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哀公問於孔子曰 智者壽乎잇가 仁者壽乎잇가 孔子對曰 然하니이다 人有三死하니 而非其命也 行己自取也니이다
夫寢處不時하고 飮食不節하고 逸勞過度者 疾共殺之하며 居下位而上干其君하고 嗜慾無厭而求不止者 刑共殺之하며
以少犯衆하고 以弱侮強하고 忿怒不類하고 動不量力者 兵共殺之 此三者 死非命也 人自取之니이다
若夫智士仁人 將身有節注+이라하고 動靜以義하고 喜怒以時하여 無害其性하나니 雖得壽焉이라도 不亦可乎잇가


애공이 공자에게 물었다. 공자가 대답하였다. “그렇습니다. 사람에게는 세 가지의 죽음이 있는데 그것은 天命이 아니고 자신의 행동에 따라 스스로 취하는 것입니다.
잠자고 거처하는 것이 때에 맞지 않고, 마시고 먹는 것이 절도가 없으며, 쉬고 일하는 것이 정도를 지나치는 자는 병에 걸려 죽습니다. 아랫자리에 거처하면서 위로 임금을 干犯하고 嗜慾에 만족함이 없어서 끊임없이 구하는 자는 형벌을 받아 죽습니다.
적은 것으로 많은 것을 범하고 약한 것으로 강한 것을 업신여기며 행동을 할 때 자신의 역량을 헤아리지 못하는 자는 병기에 맞아 죽습니다. 이 세 가지는 그 죽음이 천명이 아니라 사람이 스스로 취한 것입니다.
하지만 지혜로운 선비와 어진 사람의 경우로 말하자면 몸가짐에 절도가 있고注+은 행한다는 뜻이다. 행동이 에 맞으며 기쁨과 분노가 때에 맞아 자신의 본성을 해치지 않습니다. 그러니 장수하더라도 또한 마땅하지 않겠습니까.”


역주
역주1 7-12 : 이 부분은 四部叢刊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역주2 지혜로운……장수합니까 : ≪論語≫ 〈雍也〉에, 공자가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하고, 어진 자는 산을 좋아하며, 지혜로운 자는 동적이고, 어진 자는 정적이며, 지혜로운 자는 즐겁고, 어진 자는 장수한다.[智者樂水 仁者樂山 智者動 仁者靜 智者樂 仁者壽]”라고 하였다.
역주3 분노를……않고 : 분노를 일으켜야 할 때 분노를 일으키지 않고 아무 때나 분노를 일으킨다는 말이다. 원문의 ‘類’는 ‘善’과 같은 뜻이다. ≪書經≫ 〈太甲 中〉에 “나 소자가 德에 밝지 못하여 스스로 不善한 데에 이르렀다.[予小子不明於德 自底不類]”라고 하였는데, 孔安國은 ≪古文尙書傳≫에서 “類는 善이다.”라고 풀이하였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