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5)

대학연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曰 樂不可極이니 樂極生哀 欲不可縱이니 縱欲成灾
壯九重於內 所居 不過容膝이어늘 彼昬 不知하여 하고於前 所食 不過適口어늘 惟狂 罔念하여 하나니
勿內荒於色하며 勿外荒於禽하며 勿貴難得貨하며 勿聽亡國音하소서 內荒 伐人性하고 外荒 蕩人心하고 難得之貨하고 亡國之音이니이다


31-11-가
태종太宗장온고張蘊古가 〈대보잠大寶箴〉을 올려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즐거움은 극에 달해서는 안 되니, 즐거움이 극에 달하면 슬픔이 생깁니다. 욕심을 마음껏 누려서는 안 되니, 욕심을 마음껏 누리면 재앙이 됩니다.
扆
안에 구중궁궐을 웅장하게 짓지만 거주하는 곳은 무릎을 받아들이는 만큼에 불과한데도, 저 혼암昏暗한 사람은 이를 알지 못하고 자신의 누대를 요대瑤臺처럼 만들고 자신의 궁실을 경실瓊室처럼 만듭니다. 앞에 팔진미八珍味를 벌여놓지만 먹는 것은 입맛에 맞는 것에 불과한데도, 광망狂妄한 자는 이를 생각하지 않고 술지게미로 언덕을 만들고 술로 연못을 만듭니다.
안으로 여색女色에 빠지지 말고 밖으로 짐승에 빠지지 말며, 얻기 힘든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말고 나라를 망하게 하는 음악을 듣지 마소서. 안으로 여색에 빠지는 것은 사람의 생명을 해치고 밖으로 짐승에 빠지는 것은 사람의 마음을 방탕하게 하며, 얻기 힘든 재화는 사치스럽게 만들고 나라를 망하게 하는 음악은 음란하게 만듭니다.”


역주
역주1 31-11-가 : 《舊唐書》 卷190上 〈張蘊古列傳〉에 보인다. 《資治通鑑》에는 이 기사가 太宗이 즉위한 해인 武德 9년(626) 12월 기사에 보인다. 《資治通鑑 卷192 唐紀8 高祖 下之下 武德 9年》
역주2 唐太宗 : 599~649(재위 626~649). 당나라의 제2대 황제 李世民으로, 시호는 文武大聖大廣孝皇帝이다. 高祖 李淵의 차남으로, 혼란스러웠던 隋나라가 망하리라는 것을 알고 부친에게 거병할 것을 권하여 당나라를 건국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고조 武德 1년(618)에는 尙書令에 임명되고 秦王에 봉해졌다. 무덕 9년(626) 6월에 太極宮 玄武門에서 정변을 일으켜 친형제인 李建成과 李元吉을 죽인 후 그해 8월에 고조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즉위 후 검약을 실천하고 房玄齡․杜如晦․魏徵 등 현신들을 기용하여 제도와 법령을 정비하는 등 많은 업적을 세워 貞觀之治를 이룩했다.
역주3 張蘊古 : ?~631. 相州 洹水(원수) 사람이다. 唐나라 때의 관료로 문장에 능했다. 太宗이 즉위한 해에 直中書省으로 재직하면서 〈大寶箴〉을 올려 간하자, 태종이 가상히 여겨 大理丞으로 제수하였다. 貞觀 5년(631)에 治書侍御史 權萬紀의 모함을 들은 태종이 시비곡직을 가리지 않고 성급하게 노여워하는 바람에 참형을 당했다.
역주4 大寶箴 : 《周易》 〈繫辭傳 下〉의 “성인의 큰 보배를 ‘位’라고 한다.[聖人之大寶曰位]”라는 내용에서 비롯되어 ‘대보’가 임금의 자리를 뜻하게 되었다. 즉, 〈대보잠〉은 임금에게 箴戒가 될 만한 내용을 담은 글로, 조선 시대에 널리 읽혔던 《古文眞寶》에도 수록되어 있다.
역주5 瑤其臺而瓊其室 : ‘瑤臺’는 夏나라 桀王이 지은 궁실이며 ‘瑤’는 옥과 비슷한 돌이다. 劉向의 《新序》에 따르면, 요대는 백성들의 고혈을 짜서 건립한 것이다. 《新序 卷6 刺奢》 《淮南鴻烈解 卷8 本經訓 許愼注》 ‘瓊室’은 殷나라 紂王이 妲己(달기)를 얻고 나서 지은 궁실로, 이곳에 옥으로 만든 문을 세웠다고 한다. 《竹書紀年 卷上》
역주6 八珍 : 진수성찬을 뜻하는 말이다. 鄭玄에 따르면, 淳熬(순오)․淳母․炮豚․炮牂(포장)․擣珍(도진)․漬(지)․熬․肝膋(간료)를 가리킨다. 《周禮注疏 天官冢宰 膳夫 鄭玄注》
역주7 丘其糟而池其酒 : 酒池肉林의 향락을 일삼았다는 뜻으로, 張守節의 《史記正義》에 따르면 殷나라 紂王이 벌였던 일이다. 《史記 卷3 殷本紀 張守節正義》

대학연의(5)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