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1)

근사록집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65. 有求爲聖人之志然後 可與共學이요 學而善思然後 可與適道 思而有所得則可與立이요 立而化之則可與權注+論語子罕篇 子曰 可與共學이오도 未可與適道 可與適道오도 未可與立이며 可與立이오도 未可與權이라하니라注+論語註曰 可與者 言其可與共爲此事也 稱錘也 所以稱物而知輕重者也 可與權 爲能權輕重하야 使合義也 楊氏曰 信道篤然後 可與立이요 知時措之宜然後 可與權이니라 ○ 朱子曰 立 是見得那正當道理分明了하야 不爲事物所遷惑이니 可與立者 能處置得常事 可與權者 能處置得變事니라이니라
說見論語
學者 所以學爲聖人也 有志希聖然後 可與共學이요 學原於思하니 善於致思然後 能通乎道 思而有實得然後 可與立而物欲異端 不能奪之 旣立矣 又能通變而不滯라야 斯可與權이라
蓋權者 隨時制宜하야 唯變所適이니 又非執一者所能與也니라


65.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성인聖人이 되려고 하는 뜻이 있은 뒤에야 더불어 함께 배울 수 있고, 배워서 생각을 잘한 뒤에야 더불어 에 나갈 수 있고, 생각하여 얻은 바가 있으면 더불어 설 수 있고, 서서 하면 더불어 권도權道(때에 따라 마땅하게 함)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注+논어論語》〈자한편子罕篇〉에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더불어 함께 배울 수는 있어도 함께 에 나아갈 수는 없으며, 더불어 에 나아갈 수는 있어도 더불어 설 수는 없으며, 더불어 설 수는 있어도 더불어 권도權道를 행할 수는 없다.” 하셨다.注+논어論語》의 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가여可與는 함께 이 일을 할 수 있음을 말한다. 은 저울과 저울추이니, 물건을 달아 경중輕重을 아는 것인바, 더불어 권도權道를 행할 수 있다는 것은 일의 경중輕重을 저울질하여 에 합하게 하는 것이다. 양씨楊氏가 말하기를 ‘에 대한 믿음이 독실한 뒤에야 더불어 설 수가 있고, 시의적절時宜適切하게 조처할 줄 안 뒤에야 더불어 권도權道를 행할 수 있다.’ 하였다.”
주자朱子가 말씀하였다. “은 정당한 도리를 분명히 보아서 사물事物에게 옮겨지거나 현혹당하지 않는 것이니, 더불어 설 수 있다는 것은 평상적인 일을 처치할 수 있는 것이요, 더불어 권도權道를 행할 수 있다는 것은 평상적이지 않은 일을 처치할 수 있는 것이다.
내용이 《논어論語》에 보인다.
배운다는 것은 성인聖人이 됨을 배우는 것이니, 성인聖人을 바라는 뜻이 있은 뒤에야 더불어 함께 배울 수 있고, 배움은 생각에 근원하니 생각을 다하기를 잘한 뒤에야 를 통달할 수 있고, 생각하여 실제 얻음이 있은 뒤에야 더불어 서서 물욕物慾이단異端이 빼앗지 못하고, 이미 서고 또 능히 변통하여 막히지 않아야 더불어 권도權道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은 때에 따라 마땅하게 하여 오직 변화에 적응適應하는 것이니, 또 한 가지만을 지키는 자가 참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근사록집해(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