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夫孝 始於事親이요 中於事君이요 終於立身이니라
[注]言行孝 以事親爲始 事君爲中이요 忠孝道著 乃能揚名榮親이라 故曰終於立身也
[疏]‘夫孝’至‘立身’
○正義曰:夫爲人子者, 先能全身, 而後能行其道也. 夫行道者, 謂先能事親, 而後能立其身.
, 示其跡. 其跡, 始者在於內事其親也,
中者在於出事其主, 忠孝皆備, 揚名榮親, 是終於立身.
[疏]○注‘言行’至‘身也’
○正義曰:云“言行孝 以事親爲始 事君爲中”者, 此釋始於事親, 中於事君也.
云“忠孝道著 乃能揚名榮親 故曰終於立身也”者, 此釋終於立身也. 然能事親事君, 理兼士庶, 則終於立身, 此通貴賤焉.
鄭玄以爲 “父母生之, 是事親爲始. 四十强而仕, 是事君爲中. 七十致仕, 是立身爲終也”者,
劉炫駁云 “若以始爲在家, 終爲致仕, 則兆庶皆能有始, 人君所以無終.
若以年七十者始爲孝終, 不致仕者皆爲不立, 則之輩盡曰不終, 顔子之流亦無所立矣.”


는 어버이 섬기는 것이 시작이고, 임금 섬기는 것이 중간이며, 입신立身하〈여 를 행하〉는 것이 끝이다.
를 행하는 것은 어버이 섬기기를 시작으로 삼고 임금 섬기기를 중간으로 삼는다. 그리고 가 드러나면 이름을 드날려 어버이를 영예롭게 할 수 있으므로 입신立身하여 〈를 행하는〉 것이 끝이다.’라는 말이다.
의 [부효夫孝]부터 [입신立身]까지
정의왈正義曰:사람의 자식 된 자는 먼저 몸을 온전히 보존한 뒤에 를 행할 수 있다. 를 행한다는 것은 먼저 어버이를 섬긴 뒤에 입신立身할 수 있음을 말한다.
앞에서 입신立身을 말할 때는 그 자취를 보이지 않았다. 그 자취가 처음은 집안에서 어버이를 섬기는 데 있고,
중간은 출사出仕하여 임금을 섬기는 데 있으며, 충과 효가 모두 갖추어져서 이름을 드날려 어버이를 영예롭게 하는 것, 이것이 ‘입신立身하여 〈를 행하는 것〉이 끝’이라는 것이다.
의 [언행言行]부터 [신야身也]까지
정의왈正義曰:[언행효 이사친위시言行孝 以事親爲始 사군위중事君爲中] 이는 〈경문의〉 ‘어버이 섬기는 것이 시작이고, 임금 섬기는 것이 중간이며’라는 말을 풀이한 말이다.
[충효도저 내능양명영친忠孝道著 乃能揚名榮親 고왈종어립신야故曰終於立身也] 이는 〈경문의〉 ‘입신立身하여 〈를 행하는〉 것이 끝이다.’라는 말을 풀이한 말이다. 그런데 어버이를 잘 섬기고 임금을 잘 섬기는 것이 이치상 서인庶人에게 공통인 일이므로, ‘입신立身하여 〈를 행하는〉 것이 〈의〉 끝이다’라는 말 역시 존귀한 사람과 미천한 사람에게 공통된 것이다.
정현鄭玄은 “부모가 낳아주셨으므로 어버이를 섬기는 것이 〈의〉 시작이고, 40살에 〈지기志氣가〉 강하여 벼슬하므로 임금을 섬기는 것이 중간이며, 70살에 치사致仕하므로 입신立身하여 〈를 행하는〉 것이 끝이다.”라고 하였는데,
이에 대해 유현劉炫이 다음과 같이 반박하였다. “만약 시작을 집안에 있을 때〈의 일이〉라 하고 끝을 치사致仕할 때〈의 일이〉라 한다면 뭇 서인庶人들도 모두 시작은 있을 수 있지만 임금이 끝이 없게 된다.
만약 나이 70세가 되어서야 비로소 의 끝을 〈행할 수〉 있고 치사致仕하지 않은 사람은 모두 입신立身하지 못한 것이 된다면 중수中壽(60세)를 누린 이들은 모두 〈를〉 끝마치지 못한 것이 되고, 안자顔子(안회顔回) 같은 이들도 입신立身하지 못한 것이 된다.”


역주
역주1 前言立身 : 앞의 經文 “立身行道 揚名於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의 ‘立身’을 가리킨다.
역주2 (末)[未] : 저본에는 ‘末’로 되어 있으나, 閔本‧監本‧毛本에 의거하여 ‘未’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3 [也] : 저본에는 ‘也’가 없으나, ‘也’를 보충한 ≪十三經注疏正字≫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4 中壽 : 상‧중‧하의 수명 중 중간의 수명을 말한다. 상‧중‧하의 구분 기준에 따라 90세 이상, 80세, 70세, 60세의 4가지로 말하는데, 여기서는 70세에 못 미치는 경우를 지칭하므로 60세이다.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