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5)

대학연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酒誥 王若曰하사대 明大命于妹邦注+① 明大命于妹邦:妹邦, 紂故都也.하노라
乃穆文王注+② 穆考文王:穆, 敬也. 肇國在西土注+③ 肇國在西土:肇, .하실새 厥誥毖庶邦庶士 越少正御事注+④ 厥誥……御事:誥, 告也. 毖, 謹也.하사 朝夕 曰 祀玆酒
惟天 降命하사 肇我民하산든 惟元祀注+⑤ 惟元祀:元, 大也.니라 降威하사 我民 用大亂喪德 亦罔非酒 惟行注+⑥ 惟行:行, 幸.이며 越小大邦 用喪 亦罔非酒 惟辜注+⑦ 惟辜:辜, 罪也.니라
文王 告教小子 有正有事注+⑧ 有正有事:有正, 有官守者. 有事, 有職業者.하사대 無彛酒하라 越庶國호대 惟祀 德將無하라
惟曰 我民 迪小子注+⑨ 迪小子:迪, 訓導也.호대 惟土物愛하면 厥心注+⑩ 厥心臧:臧, 善也.하리니 聰聽祖考之彛訓하여 小子 惟一하라
王曰 封 我西土棐徂邦君御事小子注+① 我西……小子:棐, 輔也. 徂, 往也. 尚克用文王教하여 不腆于酒注+② 不腆于酒:腆, 厚也.혼들로 故我 至于今하여 克受殷之命이니라
王曰 封 我聞호니 惟曰在昔殷先哲王注+③ 惟曰……哲王:哲王, 謂成湯. 迪畏天顯小民注+④ 迪畏天顯小民:迪, 蹈也.하사 經德秉哲注+⑤ 經德秉哲:經, 常也. 秉, 執也.하사 自成湯으로 咸至于帝乙注+⑥ 咸至于帝乙:帝乙, 之後王. 成王畏相注+⑦ 成王畏相:成, 就也.이어시늘 惟御事 厥棐有恭注+⑧ 惟御事厥棐有恭:御事, 治事也.하여 不敢自暇自逸이온
矧曰其敢崇飲注+⑨ 矧曰其敢崇飲:矧, 況也. 越在外服 侯․甸․男․衛․邦伯 越在内服 百僚․庶尹 惟亞․惟服 宗工 越百姓里居와가 罔敢湎于酒하니 不惟不敢이라 亦不暇 惟助成王德顯하며 越尹人祗辟注+⑩ 越尹人祗辟:尹人者, 尹也. , 敬也. 辟, 君也.하니라
我聞호니 亦惟曰 在今後嗣王하여 酣身注+① 在今後嗣王酣身:後王, 謂商紂.하여 厥命 罔顯于民이요 祗保 越怨이어늘 不易注+② 不易:易, 改也.하고 誕惟厥縱淫泆于非彛注+③ 誕惟……非彛:誕, 大也. 泆, 蕩也.하여 用燕喪威儀注+④ 用燕喪威儀:燕, 謂飲宴. 喪, 亡也.한대 罔不衋傷心注+⑤ 罔不衋傷心:衋, 痛也.이어늘
惟荒腆于酒하여 不惟自息乃逸하며 厥心疾하여 不克畏死하며 辜在商邑하여 越殷國滅無罹注+⑥ 越殷國滅無罹:罹, 憂也.하니 弗惟德馨香祀 登聞于天이요 誕惟民怨庶群自酒腥 聞在上이라
故天降喪于殷하사 罔愛于殷 惟逸이니 天非虐이라 惟民 自速辜니라


32-3-가
서경書經》 〈주고酒誥〉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무왕武王이 말하였다. ‘큰 매방妹邦에 밝히노라.注+‘妹邦’은 紂王의 옛 도읍이다.
너의 공경하는 아버지 문왕文王께서注+‘穆’은 ‘공경하다’라는 뜻이다. 나라를 시작하여 서토西土에 계실 때注+‘肇’는 ‘시작하다’라는 뜻이다. 서방庶邦서사庶士소정少正어사御事들에게 고하여 삼가게 하여注+‘誥’는 ‘고하다’라는 뜻이다. ‘毖’는 ‘삼가다’라는 뜻이다. 아침저녁으로 말씀하시기를 「제사에만 이 술을 써야 할 것이다.
하늘이 명을 내리시어 우리 백성들에게 처음 술을 만들게 한 것은 오직 큰 제사에 쓰게 하려 하신 것이다.」라고 하셨다.注+‘元’은 ‘크다’라는 뜻이다. 하늘이 위엄을 내리시어 우리 백성들이 크게 혼란하여 덕을 잃은 것은 또한 술의 행해짐注+‘行’은 음이 ‘幸’이다. 아님이 없으며, 작은 나라와 큰 나라가 망함이 또한 술의 죄注+‘辜’는 ‘죄’라는 뜻이다. 아님이 없다.
문왕께서는 소자小子와 관직을 맡고 일을 맡은 사람들에게注+‘有正’은 지킬 관직이 있는 자이다. ‘有事’는 담당할 일이 있는 자이다. 고하여 가르치시기를 「술에 항상 취하지 말라. 뭇 나라들이 술을 마시되 오직 제사 때에만 할 것이니, 덕으로 이어가고 취하지 말라.」라고 하셨다.
문왕께서는 말씀하시기를 「우리 백성들은 소자를 가르치고 인도하되注+‘迪’은 ‘가르치고 인도하다’라는 뜻이다. 땅에서 나오는 것을 아끼게 하면 그 마음이 선해질 것이니,注+‘臧’은 ‘선하다’라는 뜻이다. 조상의 떳떳한 가르침을 잘 들어서 작은 덕과 큰 덕에 소자들은 똑같이 여기도록 하라.」라고 하셨다.’”
무왕武王이 말하였다. ‘(강숙康叔)아. 우리 서토西土에서 돕던 지난날의 방군邦君어사御事소자小子들이注+‘棐’는 ‘돕다’라는 뜻이다. ‘徂’는 ‘가다’라는 뜻이다. 거의 능히 문왕文王의 가르침을 따라 술에 빠지지 않았으므로注+‘腆’은 ‘두텁다’라는 뜻이다. 내가 지금에 이르러서 나라에 있었던 천명天命을 받은 것이다.’
무왕武王이 말하였다. ‘봉아. 내가 들으니 「옛날 은나라의 돌아가신 철왕哲王(성탕成湯)이注+‘哲王’은 成湯을 이른다. 하늘의 밝은 명과 소민들을 따라 두려워하여注+‘迪’은 ‘따르다’라는 뜻이다. 덕을 떳떳이 하고 밝음을 잡아서注+‘經’은 ‘떳떳하다’라는 뜻이다. ‘秉’은 ‘잡다’라는 뜻이다. 성탕으로부터 모두 제을帝乙에 이르기까지注+‘帝乙’은 商나라의 後王이다. 왕의 덕을 이루고 재상을 공경하시자注+‘成’은 ‘이루다’라는 뜻이다. 어사御事가 도와서 공손함을 두어注+‘御事’는 ‘일을 다스리다’라는 뜻이다. 감히 스스로 한가하고 스스로 안일하지 못하였다.」라고 하였다.
하물며 감히 술 마시는 것을 숭상한다고 이르겠는가.注+‘矧’은 ‘하물며’라는 뜻이다. 외복外服에 있는 의 제후와 방백邦伯내복內服에 있는 백료百僚서윤庶尹종공宗工과 백성과 마을에 거주하는 자에 이르기까지 감히 술에 빠지지 않았으니, 다만 감히 빠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또한 그렇게 할 겨를이 없었고, 오직 왕의 덕을 이루어 드러나게 하며 윤인尹人들이 임금을 공경하게 하는 것을注+‘尹人’은 師尹이다. ‘祗’는 ‘공경하다’라는 뜻이다. ‘辟’은 ‘임금’이라는 뜻이다. 도왔다.
내 들으니 또한 이르기를 지금 후사왕後嗣王(주왕紂王)에 있어 몸을 술에 빠뜨려注+‘後王’은 商나라 紂王을 이른다. 그 명이 백성들에게 드러나지 못하고, 공경하여 보존하는 것이 백성들의 원망에 미치는데도 이를 고치지 않으며,注+‘易’은 ‘고치다’라는 뜻이다. 크게 그 음일淫佚함을 떳떳하지 않은 일에 풀어놓아注+‘誕’은 ‘크다’라는 뜻이다. ‘泆’은 ‘방탕하다’라는 뜻이다. 술 마시고 잔치하여 위의威儀를 상실하자注+‘燕’은 술 마시고 잔치하는 것을 이른다. ‘喪’은 ‘없어지다’라는 뜻이다. 백성들이 모두 마음을 아파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고 한다.注+‘衋’은 ‘애통해하다’라는 뜻이다.
그런데도 후사왕은 황음荒淫하여 술에 빠져서 스스로 안일함을 그칠 것을 생각하지 않고, 그 마음이 미워하고 사나워서 능히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허물이 나라 도읍에 있어 나라가 망하는데도 근심하지 않으니,注+‘罹’는 ‘근심하다’라는 뜻이다. 덕으로 올리는 향기로운 제사가 하늘에 올라가 알려지지 못하고, 크게 백성들이 원망하는 술로부터 풍겨 나오는 모든 더러움이 위에 알려졌다고 한다.
그러므로 하늘이 은나라에 망함을 내리시어 은나라를 사랑하지 않으신 것은 안일했기 때문이니, 하늘이 사나운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스스로 죄를 부른 것이다.’”


역주
역주1 32-3-가 : 《書經》 〈周書 酒誥〉에 보인다. ‘酒誥’는 武王이 康叔을 商나라 紂王의 도읍인 妹邦에 봉하면서 매방과 강숙에게 각각 주왕과 이곳의 풍습이 술로 인해 악하게 된 것을 일러주어 경계한 것이다.
역주2 : 대전본에는 ‘者’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역주3 : 사고본에는 이 뒤에 ‘也’ 1자가 있다.
역주4 : 사고본에는 ‘咅(부)’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역주5 : 대전본에는 ‘罪’로 되어 있다.
역주6 小大德 : 蔡沈의 주에 “술을 삼가는 것을 작은 덕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不可以謹酒爲小德]”라는 해석이 보인다. 《書集傳 周書 酒誥 蔡沈注》
역주7 : 대전본에는 ‘啇(적)’으로 되어 있다.
역주8 : 대전본에는 ‘帥’로 되어 있다.
역주9 : 사고본에는 ‘祇(기)’로 되어 있다.
역주10 : 대전본․사고본에는 ‘很(흔)’으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5)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