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近思錄集解(3)

근사록집해(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근사록집해(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1 觀之上九曰 觀其生호되 君子 無咎리라하야늘 象曰 觀其生 志未平也라하니
傳曰
君子雖不在位 然以人觀其德하야 用爲儀法이라
故當自愼省이니 觀其所生호되 常不失於君子하면 則人不失所望而化之矣
上爲無位之地 故曰不在位
이나 當觀之時하야 高而在上하니 固衆人所觀瞻而用爲法則者
要當謹畏하야 反觀內省이니 己之所爲 常不違乎君子之道而後 人心慰滿하야 得所矜式也니라
3-2 不可以不在於位故 安然放意하야 無所事也니라
〈易傳〉
釋志未平也
言高尙之士 亦不可以輕意肆志也니라


3-1 관괘觀卦상구효사上九爻辭에 “그 내는 것을 관찰하되 군자君子다우면 허물이 없을 것이다.” 하였는데, 〈상전象傳〉에 “그 내는 것을 관찰함은 뜻이 편안하지 않은 것이다.” 하였다.
이천선생伊川先生의〉 《역전易傳》에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군자君子가 비록 지위에 있지 않으나 사람들이 그 을 관찰하여 의표儀表으로 삼는다.
그러므로 마땅히 스스로 삼가고 살피는 것이니, 그 내는 것을 관찰하되 항상 군자다움을 잃지 않는다면 사람들이 소망을 잃지 아니하여 교화敎化될 것이다.
은 지위가 없는 자리이므로 ‘지위에 있지 않다.’고 말한 것이다.
그러나 의 때를 당하여 높으면서 위에 있으니, 진실로 중인衆人들이 우러러보아 법칙으로 삼는다.
요컨대 삼가고 두려워하여 되돌아보고 안으로 살펴야 하니, 자신의 하는 바가 항상 군자君子에 위배하지 않은 뒤에야 인심人心이 위로되고 만족하여 긍식矜式하는 바가 되는 것이다.
3-2 지위에 있지 않다는 이유로 편안히 방심放心하여 일삼는 바가 없어서는 안 된다.”
〈《역전易傳》에 보인다.〉
뜻이 편안하지 않음을 해석한 것이다.
고상高尙한 선비들도 마음을 가볍게 하고 뜻을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



근사록집해(3)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