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5)

대학연의(5)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29-13-나(按)
按 奉天時하여 以興農功 事之至重이라 故命羲和敬以授民하시니 敬之見於經者 始此하니라
이라하시니 葢於日之出入 必敬候之也
라하시며 라하시니 堯之敬 見於事者也
天下萬事 莫不本之一心하니 敬則立이요 嫚則隳 雖至細微 亦不可忽이라 故堯舜之敬 不獨修身 爲然이라 至於應事 亦莫不然이러시니
後世人主 旣鮮知以敬治身而臨事 尤多輕忽하니所由基也 故摭二典所記하여 以爲後王之法云하노이다
以上 論治事之敬하니라


原注
29-13-나()
[신안臣按] 천시天時를 받들어 농사를 일으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그러므로 임금이 희씨羲氏화씨和氏에게 명하여 공경히 백성에게 농사짓는 때를 알려주게 하였습니다. ‘공경[]’이 경서經書에 보이는 것이 이에서 시작됩니다.
요임금이 나누어 명할 때에 “뜨는 해를 공경히 맞이하라.”라고 하였고 “지는 해를 공경히 전송하라.”라고 하였으니, 해가 뜨고 질 적에 반드시 공경히 살핀 것입니다.
을 찾아 홍수를 다스릴 때에 이르러서는 “가서 공경히 수행하라.”라고 하였고, 두 딸을 치장하여 하가下嫁시킬 때에도 “공경하라.”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임금의 공경이 일에 나타난 것입니다.
형벌을 신중히 적용하고 오상五常의 가르침을 펴고 삼례三禮를 맡기고 12에게 명할 때에 ‘(공경하라)’이라고 하지 않으면 ‘(공경하라)’이라고 하였고 ‘(공경하라)’이라고 하지 않으면 ‘(공경하라)’이라고 하였으니, 이것은 임금의 공경이 일에 나타난 것입니다.
천하의 온갖 일이 한 마음에 근본하지 않는 것이 없으니, 공경하면 확립되고 업신여기면 무너집니다. 그래서 비록 아주 사소한 일이라고 하더라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그러므로 요임금과 순임금의 공경은 몸을 수양하는 데에만 그러한 것이 아니라 일을 처리하는 데까지도 그렇지 않은 것이 없었습니다.
후세의 군주는 이미 공경으로 자신을 다스릴 줄 아는 이가 적고 일을 다스릴 때에 더욱 소홀한 경우가 많으니, 이것이 재앙이 일어나고 실패하게 되는 원인인 것입니다. 신이 이 때문에 〈요전堯典〉과 〈순전舜典〉에 기록된 내용을 뽑아 후세 군왕의 본보기로 삼는 바입니다.
이상은 일을 처리할 때의 공경恭敬을 논한 것이다.


역주
역주1 其分……納日 : 《書經》 〈虞書 堯典〉에 보인다. 堯임금이 羲氏와 和氏에게 천체의 운행을 기록하고 관측하여 백성에게 농사철을 알려주는 일을 맡긴 뒤에, 그 일족인 羲仲, 羲叔, 和仲, 和叔에게 각각 暘谷, 明都, 昧谷, 幽都에 머물며 봄, 여름, 가을, 겨울에 그 실제를 징험하여 推步의 오차를 살피게 하였다. 〈堯典〉에 “희중에게 나누어 명하여 우이에 머물게 하니 양곡이라고 하는바, 나오는 해를 공경히 맞이하여 봄철에 시작하는 농사일을 고르게 다스리도록 하였다.[分命羲仲 宅嵎夷 曰暘谷 寅賓出日 平秩東作]”라고 하고, “화중에게 나누어 명하여 서쪽에 머물게 하니 매곡이라고 하는바, 들어가는 해를 공경히 전송하여 가을에 수확하는 일을 고르게 다스리도록 하였다.[分命和仲 宅西 曰昧谷 寅餞納日 平秩西成]”라고 한 내용이 보인다.
역주2 至於……欽哉 : 《書經》 〈虞書 堯典〉에 보인다. 堯임금이 四岳에게 홍수를 다스릴 만한 사람을 추천하게 하자, 여러 신하가 鯤을 추천하였다. 요임금은 곤이 윗사람의 명령을 거역하며 여러 사람들과 불화하여 남을 상하게 하고 일을 망친다고 하여 거절하였다. 그러나 사악이 곤을 극구 추천하자 결국 치수 사업을 담당하게 하였는데, 요임금이 “가서 공경히 수행하라.[往欽哉]”라고 한 내용이 보인다.
역주3 釐降……欽哉 : 《書經》 〈虞書 堯典〉에 보인다. 요임금이 재위 70년이 되어 자신의 자리를 계승할 만한 사람을 추천하게 하자, 四岳이 舜을 추천하였다. 이에 요임금이 순의 품성과 능력을 관찰하고자 자신의 두 딸을 순에게 시집보냈는데, 이때 요임금이 두 딸에게 “공경하라.[欽哉]”라고 당부한 내용이 보인다.
역주4 其於……曰敬 : 《書經》 〈虞書 舜典〉에 따르면, 舜임금은 형벌을 제정할 적에 “공경하고 공경하여 형벌을 신중히 행하였다.[欽哉欽哉 惟刑之恤哉]”라고 하였고, 契(설)을 司徒로 삼아 백성의 교화를 명할 적에 “공경히 五常의 가르침을 펴되 너그러움을 가지고 대하라.[敬敷五敎 在寬]”라고 하였고, 伯夷를 秩宗으로 삼아 天神과 人鬼와 地祇(지기)에게 제사를 지내는 三禮를 맡게 할 적에 “너를 질종으로 삼으니 밤낮으로 공경하여 곧게 하여야 깨끗할 것이다.……가서 공경히 수행하라.[汝作秩宗 夙夜惟寅 直哉惟淸……往欽哉]”라고 하였고, 四岳과 9官과 12牧에게 총괄하여 명할 때 “아! 너희 22인아. 공경하여 때로 하늘의 일을 도우라.[咨汝二十有二人 欽哉 惟時亮天功]”라고 하였다.
역주5 : 대전본에는 ‘故’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5)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