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經曰 昔者 明王之以孝天下也 不敢遺小國之臣이온 而況於公侯伯子男乎아하니
[疏]‘經曰’至‘形於四海’
○正義曰:此第二段, 序己仰慕先世明王, 欲以博愛廣敬之道, 被四海也.
[疏]○‘經曰’至‘男乎’
○此孝治章文也, 故言‘經曰’. 言小國之臣尙不敢遺棄, 何況於五等列爵之君乎. 公‧侯‧伯‧子‧男, 五等之爵也.
白虎通曰 “公者, 通也, 公正無私之意也. 春秋傳曰 ‘ 侯者, 候也, 候順逆也.
伯者, 長也, 爲一國之長也. 子者, 字也, 常行字愛於人也. 男者, 任也, 常任王事也.
方百里, 伯七十里, 子‧男五十里.’” 至於周公時, 增地益廣, 加賜諸侯之地,
公五百里, 侯四百里, 伯三百里, 子二百里, 男一百里. 公爲上等, 侯‧伯爲中等, 子‧男爲下等. 言小國之臣, 謂子‧男之臣也.


경문에 이르기를 “옛날에 영명한 제왕이 로 천하를 다스릴 적에 감히 작은 나라〈에서 온〉 신하도 소홀히 하여 잊지 않았는데, 하물며 이겠는가.”라고 하였으니
[경왈經曰]부터 [형어사해形於四海]까지
정의왈正義曰:이 대목은 제2단락으로, 〈당 현종〉 자신이 선대의 영명한 제왕을 앙모仰慕하여 널리 사랑하고 두루 공경하는 도리를 사해四海(사방의 미개 민족 지역)에까지 펼치고자 한다고 서술하였다.
정의왈正義曰:[경왈經曰]부터 [남호男乎]까지
○이 대목은 〈효치장孝治章〉의 문구이다. 이 때문에 ‘경문에 이르기를[경왈經曰]’이라고 한 것이다. ‘작은 나라〈에서 온〉 신하도 감히 버리지 않았는데, 하물며 다섯 등급의 작위를 지닌 임금임에랴.’라는 말이다. 은 다섯 등급의 작위이다.
백호통白虎通≫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통함)으로, 공정하여 사심私心이 없다는 뜻이다.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에 ‘제왕의 후손을 이라 칭한다.’라고 하였다. (살핌)로, 순종하는지 거역하는지를 살핀다는 뜻이다.
(우두머리)으로, 한 나라의 우두머리라는 뜻이다. (자애함)로, 남에게 늘 자애를 행한다는 뜻이다. (맡음)으로, 왕사王事(국사國事)를 늘 맡는다는 뜻이다.
예기禮記≫ 〈왕제王制〉에 ‘의 땅은 사방 100리이고 은 70리, 은 50리이다.’라고 하였다.” 주공周公 때에 이르러서는 땅(강역疆域)을 늘린 것이 더욱 넓어져서 제후들에게 땅을 더 내려주었으니,
〈의 영토〉는 사방 500리, 는 400리, 은 300리, 는 200리, 은 100리였다. 상등上等, 중등中等, 하등下等이므로, 작은 나라〈에서 온〉 신하라고 한 것은 의 신하를 일컫는다.


역주
역주1 : 본서 〈孝治章〉에는 ‘治’로 되어 있다. 唐 高宗 李治(628~683)의 이름자를 避諱한 것이다.
역주2 王者之後稱公 : ≪春秋公羊傳≫ 隱公 5년의 “황제의 후예를 公이라 칭하고, 그 나머지 큰 나라의 임금을 侯라 칭하고, 작은 나라의 임금을 伯‧子‧男이라 칭한다.”에서 발췌한 것이다.
역주3 白虎通曰……子男五十里 : ≪白虎通≫ 권1 〈爵〉의 “公者 通 公正無私之意也 侯者 候也 候逆順也 春秋傳曰 王者之後稱公……王制曰 公侯田方百里 伯七十里 子男五十里 伯者 百也 子者 孶也 孶孶無已也 男者 任也”와 권3 〈封公侯〉의 “伯 長也”를 근간으로 한 말이다. ≪백호통≫은 ≪白虎通德論≫‧≪白虎通義≫라고도 하는데, 후한의 班固 등이 漢 章帝(56~88) 때 白虎觀에서 있었던 五經의 同異에 관한 토론 기록을 정리한 책으로, 당시 經學 문제에 대한 금문경학의 표준 답안이 되었다.
역주4 : ≪禮記≫ 〈王制〉에는 ‘田’으로 되어 있다.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