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7. 或問無爲한대 曰 奚爲哉 注+奚爲哉:應化而已. ○光曰 “所以有爲者, 救時之失耳. 時不失道, 又何爲哉.”리오 在昔虞夏 襲堯之爵하고 行堯之道 法度彰하고 禮樂著일새
垂拱而視天民之阜也 注+垂拱而視天民之阜也:咸曰 “阜, 盛也, 富也.” 無爲矣 注+垂拱而視天民之阜也 無爲矣:祕曰 “阜, 厚也. 垂衣拱手, 視天民之厚盛, 何爲哉.”
紹桀之後하고 纂紂之餘 法度廢하고 禮樂虧하니 安坐而視天[下]民之死 無爲乎 注+紹桀之後……無爲乎:紹桀者, 成湯也. 纂紂者, 周武也. 當此之時, 湯武不可安坐視天下民之死, 而欲無爲也, 所謂可則因, 否則革矣. 應變順時, 故迹不同, 致理而言, 皆非爲也. ○祕曰 “湯武革命, 應天順人, 自然有爲之時.” ○光曰 “宋吳本, 皆作天民, 無下字, 李本, 作天下民.”


혹자가 무위無爲로 다스리는 것에 대해서 물으니,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어찌 작위하는 바가 있겠는가.注+변화에 응할 뿐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작위함이 있는 것은 당시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한 것일 뿐이다. 도를 잃지 않은 때라면 또 어찌 작위하겠는가.” 옛날에 우순虞舜하우夏禹임금의 지위를 계승하고 임금의 도를 행하였지만 법도가 밝혀지고 예악이 드러나 있었기 때문에
의상을 늘어뜨리고 두 손을 마주 잡고서 천하의 백성들이 풍족하고 안락하게 사는 것을 보았으니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는 성대함이고 풍부함이다.”, 이것이 바로 무위로 다스리는 것이다.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는 후함이다. 의상을 늘어뜨리고 두 손을 마주 잡고서 천하의 백성들이 풍족하게 지내는 것을 보았다면 어찌 작위하겠는가.”
탕왕湯王하걸夏桀의 뒤를 잇고 무왕武王상주商紂의 뒤를 이었지만 법도가 폐지되고 예악이 무너져 있었으니, 어찌 앉아서 천하의 백성들이 죽어가는 것을 쳐다보면서 무위로 다스릴 수 있었겠는가.”注+걸왕桀王의 뒤를 이은 것은 성탕成湯이고, 주왕紂王의 뒤를 이은 것은 주 무왕周 武王이다. 이때를 당하여 탕왕湯王무왕武王은 편안히 앉아서 천하의 백성들이 죽는 것을 쳐다보면서 무위無爲로만 다스릴 수 없었으니, 이른바 ‘행할 수 있는 것은 인순하고 행할 수 없는 것은 개혁한다.’는 것이다. 임기응변하여 때를 따랐기 때문에 자취는 같지 않으나 이치로 말하면 모두 작위한 것이 아니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탕왕湯王무왕武王혁명革命하여 하늘의 뜻에 순응하고 민심을 따랐으니, 자연히 유위有爲할 때였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송함본宋咸本오비본吳祕本에는 모두 ‘천민天民’으로 되어 있고 ‘’자가 없는데 이궤본李軌本에는 ‘천하민天下民’으로 되어 있다.”


역주
역주1 [下] : 저본에는 없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뒤의 ‘安坐而視天[下]民之死’의 ‘下’도 같다.
역주2 [得] : 저본에는 없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