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6608 立視五하며 式視馬尾하며 顧不過轂이니라.
集說
[集說] 立 謂立於車上也
○ 疏호대, 雟 規也, 車輪一周 爲一規.
乘車之輪 六尺六寸이니, 徑一 圍三이라. 得一丈九尺八寸이니
五規 爲九十九尺이라.
六尺 爲步하니, 總爲十六步半이니, 在車上 所視則前十六步半也.
引車 其尾近車闌하니, 車上憑式下頭時 不得遠矚이오, 但瞻視馬尾.
車轂也.
若轉頭 不得過轂이니, 論語호대 車中不內顧 是也.
大全
[大全] 馬氏호대 先王之時 作奇技奇器하여 以疑衆者 有刑하고 作淫巧하여 以蕩上心者 有禁이라.
車不中度 不鬻於市하고 用器不中度 不鬻於市하니
則爲國君者 其可以乘奇車哉리오.
圓者 中規하고 方者 中矩하고 立者 中縣하고 衡者 中水.
玉路以象德之美하고 金路以象義之和하고 象路以象義之辨하고 革路以象義之制하고 木路以象仁之質이라.
凡欲人君으로 俯仰而觀之 則思合天地之德하고 周旋而視之 則思合日月星辰之明하야
出入 不踰於規矩權衡하고 言動 不離於道德仁義然後에야 奇邪之志 不萌於心而中正之行 可律于下.
然則非禮之奇車 其可乘哉.
則不廣欬 口之儀也, 不妄指 手之儀也 立視五雟하고 式視馬尾 目之儀也, 顧不過轂 首之儀也.
立欲平이라 視五雟하고 式欲俯 視馬尾니라.


〈수레 위에〉 서 있을 때에는 다섯 바퀴 거리 정도의 앞을 보고, 식례式禮를 할 때에는 말의 꼬리를 보며, 뒤를 돌아볼 때에는 바퀴통을 벗어나지 않는다.
集說
[集說]은 수레 위에 서 있는 것이다.
: 이니, 수레바퀴가 한 번 회전하는 거리가 1이다.
승거乘車의 바퀴는 높이가 6 6이고 둘레는 지름의 세 배이므로 1 9척 8촌이 된다.
따라서 5규는 99척이 된다.
6척이 1이므로 총 16보 반이 되니, 수레 위에서 시선이 전방 16보 반 쯤에 머무르는 것이다.
말이 수레를 끌 때에 그 꼬리가 수레 난간에 가깝기 마련이니, 수레 위에서 에 기대어 고개를 숙일 때, 멀리 보아서는 안 되고, 다만 말의 꼬리만 본다.
은 수레 바퀴통이다.
머리를 뒤로 돌릴 때엔 시선이 바퀴통을 지나서는 안 되니 《논어論語》에 “수레 안에서는 뒤를 돌아보지 않으셨다.”라는 것이 이것이다.
大全
[大全]마씨馬氏 : 선왕先王의 시대에는 기이奇異한 술수를 부리거나 이상한 물건을 만들어서 많은 사람들을 미혹시키는 것은 형벌이 있었으며, 지나치게 정교하게 꾸며서 임금의 마음을 흐리게 하는 것은 금지를 시켰다.
그래서 수레가 법도에 맞지 않으면 시장에서 팔 수가 없었고, 기물器物이 법도에 맞지 않으면 시장에서 팔 수가 없었다.
그러니 나라의 임금으로서 어찌 기거奇車를 탈 수 있었겠는가?
대개 수레를 만드는 법이, 수레의 가로장[軫]은 네모나서 땅을 본뜨고, 지붕[蓋]은 둥글어서 하늘을 본떴으며, 바퀴[輪]와 바퀴살[輻]은 해와 달을 본떴고, 개궁蓋弓으로는 별을 본뜬 것이다.
〈수레의 여러 가지 모양 중〉 둥그런 것은 그림쇠[規]에 맞고 네모난 것은 곱자[矩]에 맞으며, 서 있는 것은 다림추[縣]에 맞고 평평한 것은 수준기[水]에 맞는다.
옥로玉路의 아름다움을 본떴고 금로金路의 고름을 본떴으며, 상로象路의 분별을 본떴고 혁로革路의 절제를 본떴으며, 목로木路의 본질을 본뜬 것이다.
〈그러니 이 모든 것들은〉 임금으로 하여금 내려 보고 올려다 봄에 천지天地합일合一할 것을 생각하도록 하고, 주위를 돌아봄에 일월성신日月星辰의 밝음에 합일合一할 것을 생각하도록 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출입出入에 곱자나 그림쇠, 저울대의 바름에 어긋나지 않고 언행言行도덕道德인의仁義에 벗어나지 않은 뒤에야 기이奇異하고 사특邪慝한 마음이 가슴속에서 싹트지 않아서 중정中正의 거동으로 아래에 모범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기물器物로서 를 나타내고 로써 〈백성의〉 신뢰를 얻는다는 말이다.
그런즉 예가 아닌 기거奇車를 탈 수 있겠는가.
주관周官도우道右가 왕이 수레 위에서 하는 거동에 대하여 아뢴다고 하였으니 큰 소리를 내어 기침하지 않는 것은 입의 거동이고, 함부로 손가락질하지 않는 것은 손의 거동이며, 〈수레 위에〉 서 있을 때에 다섯 바퀴 거리 정도의 앞을 보고, 식례式禮를 할 때에는 말의 꼬리를 보는 것은 눈의 거동이고, 뒤를 돌아볼 때에는 바퀴통을 벗어나지 않는 것은 머리의 거동이다.
〈수레 위에〉 바르게 서 있으려고 다섯 바퀴 정도의 앞을 보는 것이고, 구부려 식례를 하려고 말의 꼬리를 보는 것이다.


역주
역주1 : 휴
역주2 軫方以象地……輪輻以象日月 : 이 글에서 인용된 《周禮注疏》의 원문은 아래와 같다. “軫이 네모난 것은 땅을 상징한 것이며, 蓋가 둥근 것은 하늘을 상징한 것이다. 輪과 30개의 輻은 해와 달을 상징한 것이며, 28개의 蓋弓(수레의 지붕을 바치는 나무)은 별을 상징한 것이다. 注에 輪이 해와 달을 상징했다고 하는 것은 運行하는 것으로써 한 것이다. 해와 달은 30일이 되면 合宿한다. 疏에 輪이 일월을 상징했다고 이른 것은 운행하는 것으로써 말한 것이다. 해와 달은 30일이 되면 合宿한다고 注에서 해석했는데, 輪은 바로 운행하는 물건이다. 日에 있어서는 1日에 1도를 움직이고 1년이면 하늘을 한 번 돌며, 月은 1日에 13과 7/19도씩 움직여서 1월(대략 30일)에 한번씩 하늘을 돌아서 해와 달이 만나는데[合宿] 이는 日과 月이 또한 운행하는 것이어서 바퀴를 상징한 것이다.[軫之方也以象地也 蓋之圜也以象天也 輪輻三十以象日月也 蓋弓二十有八以象星也 注 輪象日月者以其運行也 日月三十日而合宿 疏 釋曰 云輪象日月者 以其運行也 日月三十日 而合宿者 輪乃運行之物 至於日 則一日行一度一年一周天 月行十三度十九分度之七 一月一周天 又行一辰遂及日而合宿 是日月亦是運行之物 故以輪象之也]” 《周禮注疏》 卷40
역주3 蓋弓 : 蓋弓은 수레 지붕을 지탱해 주는 28개의 활처럼 휘게 만든 나무 지지대를 말한다. 28개를 한 것은 바로 하늘의 二十八宿를 상징한 것이다. 《漢語大詞典》 蓋弓조
역주4 器以藏禮 禮以出信者也 : 《春秋左傳》 成公 2년 傳에 위나라에서 功을 세운 大夫 仲叔于奚에게 상으로 邑을 주려고 하자 于奚가 읍 대신에 제후가 쓰는 音樂와 服飾을 사용할 수 있도록 요청하자 이를 허락하였다. 이를 듣고 공자께서 다음과 같이 비판하셨다. “애석한 일이다. 고을을 많이 주는 것만 못한 일이다. 器[車服]와 名[爵號]은 남에게 빌려 줄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은 임금이 맡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名位[爵號]에 어긋나지 않도록 정치를 잘 함으로써 백성의 신뢰를 얻으며, 백성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지위를 나타내는 수레나 복식 등의 각종 器物을 지키는 것이다. 器物은 예가 깃들어 있는 것이니 그 器物로써 예가 드러나는 것이며, 예로써 신분에 따른 마땅함을 얻는 것이니 이것이 義이다. 義로써 이익을 내며, 이익으로 백성들을 다스릴 수 있으니 이것이 정치의 大綱이다. 만약 이러한 名器를 남에게 빌려 준다면 이는 정권을 주는 것이다. 정치가 망하면 나라도 그것을 따르게 되어 막을 수가 없는 것이다.[仲尼聞之 曰惜也 不如多與之邑 唯器與名 不可以假人 君之所司也 名以出信 信以守器 器以藏禮 禮以行義 義以生利 利以平民 政之大節也 若以假人與人政也 政亡則國家從之 弗可止也已]” 《左傳杜林合注》 卷21
역주5 周官道右詔王之車儀 : 道右는 수레의 오른쪽에 타고서 왕의 거행을 돕는 직임으로서 上士 2인이 담당한다.[道右 掌前道車 王出入 則持馬陪乘 如齊車之儀] 《周禮注疏》 卷32 [道右 上士二人 此 充象路之右] 《周禮句解》 卷8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