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孔子謂伯魚曰 鯉乎 吾聞可以與人終日不倦者 其唯學焉이라
其容體不足觀也 其勇力不足憚也 其先祖不足稱也 其族姓不足道也로대
終而有大名하여 以顯聞四方하고 流聲後裔者 豈非學之效也리오 故君子不可以不學이니라
其容不可以不飭이니 不飭無類 無類失親注+類宜爲貌 不在飭故無貌 不得言不飭無類也 禮貌矜莊然後 親愛可久 故曰 無類失親也이요 失親不忠注+情不相親이면 則無忠誠이라이요 不忠失禮注+禮以忠信爲本이라 失禮不立注+非禮則無以立이라이라
夫遠而有光者 飭也 近而愈明者 學也 譬之汚池 水潦注焉이요 雚葦生焉이로대 雖或以觀之라도 孰知其源乎注+ 泉源也 水潦注於池而生雚葦로대 觀者誰知其非源泉乎 以言學者雖從外入이라도 及其用之하여는 人誰知其非從此出也者乎리오


공자가 에게 말하였다. “야! 내가 듣기로 남과 종일토록 말하더라도 싫증나지 않는 것은 학문뿐이라고 한다.
그 용모는 볼 만한 것이 없고, 그 勇力은 두렵게 할 만한 것이 없고, 그 선조는 칭송할 만한 분이 없고, 그 가문은 말할 만한 것이 없지만,
결국 큰 명성을 이루어 사방에 널리 알려지고 후세에까지 전해지는 것은 어찌 학문의 효과가 아니겠느냐. 그러므로 군자는 배우지 않아서는 안 되는 것이다.
또 그 용모를 정돈하지 않아서는 안 되니, 정돈하지 않으면 에 맞는 모습이 없고 예에 맞는 모습이 없으면 친할 수 없고注+는 마땅히 가 되어야 한다. 정돈하지 않기 때문에 禮貌가 없는 것이니, ‘不飭無類’라고 말할 수 없다. 예모가 엄숙한 뒤에야 친애함이 오래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예모가 없으면 친함을 잃는다고 한 것이다. 친할 수 없으면 진실되지 못하고注+마음으로 서로 친하지 않으면 진실함이 없는 것이다. 진실되지 못하면 를 잃고注+예는 忠信을 근본으로 하는 것이다.
예를 잃으면 자립할 수 없다.注+예가 아니면 자립할 수 없는 것이다.
대체로 멀어도 빛이 나는 것은 정돈하기 때문이고, 가까이 있으면 더욱 밝은 것은 학문 때문이다. 비유하자면 연못은 빗물이 흘러들어가고 갈대가 자라지만 혹시 보고자 하더라도 누가 그 물의 근원을 알겠는가.”注+은 물의 근원이다. 연못에는 빗물이 흘러들어가고 갈대가 자라지만 이를 보는 자 중에 누가 연못이 물이 흘러나오는 근원이 아님을 알겠는가. 이것을 가지고 ‘학문이 비록 밖에서 들어왔더라도 적용할 때에는 사람들 중에 누가 학문이 여기에서 나오지 않았다는 것을 알겠는가.’라고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8-8 : 이 부분은 四部叢刊本을 저본으로 하였다.
역주2 伯魚 : 공자의 아들인 孔鯉의 자이다.
역주3 예를……없다 : 예가 없으면 떳떳하게 행동할 수 없다는 뜻이다. ≪論語≫ 〈季氏〉에 공자가 아들 鯉에게 예를 배웠느냐고 물었는데, 리가 배우지 못하였다고 대답하였다. 그러자 공자가 “예를 배우지 않으면 자립할 수 없다.[不學禮 無以立]”라고 하였는데, 朱熹의 주석에 “예를 배우면 品節을 자세히 알아서 德性이 굳게 정해진다.”라고 하였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