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5)

대학연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29-17-나(按)
按 此亦前章獨之意 故引詩以明雖潛深隱伏之地而其昭著章灼 有不可揜者
故君子 內省不疚而無愧於心하나니 蓋人心 至靈이라 毫髪之微 少有自欺 必有不能慊注+① 必有不能慊:音愜.於中者 此所謂疚也 此所謂惡也
惟夫處幽如顯하며 視獨如衆하여 反之於己하여 無所疚惡焉이면 君子之所以大過人而人之所不能及也
又引詩하여 謂處室之時 當無媿於屋漏 故君子 靜而常敬하며 嘿而常信하여 不待動作語言而後見也 存養之功 至此하니 非盛德이면 其孰能之乎리잇고


原注
[신안臣按] 이것 역시 앞장의 ‘홀로 아는 부분을 삼간다.’라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시를 인용하여 비록 깊은 곳에 잠겨 있고 숨어 엎드린 곳이라도 그 밝게 드러나 빛나서 숨길 수 없는 것이 있음을 밝힌 것입니다.
그러므로 군자가 안으로 살펴보아 하자가 없어서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는 것입니다. 사람의 마음은 지극히 신령스러워 털끝만치 작은 것도 조금이라도 스스로 속이는 것이 있으면 반드시 마음속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이 있으니,注+‘慊’은 음이 ‘愜(협)’이다. 이것이 이른바 ‘하자’이며 이것이 이른바 ‘부끄러움’입니다.
다만 어두운 곳에 처하기를 드러난 곳에 처한 것처럼 하고, 홀로 아는 부분을 보기를 많은 사람이 보는 것처럼 합니다. 그리하여 자신에게 이를 돌이켜보아 하자가 되고 부끄러운 점이 없다면, 이것이 군자가 남보다 크게 뛰어나서 남들이 미칠 수 없는 이유입니다.
또 《시경詩經》을 인용하여 “방에 거처할 때에 마땅히 실내 서북쪽 방구석에도 부끄러움이 없어야 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고요히 있어도 사람들이 항상 공경하고 잠자코 있어도 사람들이 항상 믿어서 동하고 말하기를 기다린 뒤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양심良心을 보존하고 본성本性을 함양하는 공부가 이러한 경지에 이르렀으니, 훌륭한 덕을 지닌 사람이 아니라면 그 누가 이렇게 할 수 있겠습니까.


역주
역주1 : 대전본에는 ‘謹’으로 되어 있으나, 南宋 孝宗 趙眘의 피휘이다.

대학연의(5)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