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通鑑節要(6)

통감절요(6)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통감절요(6)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癸酉] 〈梁承聖二年이요 魏主欽二年이요 齊天保四年이라
正月 梁王僧辯 發建康하고 承制하야 使陳霸先으로 代鎭揚州하다
○ 魏太師泰 廢魏主欽注+[頭註]文帝寶炬長子이니 爲宇文泰所廢弑하고 立其弟齊王廓注+[原註]文帝第四子 是爲恭帝하다
○ 梁主好玄談注+[頭註]莊, 老尙玄이요 釋氏尙空이라하야 九月 於龍光殿 하다
○ 魏遣于謹, 宇文護, 楊忠하야 將兵五萬하야 入寇하니 梁王詧 帥衆會之하다
梁主停講하고 內外戒嚴이러니 報曰 吾至石梵하니 境上 帖然이러이다
梁主聞而疑之러니 乃復開講一日하니 百官 戎服以聽이라
丁亥 魏兵 至柵下호되 梁主巡城하야 猶口占爲詩하고 群臣 亦有和者注+[頭註] 去聲이니 應也
甲寅 魏人 百道攻城하니 反者開(四)[西]門하고 納魏師어늘
梁主白馬素衣 出降하다
歷年圖曰
武帝注+[頭註]蕭衍이라當齊之季하야 任居方面注+[頭註]謂爲荊州刺史하고 危不自安하야 乘時奮起하야 以除昏主而成大業이라
及享國日久 普通, 大通之際 遭魏氏衰微하야 王公牧守 繈注+[頭註] 索也 言若繩索之相屬이라而歸之하고 戎車北征하야 至於洛汭
觀其勤身約己하고 好尙文雅하야 拊循士大夫하면 亦可謂恭儉寬惠之君矣
이나 以萬乘之主하야 屈身傾國하야 以奉浮屠하고 恩勝於威하야 紀綱不立이라
信佞臣之謀하고 貪河南之地하야 棄與國注+[頭註]謂東魏하고 寵叛人注+[頭註]侯景이라하야 遂使臺城覆沒하고 老而餒死하야 江淮以南 鞠爲荊棘하니 其智未足稱也
夫德澤不能及而享其大利 聖人禍之하니 譬如悅盜賊之財而延之入室이면 財不可得而喪其所有 必矣
其子孫 各擁强兵하야 列居重鎭이나 不救君父之危하고 而窺間乘便하야 更相屠滅하니 元帝注+[頭註]이라於兄弟之中 殘忍尤甚이라
是以 雖翦兇渠注+[頭註] 大也 謂侯景이라하야 而克復故業이나 旋踵之間 身爲俘馘注+[頭註]生獲曰俘 斷耳曰馘이라하니 豈特人心之不與哉리오
亦天地之所誅也니라
魏立梁王詧하야 爲梁王하고 資以荊州之地하니 是爲後梁注+[原註]梁昭明太子之子 附於魏하니라[頭註]魏取襄陽하야 徙梁王詧하야 使稱帝于江陵하고 屯兵守之하니 名曰助防이라하나 實以制詧也 音察이라이라
[史略 史評]史斷曰
元帝以武帝之子 摠上流之重이라
方其京師覆沒하고 君父告危하니 於斯時 奔走赴難 可也어늘 而竟逡巡不進하고 繼而徵兵湘州하야 少不如意 則含忍以就大事 可也어늘 而遽行骨肉之誅하고 終而簡文嗣位하야 國祚幸存이면 則翼戴以隆梁祚 亦可也어늘 而乃不稟正朔하고 復興
觀其始終一念 上不在其君親하고 下不在其兄弟하야 僥倖國釁하고 希覬身謀하야 師出無名하니 何以討賊이리오
是以 纔誅侯景하고 卽安江陵이라가 未越三期 寇戎交逼이라
身在漂搖扤捏之中하야 不思保國之計하고 方且躬御龍光하야 親講老子하야 使百官으로 戎服以聽하며 不思反己하고 猶焚圖書하니 其愚蔽亦甚矣
卒之喪師覆旅하고 身就拘囚하니 豈非上靈降鑑 此焉假手리오
天道人事 其可誣乎


계유(553) - 나라 승성承聖 2년이고, 위주魏主 원흠元欽의 2년이고, 나라 천보天保 4년이다. -
정월에 나라 왕승변王僧辯이 〈군대를 이끌어〉 건강建康을 출발하고, 황제皇帝를 받들어 진패선陳霸先으로 하여금 양주揚州를 대신 진무하게 하였다.
나라 태사太師 우문태宇文泰위주魏主 원흠元欽注+[頭註]위주魏主 원흠元欽문제文帝 원보거元寶炬장자長子이니, 우문태宇文泰에게 폐위되어 시해당하였다. 을 폐하고, 그의 아우 제왕齊王 원곽元廓注+[原註]제왕齊王 원곽元廓문제文帝의 넷째 아들이니, 이가 바로 공제恭帝이다. 을 세웠다.
양주梁主현담玄談注+[頭註]장자莊子노자老子현허玄虛를 숭상하고, 석씨釋氏을 숭상하였다. 을 좋아하여 9월에 용광전龍光殿에서 《노자老子》를 강하였다.
나라가 우근于謹우문호宇文護양충楊忠을 보내어 5만의 병력을 거느리고 쳐들어오니, 양왕梁王 소찰蕭詧이 군사를 거느리고 이들과 회합하였다.
양주梁主을 정지하고 내외가 삼엄하게 경계하였는데, 왕침王琛이 보고하기를 “제가 석범石梵에 이르니 국경이 조용하였습니다.” 하였다.
양주梁主가 이 말을 듣고 반신반의하였는데, 다시 《노자老子을 하루 동안 여니, 백관百官들이 군복 차림으로 을 들었다.
정해일丁亥日(11월 5일)에 나라 군대가 성책城柵 아래에 이르렀으나 양주梁主는 성을 순행하면서 여전히 입으로 를 지어 읊었고 신하들 중에도 화답하는 자注+[頭註]거성去聲이니, 응답하는 것이다. 가 있었다.
갑인일甲寅日(12월 2일)에 나라 사람들이 백방으로 성을 공격하니, 안에서 반란을 일으킨 자들이 서쪽 성문城門을 열어 나라 군대를 들어오게 하였다.
양주梁主백마白馬소복素服 차림으로 나와서 항복하였다.
역년도歷年圖》에 말하였다.
무제武帝注+[頭註]무제武帝소연蕭衍이다. 나라 말엽을 당하여 방면方面注+[頭註]방면方面형주자사荊州刺史가 되었음을 이른다. 의 임무를 맡고는 위태롭게 여기고 스스로 편안히 여기지 않아서 때를 틈타 분발하여 일어나서 어두운 군주를 제거하고 대업大業을 이루었다.
황제의 지위에 오른 지 오래되자 보통普通 연간과 대통大通 연간 사이에 나라가 쇠미해질 때를 당하여 왕공王公과 지방 수령들이 계속 이어서注+[頭註]은 끈이니, 강속繈屬은 마치 끈이 서로 이어진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돌아오고 병거兵車로 북쪽을 정벌하여 낙예洛汭에까지 이르렀다.
몸소 부지런히 일하고 검소하게 하며 문아文雅를 좋아하고 숭상해서 사대부士大夫들을 어루만진 것을 보면 또한 공손하고 검소하며 너그럽고 은혜로운 군주라고 이를 만하다.
그러나 만승萬乘의 군주로서 상문桑門(승려)의 행실을 하여 몸을 굽히고 나라를 기울여 부도浮屠를 받들었으며 은혜가 위엄을 이겨 기강이 서지 못하였다.
간신(朱异)의 꾀를 믿고 하남河南 땅을 탐내어 동맹국인 동위東魏注+[頭註]여국與國(동맹국)은 동위東魏를 이른다. 를 배반하고 모반한 후경侯景注+[頭註]모반한 사람은 후경侯景이다. 을 총애하여 마침내 대성臺城을 전복시켰으며 늙어서 굶어 죽어 강회江淮 이남 지방이 마침내 쑥대밭이 되게 하였으니, 그 지혜는 칭찬할 것이 못 된다.
덕택이 미치지 못하면서 큰 이익을 누리는 것을 성인聖人은 재앙으로 여겼으니, 비유하건대 도적의 재물을 좋아하여 도적을 맞이하여 집안에 들어오게 하면 재물을 얻기는커녕 자신의 소유를 잃을 것이 틀림없다.
자손들이 각각 강한 군대를 보유하고서 중진重鎭에 포진하고 있었으나 군부君父의 위태로움을 구원하지 않고 기회만 엿보고 편리한 틈을 타서 번갈아 서로 도륙하고 멸망시켰으니, 원제元帝注+[頭註]원제元帝소역蕭繹이다. 는 형제 중에서도 잔인함이 더욱 심하였다.
이 때문에 비록 원흉元兇후경侯景注+[頭註]는 큼이니, 흉거兇渠후경侯景을 이른다. 을 제거하여 옛 기업을 회복하였으나 돌아서기도 전에 몸이 포로注+[頭註]사로잡은 것을 라 하고, 귀를 베는 것을 이라 한다. 가 되었으니, 어찌 다만 인심人心이 허여하지 않았을 뿐이겠는가.
또한 천지天地가 벌을 내린 것이다.
나라가 양왕梁王 소찰蕭詧을 세워 양왕梁王으로 삼고 형주荊州 지역을 밑천으로 삼게 하니, 이것이 바로 후량後梁이다.注+[原註]魏立梁王詧……是爲後梁:[原註]梁王 소찰蕭詧나라 소명태자昭明太子의 아들이니, 나라에 붙었다.[頭註]魏나라가 양양襄陽을 취하고 양왕梁王 소찰蕭詧을 옮겨서 강릉江陵에서 칭제稱帝하게 하고 군대를 주둔시켜 지키니, 명색은 방어를 돕는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소찰蕭詧을 제재하고자 한 것이었다. 은 음이 찰이다.
[史略 사평史評]史斷에 말하였다.
원제元帝(蕭繹)는 무제武帝(蕭衍)의 아들로 양자강揚子江 상류上流 지역의 중임重任을 총괄하고 있었다.
경사京師건강建康이 함락되고 군부君父가 위태로움을 고하였으니, 이때를 당하여 급히 달려가 국난國難을 구원하는 것이 옳았는데 끝내 머뭇거리고 전진하지 않았으며, 뒤이어 상주湘州에서 군대를 징발하여 조금이라도 여의치 않으면 마음속에 치욕을 참고서 대사大事를 이루는 것이 옳았는데 대번에 골육간의 살육을 자행하였으며, 마지막에는 간문제簡文帝가 왕위를 계승하여 국통國統이 다행히 보존되었으면 그를 돕고 추대하여 나라의 국통國統을 융성하게 하는 것이 또한 옳았는데 마침내 정삭正朔을 받지 않고 다시 성제成濟의 계책을 일으켰다.
살펴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한 생각이 위로는 군주와 어버이에게 있지 않고 아래로는 형제들에게 있지 않아서, 국가의 재화災禍를 요행으로 여기고 오직 자신을 위한 계책만을 생각하여 명분 없는 군대를 출동시켰으니, 어떻게 역적을 토벌하겠는가.
이 때문에 겨우 후경侯景을 토벌하고 곧바로 강릉江陵을 안정시켰다가 3년이 못 되어 오랑캐가 번갈아 핍박하였던 것이다.
몸이 표요飄搖하여 위태로운 상황에 있으면서도 나라를 보전할 계책을 생각하지 않고, 또 몸소 용광전龍光殿에 나아가 친히 《노자老子》를 해서 백관百官들로 하여금 군복 차림으로 듣게 하였으며, 자기 몸에 돌이켜 반성할 것을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고금古今의 도서 14만 권을 불태웠으니, 어리석음과 가려짐이 또한 심하다.
끝내 군대를 패망시키고 자신이 구속되고 갇히게 되었으니, 어찌 상천上天의 신령이 굽어보시어 이들에게 손을 빌린 것이 아니겠는가.
천도天道인사人事를 어찌 속일 수 있겠는가.”


역주
역주1 梁主……講老子 : 《資治通鑑》에는 이 이하의 記事가 甲戌年條(554)에 보인다.
역주2 : 침
역주3 : 촉
역주4 桑門之行 : 桑門은 梵語로 沙門을 가리키는 말로, 불교 또는 승려를 말한다.
역주5 成濟之謀 : 군주를 배반하는 행위를 이른다. 魏나라 文帝 曹丕의 손자인 高貴鄕公 曹髦가 司馬昭의 전횡을 미워하여 황제의 몸으로 직접 칼을 빼들고 수백 명을 지휘하여 공격하자, 司馬昭의 도당들이 멈칫하며 후퇴하려 하였다. 이때 太子舍人으로 있던 成濟가 어떻게 할지 賈充에게 물으니, 賈充이 말하기를 “너희들을 기른 것은 오늘을 위해서이니, 물어 볼 것도 없다.” 하자, 成濟가 곧 앞으로 나아가 曹髦를 칼로 찔러 등까지 관통시켰다.《三國志 魏書 卷4 高貴鄕公傳 註》

통감절요(6) 책은 2019.05.15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