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尙書正義(6)

상서정의(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상서정의(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位不期驕 祿不期侈
[傳]貴不與驕期而驕自至 富不與侈期而侈自來 驕侈以行己 所以速亡이라
恭儉惟德이요 하라
[傳]言當恭儉하여 惟以立德이요 無行奸偽하라
作德하면 心逸하여 日休하고 作僞하면 心勞하여 日拙하나니라
[傳]爲德 이니 於心逸豫而名하고
爲偽 飾巧百端이니 於心勞苦而事日拙이라 不可爲니라


’는 교만과 기약하지 않아도 교만해지게 마련이고 ‘祿’은 사치와 기약하지 않아도 사치해지게 마련이니,
는 교만과 기약을 안 해도 교만이 저절로 이르기 마련이고, 는 사치와 기약을 안 해도 사치가 저절로 오기 마련이니, 교만과 사치를 몸에 행하면 패망을 부르게 된다는 것이다.
공손함과 검소함을 으로 삼고 너의 거짓을 행하지 말도록 하라.
마땅히 공손하고 검소하여 오직 만을 세우고 간사함과 거짓을 행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을 하면 마음이 편안하여 날로 아름다워지고, 거짓을 하면 마음이 고달파서 날로 졸렬해진다.
을 함은 정직한 도리로 행하는 것이니, 마음이 편안하여 이름이 날로 아름다워지고,
거짓을 함은 간교함을 백방으로 꾸미는 것이니, 마음이 고달파서 일이 날로 졸렬해진다. 〈이 때문에 거짓을〉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無載爾僞 : 蔡傳은 ‘載’를 事의 뜻으로 보아 “거짓에 종사해서는 안 된다.[不可從事於僞]”라고 풀이하였다.
역주2 直道而行 : ≪論語≫ 〈衛靈公〉에 “이 백성은 三代 적에 정직한 도리로 행해 왔기 때문이다.[斯民也 三代之所以直道而行也]”라는 데 보인다.
역주3 (且)[日] : 저본에는 ‘且’로 되어 있으나, 宋兩浙東路茶鹽司本에 의거하여 ‘日’로 바로잡았다.

상서정의(6)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