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注]遐 遠也 義取臣心愛君하니 雖離左右라도 不謂爲遠이라 愛君之志 恒藏心中하니 無日蹔忘也
[疏]‘詩云’至‘忘之’
○正義曰:夫子述事君之道旣已, 乃引小雅隰桑之詩以結之.
言忠臣事君, 雖復有時離遠, 不在君之左右, 然其心之愛君, 不謂爲遠, 中心常藏事君之道, 何日暫忘之.
[疏]○注‘遐遠’至‘忘也’
○正義曰:云“遐 遠也 義取臣心愛君 雖離左右 不謂爲遠”者, 釋詁文, 此釋“心乎愛矣, 遐不謂矣”.
云“愛君之志 恒藏心中 無日蹔忘也”者, 釋“中心藏之, 何日忘之”.
案檀弓說事君之禮云 “左右就養有方.” 此則臣之事君, 有常在左右之義也.


≪시경≫에 ‘마음으로 사랑하니 멀리 있어도 멀다고 생각되지 않네.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으니 어느 날인들 잊겠는가.’라고 하였다.”
(멂)이다. ‘신하가 마음으로 임금을 사랑하니 비록 곁에서 떨어져 있어도 멀리 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임금을 사랑하는 뜻을 항상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으니 잠시도 잊히는 날이 없다.’라는 뜻을 취한 것이다.
의 [시운詩云]부터 [망지忘之]까지
정의왈正義曰부자夫子(공자孔子)가 임금 섬기는 도리에 대한 서술을 마치고 나서 ≪시경≫ 〈소아 습상小雅 隰桑〉의 시를 인용하여 마무리하였다.
충신忠臣이 임금을 섬길 적에 비록 멀리 떠나 임금 곁에 있지 못하는 때가 있더라도 임금을 사랑하는 마음에는 멀리 있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마음속에 항상 임금 섬기는 도리를 간직하고 있으니, 어느 날인들 잠시라도 잊겠는가.’라는 말이다.
의 [하원遐遠]부터 [망야忘也]까지
정의왈正義曰:[하 원야遐 遠也 의취신심애군 수리좌우義取臣心愛君 雖離左右 부위위원不謂爲遠] “(멂)이다.”는 ≪이아爾雅≫ 〈석고釋詁〉의 문장이다. 이는 〈경문의〉 “마음으로 사랑하니 멀리 있어도 멀다고 생각되지 않네.”를 풀이한 것이다.
[애군지지 항장심중愛君之志 恒藏心中 무일잠망야無日蹔忘也] 〈경문의〉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으니 어느 날인들 잊겠는가.”를 풀이한 것이다.
살펴보건대 ≪예기禮記≫ 〈단궁檀弓〉에 임금 섬기는 에 대해 말하면서 “항상 좌우에서 봉양하면서 일정한 소임所任이 있다.”라고 하였는데, 이러하다면 신하가 임금을 섬길 때 항상 임금 곁에 있는 도리가 있는 것이다.
주공周公관숙管叔채숙蔡叔을 정벌하러 나간 일과 소공召公감당甘棠에서 송사를 다스린 일 같은 것이 임금 곁을 떠난 경우이다.


역주
역주1 心乎愛矣……何日忘之 : 뒤에 보이는 注疏의 해석과 달리 ≪詩經集傳≫의 해석은 다음과 같음을 밝혀둔다. “마음으로 사랑하니, 어찌 말하지 않으랴.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으니, 어느 날인들 잊으리오.”
역주2 遐 遠也 : ≪爾雅≫ 〈釋詁〉에는 “遠 遐也”로 되어 있고, 이에 대한 晉나라 郭璞의 注에 “遐 亦遠也”라고 하였다.
역주3 周公出征管叔蔡叔 : 周 武王이 殷나라 紂王을 정벌하였으나 안정기에 접어들기 전에 죽었다. 어린 成王이 즉위하자 무왕의 아우인 周公이 攝政하며 紂王의 아들 武庚을 은나라 도읍 이북의 邶 땅에 봉하여 은나라의 제사를 잇도록 하였다. 그러나 무왕의 다른 아우들인 管叔 鮮과 蔡叔 度가 武庚을 끼고 반란을 일으키자, 주공이 성왕의 명으로 정벌하여 무경과 관숙을 죽이고 채숙을 유배 보냈다.(≪史記≫ 卷35 〈管蔡世家〉)
역주4 召公聽訟於甘棠 : 召公은 周 武王의 殷나라 정벌을 돕고 成王 때 太保로서 周公과 함께 성왕을 보필한 인물로, 이름이 奭이다. 그는 남쪽 나라들을 巡行하다가 팥배나무[甘棠] 아래서 송사를 잘 처결하여 큰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詩經≫ 〈甘棠〉)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