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大都 小伯
[傳]小臣 猶皆慎擇其人이온 及百官有司之職 可以非其任乎
[傳]太史下大夫 掌邦六典之貳 尹伯長官大夫 及旅掌事之善士 皆得其人이라


대도大都소도小都도예道藝를 가진 사람으로 표간表幹이 되는 신하와 백사百司
소신小臣들도 외려 모두 그 적임자를 신중히 선택했거늘, 하물며 큰 도읍都邑소장小長도예道藝를 가진 사람으로 백성들의 표적정간表的楨幹이 되는 신하 및 백관유사百官有司은 〈신중하게〉 임용할 것이 아니었겠는가.
태사太史윤백尹伯과 여러 일상적인 일을 관장하는 길사吉士
태사太史하대부下大夫로 나라의 육전六典을 맡은 부관副官윤백尹伯장관대부長官大夫 및 여러 일상적인 일을 맡는 선사善士들을 모두 적임자를 뽑았다는 것이다.


역주
역주1 藝人表臣 百司 : 蔡傳은 ‘藝人’은 卜․祝․巫․匠과 같은 技藝를 가진 사람으로, ‘表臣百司’는 外府․外司服의 신하로 풀이하였다.
역주2 況大都邑之小長 以道藝爲表幹之臣 : 兪樾(≪群經平議≫)은 “‘藝人’은 褻御하는 사람(시종꾼)인데, 枚氏가 道藝를 가진 사람으로 풀이하였으니, 자못 古義가 아니다.[藝人者 褻御之人 枚氏以道藝釋之 殆非古義]”라고 하였다.
역주3 大都……庶常吉士 : 이것은 都邑의 관원들이다. 이에 대해여 呂祖謙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大都小伯’은 大都의 ‘伯’과 小都의 ‘伯’을 이르니, 大都에서는 ‘都’만 말하고 ‘伯’은 말하지 않았고, 小伯에서는 ‘伯’만 말하고 ‘都’는 말하지 않은 것은 상호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藝人’은 바로 ‘卜祝’과 ‘巫匠’이니, 技藝를 가지고 임금을 섬기는 사람이다. ‘表臣百司’는 바로 밖에 있는 百司다. ‘表’는 外의 뜻이니, ‘表’는 ‘裏’와 대칭되는 말이다. 윗글의 ‘百司’는 바로 內百司니, 內府․內司服과 같은 등속으로 이른바 ‘裏臣’이라는 것이고, 여기의 ‘百司’는 外百司니, 外府․外司服과 같은 등속으로 이른바 ‘表臣’이라는 것이다. ‘太史’는 바로 史官이다. ‘尹伯’은 바로 有司의 長이니, 疱人․內饔․膳夫와 같은 것은 여러 尹의 伯이고, 鐘을 맡은 ‘鐘師’와 磬을 맡은 ‘磬師’와 樂을 맡은 ‘太師’는 곧 여러 尹의 伯이다.
무릇 이른바 ‘官吏’란 내외의 百司 가운데 들어있지 않는 것이 없는데, 특별히 그 이름을 나타내기까지 한 것에서는 모두 뜻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虎賁’․‘綴衣’․‘趣馬’․‘小尹’․左右의 ‘攜僕’은 임금을 호위하고 친근히 하기 때문에 나타낸 것이고, ‘庶府’는 잡되고 천해서 사람들이 소홀히 하기 쉽기 때문에 나타낸 것이고, ‘藝人’은 혹 지나친 공교로움과 機詐를 일으켜 임금의 마음을 방탕하게 할까 염려해서 나타낸 것이고, ‘太史’는 諱惡(先王의 이름과 忌日)를 올려 천하 후세의 시비를 공정하게 하기 때문에 나타낸 것이고, ‘尹伯’은 大小가 서로 유지하여 체통이 관계되기 때문에 나타낸 것이고, 大都의 ‘伯’과 小都의 ‘伯’의 경우는 郊와 畿를 나누어 다스리니, 百司의 숫자에 들지 않는다.
이미 文王과 武王의 여러 직책을 조목별로 나열하여 숫자를 죽 적고 나서, 總結하기를 ‘庶常吉士다.’라고 하였는데, ‘庶’는 衆의 뜻이니, 文王과 武王의 조정에 있는 관리들은 常德吉士가 아님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大都小伯者 謂大都之伯․小都之伯也 大都 言都不言伯 小伯 言伯不言都 互見之也 藝人者 卜祝巫匠 執技以事上者 表臣百司者 在外之百司也 表 外也 表 對裏之詞 上文百司 蓋內百司 若內府內司服之屬 所謂裏臣也 此百司 蓋外百司 若外府外司服之屬 所謂表臣也 太史者 史官也 尹伯者 有司之長 如庖人內饔膳夫 則是數尹之伯也 鐘師尹鐘磬師尹磬大(太)師司樂 則是數尹之伯也 凡所謂官吏 莫不在內外百司之中 至於特見其名者 則皆有意焉 虎賁綴衣趣馬小尹左右僕 以扈衛親近而見 庶府는 以冗賤 人所易忽而見 藝人 恐其或興淫巧機詐 以蕩上心而見 太史 以奉諱惡 公天下後世之是非而見 尹伯 以大小相維體統所係而見 若大都小伯 則分治郊畿 不預百司之數者 旣條陳歷數文武之衆職 而總結之曰庶常吉士 庶 衆也 言在文武之廷 無非常德吉士也]”(≪增修東萊書說≫)
역주4 : 古本에는 없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