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心經附註

심경부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孟子曰
故術不可不愼也니라
리오하시니 夫仁 天之尊爵也 人之安宅也어늘
莫之禦而不仁하니 是不智也니라
不仁不智
人役也 人役而恥爲役 弓人而恥爲弓하며 矢人而恥爲矢也니라
如恥之인댄 莫如爲仁이니라
仁者 如射하니 射者 正己而後發하야 發而不中이라도 不怨勝己者 反求諸己而已矣니라
原注
[原註]
○ 朱子曰
仁義禮智 皆天所與之而仁者 天地生物之心이라 得之最先而兼統四者하니 所謂
故曰尊爵이요
在人則爲本心全體之德이니 有天理自然之安이요 無人欲陷溺之危하니 人當常處其中而不可須臾離者也
故曰安宅이라하니라
原注
○ 又曰
此亦因人愧恥之心而引之하야 使志於仁也
不言智禮義者 仁該全體하니 能爲仁이면 則三者在其中矣니라
原注
[附註]
○ 問 仁兼四端意한대 朱子曰
上蔡見明道先生하고 擧史書成誦이러니 明道謂其라하신대 上蔡汗流浹背하고 面發赤色이어늘
明道云 此便是惻隱之心이라하시니 하라
上蔡聞過慙惶 自是羞惡之心이어늘 如何却說惻隱
是有惻隱之心이라야 이니 動了 始有羞惡, 有恭敬, 有是非 動處便是惻隱이니라
若不會動이면 却不成人이니
天地生生之理 這些動意 未嘗止息이니라
原注
○ 南軒張氏曰
矢人與函人 巫與匠 俱人也로되 而其所欲之異者 以其操術然也
故夫人 自處不仁하야 爲忌忮, 爲殘忍하야 至於嗜殺人而不顧하나니 夫豈獨異於人哉리오
惟其所處 每在乎人欲之中하야 安習滋長하야 以至於此
其性 本同이나 而其習 霄壤之異하니 可不畏與
原注
此章 以尊爵安宅으로 論仁하니 其理甚精微하고 勉人爲仁하니 其意甚切至
旣言莫之禦而不仁이라하시고 又言反求諸己라하시니 皆言其機在我不在人也
仁固包義禮智 然人所以不爲仁者 由於是非之心不明 與羞惡之心不正耳
故孟子先言是不智也하시니 欲人以是非之智而擇爲仁之術이요 繼言如恥之하시니 欲人以羞惡之義而決爲仁之機也시니라


20. 시인함인장矢人函人章
맹자孟子가 말씀하였다.
“화살 만드는 사람이 어찌 갑옷 만드는 사람보다 하지 못하겠는가마는 화살 만드는 사람은 행여 사람을 상하지 못할까 두려워하고 갑옷 만드는 사람은 행여 사람을 상할까 두려워하니, 무당과 을 만드는 목수도 그러하다.
그러므로 기술技術을 선택함에 삼가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공자孔子가 말씀하기를 ‘마을에 인후仁厚한 풍속이 있는 것이 아름다우니, 사람이 좋은 마을을 가려 에 처하지 않는다면 어찌 지혜로움이 될 수 있겠는가’ 하였으니, 은 하늘의 높은 벼슬이고 사람의 편안한 집이다.
그러나 이것을 막는 이가 없는데도 하지 못하니, 이것은 지혜롭지 못한 것이다.
하지 못하여 지혜롭지 못하다.
그리하여 가 없고 가 없으면 사람에게 사역使役을 당하니, 사람에게 사역 당하면서 사역하는 것을 부끄러워함은 마치 활 만드는 사람이 활 만드는 것을 부끄러워하고 화살 만드는 사람이 화살 만드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것과 같다.
만일 이것을 부끄러워한다면 을 행하는 것만 못하다.
한 자는 활쏘기 하는 것과 같으니, 활을 쏘는 자는 자신을 바로잡은 뒤에 발사하는데, 발사하여 명중하지 못하더라도 자신을 이긴 자를 원망하지 않고 돌이켜 자신에게서 찾을 뿐이다.”
原注
[原註]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는 모두 하늘이 주신 바의 양귀良貴인데, 천지天地만물萬物을 내는 마음으로 얻기를 가장 먼저 하고 네 가지(仁‧)를 겸하여 통합하니, 《주역周易건괘乾卦문언전文言傳〉에 이른바 ‘이란 의 으뜸’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존작尊爵이라 말한 것이다.
사람에게 있어서는 본심本心전체全體이 되어 천리天理자연自然의 편안함이 있고 인욕人欲에 빠지는 위태로움이 없으니, 사람들이 마땅히 항상 이 가운데에 있어야 하고 잠시라도 떠나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안택安宅이라 말한 것이다.”
原注
또 말씀하였다.
“이 또한 사람들이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인하여 이끌어서 에 뜻하게 하신 것이다.
를 말하지 않은 것은 전체全體를 포함하니, 능히 을 행하면 세 가지가 이 가운데에 들어있기 때문이다.”
原注
[附註]
사단四端을 겸한 뜻을 묻자,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상채上蔡(謝良佐)가 명도선생明道先生을 뵙고 역사책을 들어 줄줄 외자, 명도明道가 ‘물건을 좋아하면 뜻을 잃는다’고 말씀하시니, 상채上蔡는 부끄러워 땀이 흘러 등을 적시고 얼굴에 붉은 빛이 나타났다.
이에 명도明道는 ‘이것이 곧 측은해 하는 마음이다’ 하였으니, 우선 말해보라.
상채上蔡가 과실을 듣고서 부끄러워하고 황송해 함은 본래 수오羞惡하는 마음인데, 어찌 도리어 측은惻隱이라고 말씀하였는가?
이는 측은해 하는 마음이 있어야 비로소 할 수 있는 것이니, 하여야 비로소 수오지심羞惡之心이 있고 공경지심恭敬之心이 있고 시비지심是非之心이 있는 바, 하는 곳이 곧 측은惻隱이다.
만약 하지 못한다면 사람을 이루지 못한다.
천지天地가 낳고 낳는 이치는 이 하는 뜻이 일찍이 그치는 적이 없다.”
原注
남헌장씨南軒張氏가 말하였다.
시인矢人(화살 만드는 사람)과 함인函人(갑옷 만드는 사람), 무당과 목수가 모두 사람인데, 하고자 하는 바가 다른 것은 잡은 기술이 그렇게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이 불인不仁자처自處하여 시기하고 해치는 짓을 하며 잔인한 짓을 해서 사람을 죽이기를 좋아하여 돌아보지 않는 지경에까지 이르니, 어찌 유독 일반인과 달라서이겠는가.
오직 그 처한 바가 언제나 인욕人欲의 가운데에 있어 편안히 익히고 점점 자라나서 이에 이른 것이다.
은 본래 같으나 그 익힘은 하늘과 땅처럼 다르니,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原注
신안진씨新安陳氏(陳櫟)가 말하였다.
“이 존작尊爵안택安宅으로 을 논하였으니 그 이치가 매우 정미하고, 사람에게 을 하도록 권면하였으니 그 뜻이 매우 간절하고 지극하다.
이미 ‘막는 이가 없는데도 하지 못하다’고 말씀하였고, 또 ‘자기 몸에 돌이켜 찾으라’고 말씀하였으니, 이는 모두 그 기틀이 자신에게 있고 남에게 있지 않음을 말씀한 것이다.
은 진실로 를 포괄하나 사람이 을 하지 않는 까닭은 시비是非의 마음이 밝지 못하고 수오羞惡의 마음이 바르지 못한 데에서 연유된다.
그러므로 맹자孟子께서 먼저 ‘이것은 지혜롭지 못한 것’이라고 말씀하셨으니, 사람들이 시비是非하는 로써 을 행하는 방법을 택하게 하고자 한 것이요, 뒤이어 ‘만일 부끄러워한다면’이라고 말씀하였으니, 사람들이 수오羞惡하는 로써 을 행하는 기틀을 결단하게 하고자 하신 것이다.”


역주
역주1 矢人函人章 : 《孟子》 〈公孫丑 上〉에 보인다.
역주2 [釋疑]矢人 …… 巫匠亦然 : 먼저 矢人‧函人과 巫‧匠을 말한 것은 詩의 興과 같다. [補註] 《詩經》의 서술 방식에는 興‧賦‧比의 세 가지 유형이 있는 바, 興은 어떠한 일을 말하려 하면서 먼저 다른 일을 서술함을 이르며, 賦는 곧바로 서술하는 것이고, 比는 비유법을 쓰는 것이다.
역주3 [釋疑]孔子曰 …… 焉得智 : 孔子는 人心이 좋은 마을을 가려서 거주해야 함을 말씀하였는데, 孟子는 이것을 인용하여 사람이 技術을 가려 배워야 함을 밝히신 것이다. [補註] 위의 내용은 《論語》 〈里仁〉에 보이는데, 孟子가 다시 인용한 것으로 《孟子》 〈公孫丑 上〉에 보인다.
역주4 [釋疑]不仁不智 無禮無義 : 本註(孟子集註)에 “仁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혜롭지 못하고, 지혜롭지 못하기 때문에 禮義의 소재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以不仁故不智 不智故不知禮義之所在]” 하였으니, 마땅히 附註 제1조와 참고해서 보아야 할 것이다.
역주5 : 猶
역주6 [刊補]良貴 : 《孟子》 〈告子〉의 ‘人之所貴者非良貴也’ 註에 “良은 本然의 善이다.” 하였다. [補註]良貴는 本然(天然)의 貴함으로, 사람이 仁義禮智의 훌륭한 행실이 있어 사람들로부터 존경받음을 이른다.
역주7 [刊補]元者善之長 : 《周易》 〈乾卦 文言傳〉에 나오는 말로, 하늘에 있어서는 元이라 하고, 사람에 있어서는 仁이라 한다. 朱子의 《本義》에는 “元은 만물을 낳는 시초로 天地의 德이 이보다 앞서는 것이 없다. 그러므로 四時에 있어서는 봄이 되고 사람에 있어서는 仁이 되니, 衆善의 으뜸이다.” 하였다. 小註에 朱子가 말씀하기를 “元‧亨‧利‧貞이 모두 善이나 元은 곧 네 가지 가운데 으뜸이니, 이는 善의 단서가 처음 發하는 곳이다.” 하였으며, 또 말씀하기를 “仁은 兄長(우두머리)으로서 義‧禮‧智를 거느리기 때문에 元은 善의 으뜸이라고 한 것이다.” 하였다.
역주8 [釋疑]玩物喪志 : 玩物은 좋아하는 물건이나 일에 탐닉하는 것으로, 마음이 여기에 빠지기 때문에 그 뜻을 잃는 것이다. [補註] 《書經》 〈旅獒〉에 “사람을 하찮게 여기면 德을 잃고 물건을 좋아하면 뜻을 잃는다.[玩人喪德 玩物喪志]” 하였다.
역주9 [釋疑]且道 : 道는 말함이다. 朱子가 이미 程子와 謝氏의 일을 인용하고 인하여 그 門人에게 묻기를 “公들은 우선 말해보라. 程子가 어찌하여 羞惡之心을 惻隱이라 하였는가?” 하였다. 이윽고 문인들 중에 대답하는 자가 없자, 마침내 말씀하기를 “이는 惻隱之心이 있어야 羞惡之心이 나오기 때문이다.” 하였으니, 이 아래의 몇 말씀은 측은히 三端을 관통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補註] ‘且道컨대’로 吐를 붙여 ‘또 말하건대’ ‘우선 말하건대’로 해석하기도 한다.
역주10 [釋疑]方會動 : 會는 ‘능하다’ ‘알다’와 같다.
역주11 [釋疑]新安陳氏 : 이름이 櫟이고 호가 定宇堂이다.

심경부주 책은 2019.05.1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