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子貢問於孔子曰注+子貢問夫子 子從父命孝乎注+能順從父命 可謂孝乎인저 臣從君命貞乎注+臣順從君命 可謂正乎인저인저 奚疑焉注+一孝一正이니 又何疑之리오이리오
孔子曰 昔者明王萬乘之國注+古者萬乘天子之國이라 有爭臣七人이면 則主無過擧注+天子有三公四輔 主諫諍以救其過失이라하고 千乘注+ 竝去聲이라之國 有爭臣五人이면 則社稷不危注+諸侯之國 諫臣有五人이면 則能保其社稷이라하고
百乘之家 有爭臣三人하면 則祿位不替注+卿大夫之家 有諫臣三人이면 則能保其祿位하고 父有爭子 不陷無禮注+父有子能諫諍하면 則不陷於非禮하고 士有爭友 不行不義注+士有朋友相諫諍하면 則不行非義之事
故子從父命 奚詎爲孝注+子順父命 豈得爲孝리오 臣從君命 奚詎爲貞注+臣順君命 豈得爲正이리오이리오 夫能審其所從注+當詳審所從宜與不宜 之謂孝 之謂貞矣注+則謂之孝 謂之正이라니라


子貢이 공자에게 물었다.注+자공이 부자에게 물은 것이다. “자식이 아버지의 명에 순종하는 것이 효도이고注+아버지의 명에 순종하는 것을 효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 것이다. 신하가 임금의 명에 순종하는 것이 忠貞일 것입니다.注+신하가 임금의 명에 순종하는 것을 忠正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 것이다. 어찌 이것을 의심하겠습니까.”注+하나는 효도이고 하나는 忠正이니 또 어찌 의심하겠느냐고 한 것이다.
공자가 말하였다. “옛날 훌륭한 임금이 소유한
萬乘의 나라에注+옛날 만승을 소유한 천자의 나라이다. 하는 신하 7인
이 있으면 임금이 잘못이 없고,注+천자에게 三公四輔가 있으면 간쟁하는 일을 맡아서 천자의 잘못을 구제할 수 있는 것이다.
千乘注+頭註:(수레)과 (간하다)은 모두 去聲이다 나라에 간하는 신하 5인
이 있으면 사직이 위태롭지 않고,注+제후의 나라에 간하는 신하 5인이 있으면 社稷을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있으면 녹봉과 작위가 없어지지 않았다.注+卿大夫의 집안에 간하는 신하 3인이 있으면 그 봉록과 작위를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아버지에게 간하는 자식이 있으면 無禮한 데에 빠지지 않고注+아버지에게 간쟁하는 자식이 있으면 무례한 데에 빠지지 않은 것이다. 선비에게 간하는 벗이 있으면 不義를 행하지 않았다.注+선비에게 서로 간쟁하는 벗이 있으면 의롭지 않은 일을 행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자식이 아버지의 명에 순종하는 것이 어찌 효도가 되겠으며,注+자식이 아버지의 명에 순종하는 것이 어찌 효도가 되겠느냐고 한 것이다. 신하가 임금의 명에 순종하는 것이 어찌 충정이 되겠는가.注+신하가 임금의 명에 순종하는 것이 어찌 忠正이 되겠느냐고 한 것이다. 무엇을 따라야 할지를 잘 살피는 것을注+따라야 할 것이 마땅한지 아닌지를 자세히 살펴야 하는 것이다. 효도라고 하고 충정이라고 하는 것이다.”注+효도라고 하고 충정이라고 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9-6 : 저본의 표제에 “아버지에게 諫하는 자식이 있고 선비에게 간하는 벗이 있다.[父有爭子 士有爭友]”라고 되어 있다.
역주2 萬乘의……7인 : 천자를 보필하는 신하인 三公과 四輔를 말한다. 삼공은 太師‧太傅‧太保이고, 사보는 前疑‧後丞‧左輔‧右弼이다.
역주3 千乘의……5인 : 제후를 보필하는 신하인 三卿과 2인의 股肱之臣을 말한다. 삼경은 司徒‧司馬‧司空이다.
역주4 百乘의……3인 : 경대부를 보필하는 가신으로 室老‧家相‧邑宰를 말한다.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