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嗚呼 丕顯哉 文王謨
[傳]歎文王所謀大顯明이라
武王烈이여
[傳]言武王業美하여 大可承奉이라
啓佑我後人하시되 咸以正罔缺하시니
[傳]文武之謀業 大明可承奉하여 開助我後嗣하되 皆以正道無邪缺이라
爾惟敬明乃訓하여 用奉若于하여
[傳]汝惟當敬明汝五教하여 用奉順於先王之道하라
對揚文武之光命하며 하라
[傳]言當答揚文武光明之命하며 君臣各追配於前令名之人이라
[疏]‘嗚呼’至‘前人’
○正義曰:王又歎言 “嗚呼. 大是顯明哉, 文王之謀也. 大可承奉哉, 武王之業也.
文王之謀․武王之業, 開道佑助我在後之人, 皆以正道無邪缺, -言先王之道 易可遵也.-
汝惟敬明汝之五教, 用奉順於先王之道, 汝當答揚文武光明之命, 追配於前世令名之人. -令其順先王之道, 同古之大賢也.- ”
[疏]○傳‘言武’至‘承奉’
○正義曰:文王未克殷, 始謀造周, 故美其謀. 武王以殺紂功成業就, 故美其業.
謀則明白可遵, 業則功成可奉, 故謀言‘顯’, 烈言‘承’, 詩周頌武篇曰 “於皇武王, 無競維烈.” 亦美武王業之大也.
[疏]○傳‘文’至‘邪缺’
○正義曰:文始謀之, 武卒成之, 文謀大明, 武業可奉.
言先王以此成功, 開道佑助我之後人, 使我得安其事而奉行之, 以正道見其無邪, 罔缺失見其周備, 故傳言“無邪缺.”


아, 크게 드러났다. 문왕文王모책謀策이여.
문왕文王의 도모한 바가 크게 드러나 밝음을 차탄한 것이다.
크게 받들 만하다. 무왕武王공렬功烈이여.
무왕武王공업功業은 아름다워서 크게 받들 만하다고 말한 것이다.
우리 후인들을 계도하고 도와주시되, 모두 정도正道로써 하시고 결함이 없으셨으니,
문왕文王무왕武王의 모책과 공업은 크게 밝아 받들 만하여 우리 후인들을 개도하고 도와주되, 모두 정도正道로써 하고 사특함과 결함이 없었다는 것이다.
너는 너의 오교五敎[]를 공경히 밝혀서 선왕先王를 받들어 순종하여
너는 마땅히 너의 오교五教를 공경히 밝혀서 선왕先王를 받들어 순종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문왕文王무왕武王광명光明답사答謝하여 칭양稱揚하고, 전대前代의 사람에 추급追及해서 배합配合하도록 하라.”
마땅히 문왕文王무왕武王광명光明답사答謝하여 칭양稱揚하고, 임금과 신하가 각각 전세대前世代영명令名한 사람에 추급追及해서 배합配合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의 [오호嗚呼]에서 [전인前人]까지
정의왈正義曰은 또 탄식하며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다. “아, 크게 드러났다. 문왕文王모책謀策이여. 크게 받들 만하다. 무왕武王공업功業이여.
문왕文王모책謀策무왕武王공업功業이 우리 후인들을 개도하고 도와주시되, 모두 정도正道를 가지고 하시고 사특함과 결함이 없으셨으니, -선왕先王는 쉽게 따를 만함을 말한 것이다.-
너는 너의 오교五敎를 공경히 밝혀서 선왕先王를 받들어 순종하며, 너는 마땅히 문왕文王무왕武王광명光明답사答謝하여 칭양稱揚하고, 전세대前世代영명令名한 사람에 추급追及해서 배합配合하도록 하라. -선왕先王를 순종하기를 옛날의 대현大賢과 같이 하도록 한 것이다.- ”
의 [言武]에서 [승봉承奉]까지
정의왈正義曰문왕文王나라를 극복하지는 못하고 비로소 모책謀策하여 나라를 창조하였기 때문에 그 모책謀策을 아름답게 여긴 것이고, 무왕武王를 죽임으로써 공업功業이 성취되었기 때문에 그 공업功業을 아름답게 여긴 것이다.
는 명백하여 따를 만하고, 이 이루어져 받들 만하기 때문에 에는 ‘’을 말하고, 에는 ‘’을 말하였으니, ≪시경詩經≫ 〈주송周頌 〉편에 “아, 훌륭하신 무왕武王이여. 다툴 수 없는 공렬功烈이시었네.”라고 한 것 또한 무왕武王의 공업이 큼을 아름답게 여긴 것이다.
의 [문무文武]에서 [邪缺]까지
정의왈正義曰문왕文王은 비로소 모책謀策을 하고, 무왕武王은 마침내 그것을 이루었으니, 문왕文王의 모책은 크게 밝고, 무왕武王의 공업은 받들 만한 것이다.
선왕先王은 이로써 공업을 이루어 우리 후인들을 개도하고 도와서 우리로 하여금 그 일을 편안히 여겨 받들어 행할 수 있게 하되, 정도正道로써 하여 사특함이 없음을 보였고, 결함을 없애 두루 완비함을 보였기 때문에 에서 “사특함과 결함이 없었다.”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丕承 : 蔡傳은 “크게 계승했다.”로 풀이하였다.
역주2 先王 : 여기서는 成王과 康王을 가리킨다.
역주3 追配于前人 : 蔡傳은 ‘前人’을 君牙의 祖父로 보아, “〈너 또한 나를 보필하기를〉 前人에 追及해서 配匹하도록 하라.”로 풀이하였다.
역주4 (王)[武] : 저본에는 ‘王’으로 되어 있으나, 宋刊 單疏本에 의거하여 ‘武’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