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揚子法言(1)

양자법언(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양자법언(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3. 或曰 使我紆朱懷金인댄 其樂 不可量也 注+使我紆朱懷金 其樂不可量也:祕曰 “紆朱之美服‧懷金之重寶以爲樂.” ○光曰 “樂, 音洛. 下可以意求. 朱衣金印, 貴者之服. 下章言富不足慕, 此章言貴不足樂, 皆不如學也.”리라
曰 紆朱懷金之樂 不如顔氏子之樂이라 顔氏子之樂也注+顔氏子之樂也內:至樂內足, 不待於外. 紆朱懷金之樂也注+紆朱懷金之樂也外:內樂不足. 是故, 假於金外物爾, 乃說樂也. ○祕曰 “顔子樂道故曰內, 或人樂物故曰外.”니라
或曰 請問之內 注+請問屢空之內:欲以此義, 嘲揚子也. ○咸曰 “或人以揚言顔子樂內, 而非紆朱懷金. 故以顔之屢空爲難, 非以嘲揚子之意也.” ○祕曰 “顔子屢空, 何爲樂內.” ○光曰 “言顔子貧賤, 家資屢空, 其內何樂之有.”하노이다
曰 顔不孔인댄 雖得天下라도 不足以爲樂 注+顔不孔雖得天下 不足以爲樂:祕曰 “顔得孔子, 而臻于道, 所以樂也. 非此, 雖得天下, 豈顔子之樂哉.”이라
然亦有苦乎 注+然亦有苦乎:光曰 “顔雖樂孔子之道, 豈能不以貧賤爲苦乎.” 曰 顔苦孔之卓也 注+顔苦孔之卓也:咸曰 “言顔之所苦, 無他焉, 惟苦孔子之道卓然耳. 故曰 ‘.’” ○祕曰 “顔子曰 ‘如有所立卓爾, 雖欲從之, 末由也已.’” ○光曰 “李本, 作顔苦孔之卓之至也. 今從宋吳本.”니라
或人瞿然 注+或人瞿然:咸曰 “瞿然, 猶駭也.”曰 玆苦也 祇其所以爲樂也歟 注+玆苦也 祇其所以爲樂也歟:祕曰 “瞿, 疾視貌. 或本, 作懼. 祇, 當爲祗. 祗, 適也. 或人瞿然曰 ‘玆苦孔之卓也, 何適之所以爲樂哉.’ .’” ○光曰 “瞿, 音句. 祇, 音支. 孔子之道至高, 顔子悅而慕之. 所以爲樂也.”인저


혹자가 말하였다. “가령 제가 〈높은 관직에 올라〉 붉은색 관복을 입고 금인金印을 찬다면 그 즐거움을 이루 헤아릴 수 없을 것입니다.”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붉은색의 아름다운 관복官服에 귀중한 보배인 금인金印을 차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는 것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이니, 아래에 나오는 자는 뜻으로 구할 수 있다. 붉은색 관복에 금인金印을 차는 것은 귀한 자의 복색이다. 아랫장은 부유함이 흠모할 만한 것이 못 됨을 말하였고, 이 장은 귀함이 즐거워할 만한 것이 못 됨을 말하였으니, 부유함과 귀함은 모두 배우는 것만 못하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붉은색 관복을 입고 금인金印을 찬 자의 즐거움은 안씨顔氏 아들(안연顔淵)의 즐거움만 못하다. 안씨顔氏 아들의 즐거움은 내심內心에 있는 것이고注+지극한 즐거움이 자기 안에 충만하면 자기 몸 밖에 있는 것을 기다리지 않는다., 붉은 관복을 입고 금인金印을 차는 즐거움은 외면外面에 있는 것이다.”注+자기 안에 즐거움이 충만하지 않기 때문에 금인金印과 붉은 관복 같은 자기 몸 밖의 물건을 빌려야 비로소 기쁘고 즐거운 것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안자顔子를 즐거워하였기 때문에 라고 하였고, 혹자는 외물을 좋아하였기 때문에 라고 한 것이다.
혹자가 말하였다. “양식이 자주 떨어질 정도로 가난하게 산 안연顔淵의 즐거움에 대해서 묻습니다.”注+이러한 것에 대해 의론議論하고자 한 것은 양자揚子를 조롱한 것이다. ○송함宋咸이 말하였다. “혹인或人양자揚子안자顔子는 내면의 도를 즐거워한 것이지 붉은 관복을 입고 금인金印을 차는 것을 즐거워한 것이 아니라고 말했기 때문에, 안자가 가난하게 살면서 도를 즐거워한 것을 어려운 일이라고 여긴 것이지 양자를 조롱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안자가 뒤주가 자주 빌 정도로 가난하게 산 것이 어찌하여 내면의 도를 즐거워한 것이냐는 말이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안자는 가난하여 집안의 물자가 자주 비었는데, 그 가운데에 무슨 즐거움이 있느냐는 말이다.”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안연은 공자 같은 사람이 되지 못하면 비록 천하를 얻는다 해도 즐거워하지 않았을 것이다.”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안자顔子공자孔子를 만나서 에 이르렀으니, 이 때문에 즐거워한 것이다. 이것이 아니라면 비록 천하를 얻는다 한들 어찌 안자가 즐거워하였겠는가.”
혹자가 물었다. “그렇다면 안연도 괴로워한 것이 있었습니까?”注+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안연이 비록 공자의 를 즐거워하였으나 어찌 빈천貧賤을 괴롭게 여기지 않을 수 있겠는가.” 양자揚子가 말하였다. “안연이 괴로워한 것은 공자의 도가 우뚝하여 따르고자 해도 따라갈 수 없는 것이다.”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안자가 괴롭게 여긴 것은 다름이 아니라 오직 공자의 가 우뚝하여 따르고자 하나 따라갈 수가 없는 것을 괴롭게 여겼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우러러볼수록 더욱 높고, 뚫을수록 더욱 견고하다.’고 한 것이다.” ○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안자가 ‘〈부자夫子가〉 마치 내 눈앞에 우뚝 선 것이 있는 듯하여 비록 그것을 따르고자 하였으나 따라갈 수가 없었다.’라고 하였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이궤본李軌本은 ‘안고공지탁지지야顔苦孔之卓之至也’로 되어 있으나, 지금 송함본宋咸本오비본吳祕本을 따랐다.”
혹자가 놀라며注+송함宋咸이 말하였다. “구연瞿然(놀람)와 같다.” 말하였다. “이러한 괴로움이 바로 안연의 즐거움이 내심內心에 있는 이유일 것입니다.”注+오비吳祕가 말하였다. “질시疾視하는 모양이다. 혹 다른 에는 ‘’로 되어 있다. 는 마땅히 가 되어야 하니, 는 다만이다. 혹인이 놀라서 ‘공자孔子의 도가 우뚝하여 따르고자 하나 따라갈 수가 없는 것을 괴롭게 여겼으니, 어찌 다만 즐거워하기만 하였겠는가.’라고 한 것이다. 《예기禮記》 〈잡기雜記〉에 ‘비슷한 자를 보면 눈이 놀라고, 이름을 들으면 마음이 두려워진다.’라고 하였다.” ○사마광司馬光이 말하였다. “이고, 이다. 공자孔子가 지극히 높아 안자顔子가 기뻐하고 흠모하였다. 그러므로 즐거워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者] : 저본에는 없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2 (珠)[朱] : 저본에는 ‘珠’로 되어 있으나, 四部叢刊本에 근거하여 ‘朱’로 바로잡았다.
역주3 屢空 : 살림살이가 빈궁한 것을 말한다. 《論語》 〈先進〉에 孔子가 “顔回는 도에 가깝고 뒤주가 자주 비었다.[回其庶幾乎 屢空]”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역주4 仰之彌高 鑽之彌堅 : 《論語》 〈子罕〉에 顔淵이 孔子의 道가 무궁무진함을 깊이 깨닫고 감탄하여 “〈孔子의 道는〉 우러러볼수록 더욱 높고 뚫을수록 더욱 견고하며, 바라보면 눈앞에 있는 듯하다가 문득 뒤에 있도다.……마치 부자의 도가 내 눈앞에 우뚝 선 것이 있는 듯한지라, 비록 그것을 따르려고 하였으나 따를 수가 없도다.[仰之彌高 鑽之彌堅 瞻之在前 忽焉在後……如有所立卓爾 雖欲從之 末由也已]”라고 하였다.
역주5 雜記曰……聞名心瞿 : 《禮記》 〈雜記〉에 “喪服을 벗은 뒤에 길을 가다가 부모와 모습이 비슷한 자를 보면 눈이 휘둥그레지고, 부모의 이름과 같은 이름을 들으면 마음이 두려워진다.[免喪之外 行於道路 見似目瞿 聞名心瞿]”라고 하였다.

양자법언(1) 책은 2019.06.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