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云 戰戰兢兢하야 如臨深淵하며 如履薄氷이라하니라
[注]戰戰 恐懼 兢兢 戒愼이라 臨深이면 恐墜 履薄이면 恐陷이라 義取爲君恒須戒愼이라
[疏]‘詩云’至‘薄氷’
○正義曰:夫子述諸侯行孝終畢, 乃引小雅小旻之詩以結之.
言諸侯富貴, 不可驕溢, 常須戒懼, 故戰戰兢兢, 常如臨深履薄也.
[疏]○注‘戰戰’至‘戒懼’
○正義曰:此依鄭注也. 案毛詩傳云 “戰戰, 恐也. 兢兢, 戒也.” 此注恐下加懼, 戒下加愼, 足以圓文也.
云“臨深恐墜 履薄恐陷”者, 亦毛詩傳文也. 恐墜謂墜入深淵, 不可復出. 恐陷謂沒在氷下, 不可拯濟也.
云“義取爲君常須戒愼”者, 引詩大意如此.


≪시경≫에 ‘두려워하고 조심하여 깊은 못 가에 있는 듯이 하며 살얼음을 밟은 듯이 한다.’라고 하였다.”
전전戰戰은 두려워함이고, 긍긍兢兢은 조심함이다. 깊은 물가에 있으면 떨어질까 두렵고, 살얼음을 밟으면 빠질까 두렵다. 임금 된 사람은 늘 조심해야 한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
의 [시운詩云]부터 [박빙薄氷]까지
정의왈正義曰부자夫子(공자孔子)가, 제후諸侯가 행하는 에 대한 서술을 마치고 나서 ≪시경詩經≫ 〈소아 소민小雅 小旻〉의 시를 인용하여 마무리하였다.
제후諸侯는 부유하고 존귀하면서도 교만하거나 사치해서는 안 되고, 늘 조심해야 한다. 이 때문에 두려워하고 조심하여 늘 깊은 물가에 있는 듯이 하고 살얼음을 밟은 듯이 한다.’라는 말이다.
의 [전전戰戰]부터 [계구戒懼]까지
정의왈正義曰:이는 정현鄭玄를 따른 것이다. 살펴보건대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에 “전전戰戰(두려워함)이고 긍긍兢兢(조심함)이다.”라고 하였다. 이 에서는 ‘’자 뒤에 ‘’자를 덧붙이고 ‘’자 뒤에 ‘’자를 덧붙여 완전한 글이 될 수 있게 하였다.
[임심공추 이박공함臨深恐墜 履薄恐陷] 이 역시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의 글이다. 떨어질까 두렵다는 것은 깊은 못에 떨어져 다시는 나오지 못〈할까 두렵다는〉 말이고, 빠질까 두렵다는 것은 얼음 밑으로 빠져서 구조받지 못〈할까 두렵다는〉 말이다.
[의취위군상수계신義取爲君常須戒愼] 〈≪시경≫의 이〉 시를 인용한 대의大意가 이와 같은 것이다.


역주
역주1 : ≪詩經≫이다. 漢代 이전에는 ≪시경≫을 ≪詩≫라고 칭했다. 漢 武帝가 儒學을 존숭하여 유가 저작들을 중시하면서부터 비로소 ‘經’자를 붙여 ≪詩經≫이라고 칭하였다.(胡平生 譯注, ≪孝經譯注≫, 中華書局, 2009, p.7)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