의 [언문言文]에서 [所起]까지
정의왈正義曰:‘에 가깝기 때문에, 그를 로 풀이한 것이다. 왕숙王肅은 “‘의 뜻이다.”라고 하였다.
문왕文王무왕武王이 걱정한 것은 서토西土만 걱정할 뿐이 아니었지만, 특별히 “능히 서토西土의 백성을 걱정했다.”라고 말한 것은 최초 서토西土에서 일어난 것으로 거슬러 올라갔기 때문이다.
의 [言當]에서 [교명教命]까지
정의왈正義曰:‘’은 의 뜻으로 풀이한다. 나라의 큰일은 군대를 강하게 만드는 것에 있기 때문에 육사六師의 대중을 확대하도록 한 것이다.
문왕文王을 이른 것이다. 왕숙王肅은 “문왕文王이 흔히 있지 않은 일을 한 것을 아름답게 여긴 때문에 ‘寡有’라고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新陟王 : 蔡傳은 “새로 승하한 王”으로 풀이하였다.
역주2 張皇六師 : 朱子(≪朱子語類≫)는 “옛날에는 군인이 농민으로 조직되었기 때문에 六軍이 모두 농민에게 배정되었으니, ‘張皇六師’란 것은 바로 民衆을 정리해서 다스리는 뜻이다.[古者兵藏於農 故六軍皆寓於農 張皇六師 則是整理民衆底意思]”라고 풀이하였다.
역주3 高祖寡命 : 蔡傳은 “우리 文王과 武王이 어렵게 얻은 基命[我文武艱難寡得之基命]”으로 풀이하였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