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5)

대학연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高宗 祭成湯할새 有飛雉 升鼎耳而雊注+① 有飛……而雊:雊, 鳴也.어늘 祖己注+② 祖己:賢臣. 曰 惟先格王오사 正厥事호리라 乃訓于王曰
惟天 下民하사대 典厥義注+③ 惟天……厥義:典, 常也. 義, 理也. 降年 有永有不永注+④ 降年有永有不永:永, 長也. 非天 夭民이라 民中絶命이니이다
民有不若德하며 不聽罪할새 天旣孚命으로 正厥德注+⑤ 天旣孚命正厥德:孚, 信也.이어시늘 乃曰 其如台注+⑥ 乃曰其如台:台, 我也.
嗚呼 王司敬民注+⑦ 王司敬民:司, 主也.하시니 罔非天注+⑧ 罔非天胤:罔, 無也. 胤, 嗣也.시니 典祀 無豐于昵注+
王司敬民圖王司敬民圖
⑨ 典祀無豐于昵:豐, 厚也. 昵, 親也.
하소서


29-3-가
고종高宗성탕成湯에게 제사 지낼 때에 날아가던 꿩이 의 귀에 올라가 울자,注+‘雊’는 ‘울다’라는 뜻이다.
鼎
조기祖己注+祖己는 賢臣이다. 말하였다. “먼저 왕을 바로잡고서 이 일을 바로잡겠다.” 이에 왕에게 다음과 같이 훈계하였다.
“하늘이 하민下民을 굽어보되 그 를 떳떳함으로 삼으니,注+‘典’은 ‘떳떳함’이다. ‘義’는 ‘이치’이다. 연수年數를 내리는 것이 길기도 하고 짧기도 한 것은注+‘永’은 ‘길다’라는 뜻이다. 하늘이 백성을 일찍 죽게 한 것이 아니라 백성이 중간에 천명을 끊는 것입니다.
백성이 덕을 따르지 않고 죄에 승복하지 않기 때문에 하늘이 이미 재변災變부신符信으로 삼아 명하는 것으로 그 덕을 바로잡는데注+‘孚’는 ‘符信’이라는 뜻이다. 마침내 ‘재변이 나를 어찌하겠는가.’라고注+‘台’는 ‘나’라는 뜻이다. 하겠습니까.
아! 왕은 백성을 공경하는 일을 주재하니注+‘司’는 ‘주재하다’라는 뜻이다. 하늘의 후사後嗣 아님이 없습니다.注+‘罔’은 ‘없다’라는 뜻이다. ‘胤’은 ‘後嗣’라는 뜻이다. 제사를 주관하는 데 어버이의 에만 후하게 하지 마소서.”注+‘豐’은 ‘후하게 하다’라는 뜻이다. ‘昵’는 ‘어버이’라는 뜻이다.


역주
역주1 29-3-가 : 《書經》 〈商書 高宗肜日〉에 보인다. 序에 高宗이 湯王에게 제사 지낼 때 꿩이 날아와 제사 지내는 鼎의 귀에 올라 울었다고 하였는데, 漢나라 孔安國은 ‘귀로 밝게 듣지 못해서 일어난 이변[耳不聰之異]’이라고 하였다. 劉歆은 정의 세 발은 三公을 상징하는 것으로, 꿩이 정의 귀에 앉는 것은 소인이 공경의 자리에 올라 종묘의 제사를 무너지게 할 징조라고 하였다. 《尙書注疏 商書 高宗肜日 孔安國傳》 《漢書 卷27中之下 五行志》
역주2 : 대전본․사고본에는 ‘降’으로 되어 있다.
역주3 : 대전본․사고본에는 ‘胤’으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대학연의(5)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