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季羔爲衛之士師注+季羔爲衛國獄官이라할새 刖人之足注+割罪人之足이라이러니 俄而衛有蒯聵之亂注+ 衛靈公太子蒯聵 得罪出奔晉이러니 及靈公卒하여 立其子輒이어늘 蒯聵自晉襲衛 時子羔子路竝仕於衛國이라하여 季羔逃之走注+ 去聲이라郭門注+季羔避難하여 走城門이라한대 刖者守門焉注+季羔所刖之人 守城門이라하여
謂季羔曰 彼有缺注+謂季羔言 彼處有空하니 可入逃之이니이다 季羔曰 君子不踰注+羔曰 君子之人 不可踰缺이라니라 又曰 彼有竇注+彼處有穴하니 可以避이니이다 季羔曰 君子不隧注+羔又言 君子不從穴出이라니라
又曰 於此有室注+刖者又曰 此處有屋이라이니이다 季羔乃入焉注+羔乃入屋逃之하니 旣而追者罷注+追羔者不追하다
季羔將去注+羔將去할새 謂刖者曰注+乃與刑者言이라吾不能虧主之法하여 而親刖子之足注+我昔不敢虧主法하여 而親臨刖汝之足이라하니
今吾在難注+ 去聲이라注+今我正在患難之中이라이라 正子報怨之時注+此正汝復報之時어늘 而逃我者三 何哉注+汝三番敎我走之 是如何
刖者曰 斷足 固我之罪注+刖者言 斷我足者 自是我罪 昔公之治臣以法注+昔公斷我以法이라할새 臨當論刑注+臨斷罪時하여 君愀然不悅注+公心忽然不悅이라하니 豈私臣哉注+豈有私於我리오리오
天生君子 其道固然注+天生君子之人 行道固當如此하니 此臣之所以悅君也注+此我所以喜公也로이다 孔子聞之曰注+夫子知之曰善哉 爲吏注+善哉 季羔之爲吏 其用法一也注+其行法 均一이라로다
思仁恕則樹德注+存仁恕之心이면 則植其德이라하고 加嚴暴則樹怨注+一加嚴厲 則結怨於人이라하나니 公以行之 其子羔乎注+公心行法 惟子羔也인저
孔子曰 武王 正其身注+武王 周君也 能正其一身이라하여 以正其國注+正其一國이라하고 正其國하여 以正天下注+自國而及天下하여
伐無道注+誅無道之國이라하고 刑有罪注+犯法者하여 一動而天下正注+一擧動而天下皆正이라 其事成矣注+以成就其事 王者致其道而萬民皆治注+王者所爲至於道 則百姓咸理하고 天下順之注+天下皆歸順이라하니라


季羔나라의 士師로 있을 때注+계고가 나라의 獄官으로 있었던 것이다. 죄인의 발꿈치를 잘랐다.注+죄인의 발꿈치를 자른 것이다. 그 후 위나라에 蒯聵(괴외)의 난리가 있어注+당초에 靈公의 태자 蒯聵가 죄를 짓고 나라로 出奔하였다. 영공이 죽을 때에 미쳐 괴외의 아들인 을 왕위에 세우자 괴외가 나라의 도움을 받아 위나라를 습격하였다. 이때에 子羔子路는 모두 위나라에서 벼슬하고 있었다. 계고가 도망쳐注+頭註:(달아나다)는 去聲이다. 성문으로 달아났는데注+계고가 난리를 피해 성문으로 달아난 것이다. 마침 계고에게 刖刑을 당한 사람이 성문을 지키고 있었다.注+계고에게 월형을 당한 사람이 성문을 지키고 있었던 것이다.
그가 계고에게 말하였다. “저쪽에 무너진 곳이 있습니다.”注+계고에게 “저쪽에 무너져 비어 있는 데가 있으니 들어가 숨을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 것이다. 계고가 말하였다. “군자는 무너진 곳을 넘지 않는다.”注+계고가 말하기를 “군자는 무너진 곳을 넘어가지 않는다.”라고 한 것이다. 또 말하였다. “저쪽에 구멍이 있습니다.”注+저쪽에 구멍이 있으니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계고가 말하였다. “군자는 구멍으로 나가지 않는다.”注+계고가 또 말하기를 “군자는 구멍으로 나가지 않는다.”라고 한 것이다.
또 말하였다. “여기에 집이 있습니다.”注+월형을 당한 자가 또 말하기를 “이쪽에 숨을 집이 있습니다.”라고 한 것이다. 계고가 그제서야 들어가자注+계고가 그제야 집에 들어가 숨은 것이다. 이윽고 추격한 자가 추격을 그만두었다.注+계고를 추격하던 자가 추격하지 않은 것이다.
계고가 떠나려 할 때에注+계고가 떠나려 한 것이다. 월형을 당한 사람에게 말하였다.注+이에 형벌을 당한 자에게 말한 것이다. “내가 군주의 법을 어길 수 없어 직접 그대의 발꿈치를 잘랐다.注+내가 예전에 감히 군주의 법을 어길 수 없어 〈죄를 집행하는 곳에〉 직접 가서 그대의 발꿈치를 자른 것이다.
지금 내가 난리에 처해注+頭註:(난리)은 去聲이다. 있으니注+지금 자신이 그야말로 患難에 빠져 있다는 것이다. 그야말로 그대가 복수할 때인데注+이는 바로 그대가 보복할 때이다. 나를 세 번이나 도피시켜 준 것은 어째서인가?”注+그대가 세 번이나 나에게 달아날 곳을 가르쳐 준 것은 어째서이냐고 한 것이다.
월형을 당한 사람이 말하였다. “발꿈치가 잘린 것은 진실로 저의 죄 때문입니다.注+월형을 당한 자가 말하기를 “제 발꿈치가 잘린 것은 본래 저의 죄 때문입니다.”라고 한 것이다. 옛날 을 법으로 다스리시면서注+예전에 공이 자신을 법으로 처단했다는 것이다. 죄를 집행하는 곳에 와서 論定할 때에注+와서 斷罪할 때이다. 께서 근심하며 괴로워하였으니注+공께서 문득 괴로워한 것이다. 어찌 신에게 사사로운 마음이 있었겠습니까.注+어찌 자기에게 사사로운 마음이 있었겠느냐고 한 것이다.
하늘이 군자를 내는 것은 그 운행의 이치가 참으로 그러한 것이니,注+하늘이 군자를 내는 것은 운행의 이치가 진실로 이와 같은 것이다. 이것이 신이 을 좋아하는 까닭입니다.”注+이것이 자신이 공을 좋아하는 이유라는 것이다. 공자가 이를 듣고 말하였다.注+부자가 이를 알고 나서 말한 것이다. “훌륭하도다. 관리 노릇 함이여!注+계고의 관리 노릇 함이 훌륭하다고 한 것이다. 법을 집행하는 것이 한결같도다.注+법을 집행하는 것이 일정한 것이다.
남을 사랑하고 용서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으면 덕을 세울 수 있고,注+사랑하고 용서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으면 그 덕을 세울 수 있는 것이다. 엄하고 사납게 대하면 원한을 맺는 법이다.
注+한결같이 엄하고 사납게 대하면 남에게 원한을 맺는 것이다. 공정하게 행하는 자는 子羔일 것이다.”注+공정한 마음으로 법을 집행하는 것은 오직 자고라는 것이다.
또 공자가 말하였다. “武王은 그 一身을 바르게 하여注+武王나라의 임금이다. 그 一身을 바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나라를 바르게 하였고注+一國을 바르게 한 것이다. 그 나라를 바르게 하여 천하를 바르게 하였다.注+ 一國에서 천하에 미친 것이다.
武王武王
無道한 나라를 정벌하고注+ 무도한 나라를 정벌한 것이다. 죄를 지은 자를 형벌하여注+ 법을 어긴 자를 형벌한 것이다. 한 번 거동함으로써 천하가 바르게 되어注+ 한 번 거동하여 천하가 모두 바르게 된 것이다. 그 일이 성취되었다.注+ 그 일을 성취시킨 것이다. 왕이 그 도리를 다하면 만백성이 모두 다스려지고注+ 왕의 행위가 도에 이르면 백성이 모두 다스려지는 것이다. 천하 사람들이 歸順하는 것이다.”注+ 천하 사람들이 모두 귀순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8-3 : 저본의 표제에 “季羔가 士師가 되다.[季羔爲士師]”라고 되어 있다.
역주2 남을……법이다 : ≪說苑≫ 〈至公〉에 “관리 노릇을 잘하는 자는 덕을 세우고, 관리 노릇을 잘 못하는 자는 원한을 맺는다.[善爲吏者樹德 不善爲吏者樹怨]”라고 하였다.
역주3 (刖)[刑] : 저본에는 ‘刖’로 되어 있으나, 江陵本과 慶長本에 의거하여 ‘刑’으로 바로잡았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