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正義

예기정의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2. 仲尼曰
君子 中庸이요 小人 反中庸이니라
[注]庸 常也
用中爲常道也
反中庸者 所行 非中庸이나 然亦自以爲中庸也
君子而時中者 其容貌君子 而又時節其中也
小人而無忌憚 其容貌小人 又以無畏難爲常行이니 是其反中庸也
○小人之中庸也 王肅本作小人之反中庸也
畏也
難也
子曰
中庸 其至矣乎인저
[注]鮮 罕也
言中庸爲道至美로되 顧人罕能久行이라
○中庸其至矣乎 一本作中庸之爲德其至矣乎
希也 少也
子曰
道之不行也 我知之矣로라
知者 過之하고 愚者 不及也니라
道之不明也 我知之矣로라
賢者 過之하고 不肖者 不及也니라
人莫不飮食也언마는 鮮能知味也니라
[注]罕知其味 謂愚者所以不及也
過與不及 使道不行이니 唯禮能爲之中이라
子曰
道其不行矣夫인저
[注]閔無明君敎之
[疏]‘仲尼’至‘矣夫’
○正義曰 : 此一節是子思引仲尼之言, 廣明中庸之行, 賢者過之, 不肖者不及也, 中庸之道, 鮮能行之.
○‘君子 中庸’者, 庸, 常也.
君子之人, 用中以爲常,
故云‘君子中庸’.
○‘小人 反中庸’者, 小人則不用中爲常, 是‘反中庸’也.
○‘君子之中庸也 君子而時中’者, 此覆說君子中庸之事,
言君子之爲中庸, 容貌爲君子, 心行而時節其中, 謂喜怒不過節也,
故云‘君子而時中’.
○‘小人之中庸也 小人而無忌憚也’者, 此覆說小人反中庸之事,
言小人爲中庸, 形貌爲小人, 而心行無所忌憚,
故云‘小人而無忌憚也’.
小人將此以爲常, 亦以爲中庸,
故云‘小人之中庸也’.
○‘子曰 中庸 其至矣乎’, 前旣言君子小人不同, 此又歎中庸之美, 人寡能久行, 其中庸之德至極美乎.
○‘民鮮能久矣’者, 但寡能長久而行.
鮮, 罕也.
言中庸爲至美, 故人罕能久行之.
○‘子曰 道之不行也 我知之矣’者, 此覆說人寡能行中庸之事.
道之所以不行者, 言我知其道之不行所由,
故云‘我知之矣’.
○‘知者 過之 愚者 不及也’, 以輕於道, 故過之. 以遠於道, 故不及.
○‘道之不明也 我知之矣’者, 言道之所以不顯明, 我亦知其所由也.
○‘賢者 過之 不肖者 不及也’, 言道之不行爲易,
故‘知者過之, 愚者不及’.
道之不明爲難,
故云‘賢者過之, 不肖者不及’.
是以變知稱賢, 變愚稱不肖, 是賢勝於智, 不肖勝於愚也.
○‘人莫不飮食也 鮮能知味也’者, 言飮食易也, 知味難也.
猶言人莫不行中庸, 但鮮能久行之.
言知之者易, 行之者難, 所謂愚者不能及中庸也.
案異義云, ‘, ,
爲靑州剌史, 善能知味, 食雞知棲半露, 食鵝知其黑白.’ 此皆晉書文也.
‘子曰 道其不行久矣夫’者, 夫子旣傷道之不行, 又哀閔傷之, 云時無明君, 其道不復行也.
○注‘反中’至‘庸也’.
○正義曰 : ‘反中庸者 所行 非中庸’者, 言用非中以爲常, 是‘反中庸’,
故云‘所行 非中庸’.
云‘亦自以爲中庸也’, 解經‘小人之中庸’,
雖行惡事, 亦自謂爲中庸.
云‘其容貌君子 而又時節其中也’, 解經‘君子而時中’.
云‘其容貌小人 又以無畏難爲常行’者, 解經‘小人而無忌憚’.
旣無忌憚, 則不時節其中庸也.


중니仲尼(孔子)가 말하였다.
군자君子는 중용을 행하고 소인小人은 중용을 어긴다.
군자의 중용은 〈용모가〉 군자다우면서 을 때에 맞게 절제하는 것이요, 소인의 중용은 〈용모가〉 소인스러우면서 〈마음에〉 두려워하고 어려워함이 없는 것이다.”
(떳떳하다)이다.
을 사용함이 떳떳한 이다.
반중용反中庸은 행한 것이 중용이 아니나, 또한 스스로 중용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군자이시중君子而時中은 그 용모가 군자다우면서 또 그 을 때에 맞게 절제하는 것이다.
소인이무기탄小人而無忌憚은 그 용모가 소인스러우면서, 또 〈마음에〉 두려워하고 어려워함이 없음을 떳떳한 행실로 삼으니, 이것이 그 반중용反中庸이다.
○‘소인지중용야小人之中庸也’는 왕숙본王肅本에 ‘소인지반중용야小人之反中庸也’로 되어 있다.
는 두려워함이다.
은 어려워함이다.
공자孔子가 말하였다.
“중용은 참 지극하구나.
사람이 오래도록 행할 수 있는 이가 드물다.”
은 드묾이다.
중용의 됨이 지극히 아름다우나, 다만 사람이 오래도록 행할 수 있는 이가 드묾을 말한 것이다.
○‘중용기지의호中庸其至矣乎’는 어떤 판본에 ‘중용지위덕中庸之爲德 기지의호其至矣乎’라고 되어 있다.
은 드묾[希]이며 적음[少]이다.
공자孔子가 말하였다.
가 행해지지 않〈는 이유〉를 내가 알겠다.
지혜로운 자는 〈보다〉 지나치고, 어리석은 자는 〈에〉 못 미치기 때문이다.
가 밝아지지 않〈는 이유〉를 내가 알겠다.
현명한 자는 〈보다 행동이〉 지나치고, 못난 자는 〈에 행동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람이 먹고 마시지 않는 이가 없지만, 맛을 잘 아는 이가 드물다.”
제 맛을 아는 이가 드묾은 어리석은 자가 미치지 못하기 때문임을 이른 것이다.
지나침과 못 미침이 가 행해지지 않게 하니, 만은 이라고 할 수 있다.
공자孔子가 말하였다.
가 아마 행해지지 않겠구나.”
현명한 임금의 교화敎化가 없음을 근심한 것이다.
의 [仲尼]에서 [矣夫]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한 단락은 자사子思중니仲尼의 말을 인용하여 중용中庸의 행실을 현명한 자는 지나치고 못난 자는 못 미치기 때문에, 중용의 를 행할 수 있는 이가 드묾을 널리 밝힌 것이다.
○[君子 中庸](떳떳하다)이다.
군자인 사람은 을 사용함을 이라고 여긴다.
그러므로 ‘군자는 중용을 행한다.’라고 한 것이다.
○[小人 反中庸] 소인은 을 사용하지 않음을 이라고 여기니, 이것이 ‘중용을 어기는 것’이다.
○[君子之中庸也 君子而時中] 이것은 ‘군자중용君子中庸’의 일을 설명한 것이다.
군자가 중용을 행함은 용모가 군자답고 마음과 행실이 그 을 때에 맞게 절제함을 말하니, 기쁨‧노여움이 절도節度를 넘지 않음을 이른다.
그러므로 ‘군자다우면서 때에 맞게 절제한다.’라고 한 것이다.
○[小人之中庸也 小人而無忌憚也] 이것은 ‘소인반중용小人反中庸’의 일을 설명한 것이다.
소인이 중용을 행함은 생긴 모습이 소인스럽고 마음과 행실에 두려워하고 어려워하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소인스러우면서 〈마음에〉 두려워하고 어려워함이 없다.’라고 한 것이다.
소인은 이것을 이라고 여기고, 또한 중용이라고 여긴다.
그러므로 ‘소인의 중용’이라고 한 것이다.
○[子曰 中庸 其至矣乎] 앞에서 이미 군자와 소인이 다름을 말하였고, 여기서 또 중용의 아름다움을 사람이 오래도록 행할 수 있는 이가 적음을 탄식하여 ‘그 중용의 이 지극히 아름답구나.’라고 한 것이다.
○[民鮮能久矣] 다만 오래도록 행할 수 있는 이가 적다는 것이다.
은 드묾이다.
중용이 지극히 아름답기 때문에 사람이 오래도록 행할 수 있는 이가 드묾을 말한 것이다.
○[子曰 道之不行也 我知之矣] 이것은 사람이 중용의 일을 행할 수 있는 이가 적음을 다시 설명한 것이다.
가 행해지지 않는 것을, 내가 그 가 행해지지 않는 사유를 안다고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내가 알겠다.’라고 한 것이다.
○[知者 過之 愚者 不及也]를 가볍게 여기기 때문에 지나치고, 를 멀리 있다고 여기기 때문에 못 미치는 것이다.
○[道之不明也 我知之矣]가 환히 밝아지지 않는 것을 내가 또한 그 사유를 안다고 말한 것이다.
○[賢者 過之 不肖者 不及也]가 행해지지 않〈는 이유를 아〉는 것은 쉽다.
그러므로 ‘지자과지知者過之 우자불급愚者不及(지혜로운 자는 〈보다〉 지나치고, 어리석은 자는 〈에〉 못 미친다.)’이라고 한 것이다.
가 밝아지지 않〈는 이유를 아〉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현자과지賢者過之 불초자불급不肖者不及(현명한 자는 〈보다 행동이〉 지나치고, 못난 자는 〈에 행동이〉 미치지 못한다.)’이라고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자를 바꿔 이라 일컫고 자를 바꿔 불초不肖라고 일컬은 것이니, 현명한 자가 지혜로운 자보다 낫고 못난 자가 어리석은 자보다 낫기 때문이다.
○[人莫不飮食也 鮮能知味也] 먹고 마심은 쉽고, 맛을 앎은 어려움을 말한 것이다.
사람이 중용을 행하지 않는 이가 없으나, 오래도록 행할 수 있는 이가 드물다고 말한 것과 같다.
그것을 아는 것은 쉽고 행하기는 어려움을 말한 것이니, 이른바 어리석은 자는 중용에 미칠 수 없다는 것이다.
오경이의五經異義》를 살펴보면, ‘장화張華가 생선젓을 분별하고 사광師曠이 땔감을 구별하였으며, 부랑符朗청주자사靑州刺史가 되었는데 맛을 잘 알아 닭고기를 먹고는 그 닭이 반쯤은 노천露天에서 잤음을 알았고, 거위고기를 먹고는 그것이 깃털이 검은 부분의 고기인지 깃털이 흰 부분의 고기인지 알았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모두 《진서晉書》의 글이다.
[子曰 道其不行久矣夫]부자夫子(孔子)가 이미 가 행해지지 않음을 가슴 아파하였는데, 또 근심하고 가슴 아파하며 “당시 현명한 임금이 없어 그 가 다시 행해지지 않겠다.”라고 한 것이다.
의 [反中]에서 [庸也]까지
정의왈正義曰 : [反中庸者 所行 非中庸]이 아닌 것을 사용하고서 이라고 여김이 ‘반중용反中庸’임을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행한 것이 중용이 아니다.’라고 한 것이다.
[亦自以爲中庸也]경문經文의 ‘소인지중용小人之中庸’을 풀이한 것이다.
비록 나쁜 일을 행하였으나, 또한 스스로 중용을 실천했다고 여긴다는 것이다.
[其容貌君子 而又時節其中也]경문經文의 ‘군자이시중君子而時中’을 풀이한 것이다.
[其容貌小人 又以無畏難爲常行]경문經文의 ‘소인이무기탄小人而無忌憚’을 풀이한 것이다.
이미 〈마음에〉 두려워하고 어려워함이 없다면 그 중용을 때에 맞게 절제하지 못할 것이다.


역주
역주1 君子而時中……小人而無忌憚也 : 兪樾(淸)은 ‘君子而時中’과 ‘小人而無忌憚也’를 鄭玄이 君子와 小人을 容貌로 풀이한 것이 매우 천박하다고 하면서 “두 ‘而’자는 마땅히 ‘能’자로 풀이해야 한다.[兩而字皆當讀作能]”라고 하였다.(《群經平議》 〈小戴禮記 四〉 君子之中庸也君子而時中小人之中庸也小人而無忌憚也條)
역주2 小人之中庸也 : 陸德明의 《經典釋文》에 “王肅本에는 ‘小人之反中庸也’라고 되어 있다.[王肅本作小人之反中庸也]”라고 하였는데, 程頤와 朱熹가 모두 이 說을 따랐다.
그러나 兪樾(淸)은 “無忌憚은 鄭玄 注의 이른바 〈마음에〉 두려워하고 어려워함이 없다는 것이다. 〈마음에〉 두려워하고 어려워함이 없기 때문에 사람들이 잘 하지 않는 것을 하여 중용에 합하기를 구한다. 그러나 중용의 道와 서로 정반대가 됨을 모르니, 이것을 소인의 중용이라고 이른다. 소인의 중용은 바로 그 중용을 어김이다.……王肅本은 ‘小人之中庸’ 구절에 함부로 反자를 보탰다.[無忌憚者 鄭注所謂不畏難也 惟不畏難 故能爲人所不能爲 以求合乎中庸 而不知正與中庸之道相反 是謂小人之中庸矣 小人之中庸 卽其反中庸也……王肅本於小人之中庸句 又妄增反字]”라고 하여 ‘反’자를 첨가하는 견해에 반대한다.(《群經平議》 〈小戴禮記 四〉 君子之中庸也君子而時中小人之中庸也小人而無忌憚也條)
역주3 中庸……民鮮能久矣 : 《論語》 〈雍也〉에는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民鮮久矣”로 되어 있다. 何晏(魏)은 《論語集解》에서 “백성 가운데 이 도리를 잘 실천할 수 있는 이가 드물어진 지 오래되었다.[民鮮能行此道久矣]”라고 하였고, 朱熹도 이 견해와 같다. 그러나 鄭玄과 孔穎達은 “이 중용의 도를 오래도록 실천할 수 있는 이가 드물다.”는 뜻으로 풀이하였다.
역주4 張華辨鮓 : 張華는 晉나라 사람으로 字는 茂先이다. 陸機라는 사람이 장화에게 생선젓을 대접했는데, 장화가 그 뚜껑을 열어보고 “이것은 龍고기이다.”라고 하였다. 사람들이 믿지 않자, 장화가 “한번 독한 술로 씻어보라. 반드시 이상한 일이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렇게 하자〉 이윽고 오색 광채가 일어났다. 육기가 생선젓의 주인에게 물어보니, 정말로 “동산의 띠풀더미 아래에서 흰 물고기를 얻었는데 모양이 매우 특이하였습니다. 젓을 담가보니 〈맛이〉 매우 좋았기 때문에 올린 것입니다.”라고 하였다.(《晉書》 〈張華列傳〉)
역주5 師曠別薪 : 師曠은 春秋時代 晉나라의 樂師이다. 옛날에 사광이 밥을 먹을 때, “이것은 고생한 나무[勞薪]로 불을 때서 밥을 지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晉 平公이 사람을 시켜 알아보게 하니, 〈땔감이〉 과연 오래된 수레바퀴의 테였다.(《隋書》 〈王劭傳〉) 오래된 수레바퀴는 짐을 실어 나르느라 고생하였기 때문에 勞薪이라고 한 것이다.
역주6 符朗爲靑州剌史……食鵝知其黑白 : 符朗은 晉나라 사람으로 字는 元達이다. 어떤 사람이 닭을 잡아 부랑에게 먹이자, 부랑이 먹고 나서 “이 닭은 항상 반쯤은 露天에서 잤다.”고 하였는데, 확인해보니 모두 들어맞았다. 또 거위고기를 먹고는 깃털이 검은 부분의 고기인지 흰 부분의 고기인지[黑白之處]를 알았다. 사람들이 믿지 않았으나, 시험해보면 털끝만큼도 차이가 없으니, 당시 사람들이 모두 맛을 안다고 하였다.(《晉書》 〈苻堅載記 下〉)
역주7 符朗 : 《晉書》 〈苻堅載記〉에는 苻朗으로 되어 있다.

예기정의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