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5)

대학연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詩采薇 遣戍役也 文王之時 西有昆夷之患하고 北有狁(험윤)之難이어늘 以天子之命으로 命將帥注+① 以天……將帥:天子, 紂也.하니
其首章 曰 采薇采薇
薇亦作止注+① 薇亦作止:作, 生也.엇다
曰歸曰歸
歲亦莫止注+② 歲亦莫止:莫, 音暮.리로다
靡室靡家注+③ 靡室靡家:靡, 無也.
玁狁之故
不遑啟居
玁狁之故니라
其次章
采薇采薇
薇亦柔止注+① 薇亦柔止:薇始生而柔.엇다
曰歸曰歸
心亦憂止로다
憂心烈烈하여
載飢載渴호라
我戍未定이니
靡使歸聘이로다
三章
采薇采薇
薇亦剛止엇다
曰歸曰歸
歲亦陽止注+① 歲亦陽止:十月.리로다
王事靡盬
不遑啟處호니
憂心孔疚
我行不來니라
其末章
昔我往矣
楊柳依依러니
今我來思
雨雪霏霏로다
行道遲遲하여
載渴載飢호라
我心傷悲어늘
莫知我哀하나다


27-8-가
시경詩經》 〈채미采薇〉는 수역戍役에 파견하는 것을 노래한 시이다. 문왕文王 때 서쪽으로는 곤이昆夷의 근심이 있고 북쪽으로는 혐윤獫狁의 난이 있자 천자인 주왕紂王의 명에 따라 장수에게 명하여注+‘天子’는 商나라 紂王이다. 수역에 파견하여 중국을 지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채미〉를 노래하여 파견한 것이다.
그 첫 장에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다.
薇
들완두를 캐고 들완두를 캠이여采薇采薇
들완두가 또한 돋았도다注+‘作’은 ‘돋아나다’라는 뜻이다.薇亦作止
돌아올 날이여 돌아올 날이여曰歸曰歸
이 한 해가 또한 저물리로다注+‘莫’는 음이 ‘暮(모)’이다.세역모지歲亦莫止
실가室家 없이 〈먼 곳에서 지내게 됨은〉注+‘靡’는 ‘없다’라는 뜻이다.미실미가靡室靡家
험윤玁狁이 〈변경을 어지럽혀서며〉玁狁之故
편안히 거처할 겨를이 없게 됨은不遑啟居
험윤이 〈변경을 어지럽혀서니라〉玁狁之故
그 둘째 장에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다.
들완두를 캐고 들완두를 캠이여采薇采薇
들완두가 또한 부드럽도다注+들완두가 갓 돋아나서 부드럽다는 뜻이다.薇亦柔止
돌아갈 날이여 돌아갈 날이여曰歸曰歸
이 마음에 또한 근심되도다心亦憂止
〈돌아갈 날 아득하여〉 걱정이 태산인데憂心烈烈
배는 주리고 목까지 타도다載飢載渴
나의 수역戍役 끝나지 않았으니我戍未定
돌아가 안부를 묻게 할 자 없도다靡使歸聘
그 셋째 장에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다.
들완두를 캐고 들완두를 캠이여采薇采薇
들완두가 또한 쇠었도다薇亦剛止
돌아갈 날이여 돌아갈 날이여曰歸曰歸
이해가 또한 시월이 되었도다注+10월이 되었다는 뜻이다.歲亦陽止
나랏일 견고히 하지 않을 수 없어왕사미고王事靡盬
편안히 거처할 겨를이 없도다不遑啟處
마음의 근심은 병이 되도록 큰데도憂心孔疚
우리의 출정 길은 돌아갈 날 없도다我行不來
그 마지막 장에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다.
옛날 내가 수역戍役 떠날 때엔昔我往矣
버들가지 한창 늘어졌는데楊柳依依
이제 내가 돌아올 때엔今我來思
함박눈이 펑펑 내리도다雨雪霏霏
돌아가는 길 더디고 더뎌 行道遲遲
목이 타고 배가 주리도다載渴載飢
나의 심정 몹시 서글픈데我心傷悲
내 슬픔 알아주는 이 없도다莫知我哀


역주
역주1 27-8-가 : 《詩經》 〈小雅 采薇〉에 보인다. 朱熹의 《詩集傳》에 따르면 모두 6장이며 한 장에 6구로 이루어져 있다. ‘채미’는 ‘들완두를 캐다’라는 뜻으로, 〈채미〉는 수자리 살러 나가는 때가 들완두를 캐어 먹는 때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戍役에서 돌아올 기한을 흥기한 시이다.
역주2 : 사고본에는 ‘獫’으로 되어 있다.
역주3 詩采……遣之 : 《詩經》 〈小雅 采薇〉의 〈毛序〉에 보인다.
역주4 하여 : 진덕수의 按說에 근거하면 ‘하고’로 수정해야 한다.

대학연의(5)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