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2)

근사록집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58. 今時人 看易호되 皆不識得易是何物하고 只就上穿鑿하나니
若念得不熟與인댄 就上添一德이라도 亦不覺多하고 就上減一德이라도 亦不覺少
譬如不識此兀[丌]子注+ 問 莊子曰 兀者 無趾라하고 或曰 如今之杌[机]子오하니 何如잇가 退溪曰 後說是니라 ○ 又按 韓文 劉統軍碑 劉公旣葬 机于京舍라하니 疑是倚卓之類니라 若減一隻脚이라도 亦不知是少하고 若添一隻이라도 亦不知是多 若識則自添減不得也니라
學者當體此意하야 使於卦象辭義注+按 使字似剩이라 皆的然見其不可易而後爲得也니라


58. 〈이천선생伊川先生이 말씀하였다.〉
“지금 세상 사람들은 《주역周易》을 보되 모두 《주역周易》이 어떤 물건인지를 알지 못하고 다만 그 위에 나아가 천착穿鑿하니,
만약 생각함이 익숙하지 못하다면 그 위에 나아가 한 을 더해도 많음을 깨닫지 못하고, 그 위에 나아가 한 을 줄여도 부족함을 깨닫지 못한다.
비유하건대 이 책상注+살펴보건대 《운회韻會》에 “이 五忽切(올)이니, 높고 위가 평평한 것이다.” 하였다. 묻기를 “《장자莊子》에 ‘은 발이 없는 것이다.’ 하였고, 혹자或者는 ‘지금의 궤자机子(책상)와 같다.’ 하니, 어떠합니까?” 하자, 퇴계退溪는 “뒤의 말(책상)이 옳다.” 하였다.
○ 또 살펴보건대 《한유문집韓愈文集》의 〈유통군비劉統軍碑〉에 “유공劉公을 이미 장례한 다음 경사京舍신위神位를 모셨다.” 하였으니, 의심컨대 의자나 탁자의 뜻인 듯하다
을 알지 못하면 만약 한 다리를 줄여도 부족함을 알지 못하고, 만약 한 다리를 더해도 많음을 알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 만약 이것을 안다면 자연 더할 수도 뺄 수도 없는 것이다.”
배우는 자가 마땅히 이 뜻을 체득體得하여 괘상卦象사의辭義(卦辭와 효사爻辭의 뜻)에 있어注+살펴보건대 사자使字는 필요없는 글자인 듯하다. 모두 바꿀 수 없음을 분명하게 안 뒤에야 얻음이 된다.


역주
역주1 韻會……高而上平也 : 兀은 음이 올이고 丌는 음이 기이며, 뜻 역시 兀은 우뚝함 또는 발꿈치가 잘린 것이고 丌는 책상으로 전혀 다른 글자인데, 우리나라에서 兀과 几를 혼동하여 이렇게 썼으므로 丌로 바로잡았다. 机 역시 책상으로 几와 같은 자인데 음이 궤이다.

근사록집해(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