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禮記集說大全(1)

예기집설대전(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예기집설대전(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012101 大夫士 出入君門호대 由闑右하고 이니라.
集說
[集說] 闑 門橛也 當門之中이라
闑東 爲右 主人 入門而右하고 入門而左하나니
大夫士 由右者 以臣從君이라 不敢以賓敵主也.
大全
[大全] 永嘉戴氏호대 君門雖遠이나 有君 在焉하시니 臣子 烏得而不敬이리요.
出入君門 如見其君然하야 鞠躬屛息하며 不敢中立하고 不敢履閾 所以習其恭敬卑下之意也.
推此意也 其敢喧譁於殿陛之間乎.
見君之乘車與君之路馬에도 猶不敢慢也 況入君門者乎.
以此 敎天下라도 朝廷之儀 猶有不肅者어든 況於君門乎.
雖然이나 大夫士 自事其君之禮也, 若適他國하야 爲聘享之禮 則不然하니,
少儀호대 이라 하니라.


대부大夫가 임금의 을 출입할 때에는 문기둥의 오른쪽으로 출입하고, 문턱을 밟지 않는다.
集說
[集說]은 문에 세운 말뚝이니 문의 중앙에 해당한다.
의 동쪽이 오른쪽이 되니, 주인은 문을 들어갈 때 오른쪽으로 들어가고 빈객은 문을 들어갈 때 왼쪽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대부大夫가 오른쪽으로 들어가는 것은, 신하는 임금을 따르는 입장이므로 감히 임금에 대하여 빈객으로서 처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大全
[大全]영가대씨永嘉戴氏 : 임금의 이 비록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임금이 계신 곳이니 신자臣子가 어찌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임금의 을 출입하기를 마치 그 임금을 뵙듯이 하여 몸을 조아리고 숨을 죽여서 감히 중문中門에 서지 않고 문턱을 밟지 않는 것은 공경과 겸손을 익히려는 뜻이다.
이러한 뜻을 미루어 나가면 어찌 감히 어전의 섬돌 아래에서 소란을 피울 수 있겠는가.
임금이 타는 수레와 수레를 끄는 말을 보아도 오히려 감히 소홀히 할 수 없는데 더구나 임금이 계시는 궁궐의 문을 들어가는 경우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
〈그러나〉 이렇게 천하를 가르쳐도 〈임금과 직접 만나는〉 조정의 의식에 오히려 엄숙하지 아니한 자가 있으니 하물며 군문君門이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따라서 특히 에 이를 거론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대부와 가 자기의 임금을 섬기는 예이고, 다른 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연향宴享을 할 때에는 그러하지 않다.
〈《예기禮記》의〉 〈소의少儀〉에는 “공적인 일은 문기둥의 서쪽으로 들어가고, 사적인 일에는 문기둥의 동쪽으로 들어간다.” 하였다.


역주
역주1 不踐閾 : 孔疏에 “踐은 밟다의 뜻이다. 출입할 때 문턱을 밟아서는 안 된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첫째로는 잘난 체하는 것으로 보이고 둘째로는 〈턱이〉 더럽혀지기 때문인데, 이 두 가지는 모두 不敬한 짓이기 때문이다.[踐 履也 出入不得踐履門限 所以爾者 一則自高 二則不淨 竝爲不敬]” 하였다.
역주2 公事……自闑東 : ‘公事自闑西’ 以下가 〈少儀〉에 나온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玉藻〉에 수록되어 있어 아마도 誤謬가 아닌가 의심된다.

예기집설대전(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