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正義

예기정의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5. 子曰
回之爲人也 擇乎中庸하여 得一善則拳拳服膺而弗失之矣니라
[注]拳拳 奉持之貌
子曰
天下國家 可均也 爵祿 可辭也 白刃 可蹈也로되 니라
[注]言中庸難爲之難이라
[疏]‘子曰’至‘能也’
○正義曰 : 此一節是夫子明顔回能行中庸, 言中庸之難也.
○‘得一善則拳拳服膺而弗失之矣’者, 言顔回選擇中庸而行, 得一善事, 則形貌拳拳然奉持之.
膺, 謂胸膺, 言奉持守於善道, 弗敢棄失.
○‘子曰 天下國家 可均也’, 天下謂天子, 國謂諸侯, 家謂卿大夫也.
○‘白刃 可蹈也’者, 言白刃雖利, 尙可履蹈而行之.
○‘中庸 不可能也’, 言在上諸事, 雖難猶可爲之, 唯中庸之道不可能也.
爲‘知者過之, 愚者不及’, 言中庸難爲之難也.


공자孔子가 말하였다.
안회顔回의 사람됨은 중용을 선택하여 한 가지 을 얻으면 정성스럽게 가슴에 지니고서 그것을 잃지 않는다.”
권권拳拳은 보존하여 지키는 모습이다.
공자孔子가 말하였다.
“천하와 국가도 고르게 다스릴 수 있으며, 벼슬과 녹봉도 사양할 수 있으며, 서슬 퍼런 칼날도 밟을 수 있지만, 중용은 잘할 수 없다.”
중용中庸이 실천하기 어려운 것 가운데서도 어려운 것임을 말한 것이다.
의 [子曰]에서 [能也]까지
정의왈正義曰 : 이 한 단락은 부자夫子(孔子)가, 안회顔回중용中庸을 잘 행하였음을 밝힌 것이니, 중용의 〈실천이〉 어려움을 말한 것이다.
○[得一善則拳拳服膺而弗失之矣]안회顔回중용中庸을 선택하여 행함에 한 가지 을 얻으면 그 모습이 정성스럽게 보존하여 지키는 듯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은 가슴[胸膺]을 이르니, 를 보존하여 지켜 감히 잃어버리지 않음을 말한 것이다.
○[子曰 天下國家 可均也]천하天下천자天子를 이르고, 제후諸侯를 이르고, 대부大夫를 이른다.
○[白刃 可蹈也] 서슬 퍼런 칼날이 비록 날카롭더라도 오히려 밟고 갈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中庸 不可能也] 앞에 있는 여러 가지 일이 비록 〈실천하기〉 어렵더라도 행할 수 있지만, 중용中庸만은 잘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앞의 경문經文에서〉 ‘지혜로운 자는 〈보다〉 지나치고, 어리석은 자는 〈에〉 못 미친다.’라고 한 것은 중용中庸이 실천하기 어려운 것 가운데서도 어려운 것임을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中庸 不可能也 : 朱熹는 “中庸에 이르러서는 비록 잘하기 쉬울 것 같으나, 義에 精通하고 仁에 熟達하여 한 터럭만큼의 사사로운 人欲이 없는 자가 아니면 〈그 중용에〉 미칠 수 없다. 세 가지는 어려우면서 쉽고, 중용은 쉬우면서 어렵다.”라고 하였다.

예기정의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