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5)

대학연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益曰 吁注+① 吁:辭. 戒哉하소서 儆戒無虞注+② 儆戒無虞:虞, 度也.하사 罔失法度하시며 罔遊于逸하시며 罔淫于樂하시며 하시며 去邪勿疑하소서
疑謀 勿成하시사 百志惟熙注+③ 百志惟熙:熙, 廣也, 明也.하리이다 罔違道하여 以干百姓之譽注+④ 罔違……之譽:違, 背也. 干, 求也.하시며 罔咈百姓하여 以從己之欲注+⑤ 罔咈……之欲:咈, 違也.하소서 無怠無荒하면 四夷 來王하리이다


31-1-가
서경書經》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이 말하였다. ‘아,注+‘吁’는 감탄사이다. 경계하소서. 헤아릴 만한 일이 없을 때 경계하여注+‘虞’는 ‘헤아리다’라는 뜻이다. 법도를 잃지 말며, 안일함에 놀지 말며, 즐거움에 빠지지 말며, 현인賢人을 임용하되 두 마음을 갖지 말며, 간사한 자를 버리되 의심하지 마소서.
의심스러운 계획을 완성하지 말아야 온갖 생각이 밝아질 것입니다.注+‘熙’는 ‘넓다’, ‘밝다’라는 뜻이다. 를 위배하여 백성들의 칭송을 구하지 말며,注+‘違’는 ‘위배하다’라는 뜻이다. ‘干’은 ‘구하다’라는 뜻이다. 백성들을 거슬러 자신의 욕심을 따르지 마소서.注+‘咈’은 ‘거스르다’라는 뜻이다. 태만하지 않고 방종하지 않으면 사이四夷도 찾아와서 왕께 조현朝見할 것입니다.’”


역주
역주1 31-1-가 : 《書經》 〈虞書 大禹謨〉에 보인다. 〈대우모〉는 禹가 순임금에게 간언하면서 주고받은 대화와 우의 사적이 그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데, 간간이 益과 皐陶(고요)가 진언한 내용도 함께 보인다.
역주2 : 대전본․사고본에는 ‘歎’으로 되어 있다.
역주3 任賢勿貳 : 蔡沈은 ‘貳’를 ‘소인배로 이간질을 하게 만드는 것[以小人間之]’이라고 설명하였다. 《書集傳 虞書 大禹謨》 이 설명과 眞德秀의 안설을 참조했을 때, ‘任賢勿貳’는 현인을 임용해 놓고는 소인배의 이간질에 넘어가 그 신임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는 뜻으로 보인다.

대학연의(5)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