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1)

공자가어(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魯人有獨處室者注+魯國有男子獨居於室者러니 隣之嫠婦亦獨處一室注+隣居有寡婦亦獨居於室이라이라 夜暴風雨至하여 嫠婦之室壞注+釐婦之室 夜爲風雨所損이라 趨而託焉注+進男子之室하여 欲託庇風雨한대
魯人閉戶而不納注+君子閉門하여 不與寡婦入이라이어늘 嫠婦自牖與之言注+寡婦隔窓하여 與男子言이라호되 子何不仁而不納我乎注+汝何爲不仁하여 而不容我進
魯人曰 吾聞男女不六十不同居注+男子言 我聞男女未六十歲 不可同處라하니 今子幼하고 吾亦幼 是以不納爾也注+今汝尙少하고 我亦少 是以不敢容汝進也
婦人曰 子何不如柳下惠然注+婦人曰 汝何不學柳下惠之所爲 事見他書 魯人曰 柳下惠則可注+男子言 柳下惠有德이라 故可納女어니와 吾固不可注+在我實是不可 吾將以吾之不可 學柳下惠之可注+我將以我之不可爲 而學柳下惠之可爲하노라
孔子聞之曰 善哉注+夫子聞其事而稱善之 欲學柳下惠者 未有似於此者注+凡欲學柳下惠之人 未有若魯男子也하니 期於至善而不襲其爲注+心期造極善之地호되 不襲他人所爲하니 可謂智乎注+可謂明智之人이라인저


노나라 사람 중에 집에서 혼자 살고 있는 자가 있었는데注+노나라에 집에서 혼자 사는 남자가 있는 것이다. 이웃의 寡婦도 집에서 혼자 살고 있었다.注+이웃에 사는 과부도 집에서 혼자 살고 있는 것이다. 밤에 비바람이 몰아쳐서 과부의 집이 무너지자注+과부의 집이 밤에 비바람으로 무너져 내린 것이다. 달려가 남자에게 의탁하려고 하였는데,注+남자의 집에 가서 의탁하여 비바람을 피하고자 한 것이다.
노나라 사람이 문을 닫고 안으로 들이지 않았다.注+君子(남자)가 문을 닫고 과부를 들이지 않은 것이다. 과부가 창문 너머에서 그에게 말하였다.注+과부가 창문 너머로 남자에게 말한 것이다. “그대는 어찌 仁慈하지 못해 저를 들이지 않습니까?”注+그대는 어찌 인자하지 못해 자신을 들이지 않느냐고 한 것이다.
노나라 사람이 대답하였다. “내가 듣기로 남녀는 60세가 되지 않으면 함께 머물지 않는다고 합니다.注+남자가 말하기를 “제가 듣기로 남녀는 60세가 되기 전에는 함께 거처할 수 없다고 합니다.”라고 한 것이다. 지금 그대는 젊고 저도 젊습니다. 이 때문에 그대를 들이지 않는 것입니다.”注+“지금 그대는 아직 젊고 저도 젊습니다. 이 때문에 감히 그대를 집에 들일 수 없습니다.”라고 한 것이다.
부인이 말하였다. 注+부인이 말하기를 “그대는 어찌 유하혜의 행위를 배우지 않습니까?”라고 한 것이다. 이 일은 다른 글에 보인다. 노나라 사람이 대답하였다. “유하혜라면 그렇게 할 수 있지만注+남자가 말하기를 “유하혜는 덕이 있기 때문에 여자를 들일 수 있었습니다.”라고 한 것이다. 저는 참으로 유하혜처럼 할 수 없습니다.注+자신의 경우엔 진실로 그렇게 할 수 없다고 한 것이다. 저는 저의 할 수 없는 것을 통해 유하혜의 할 수 있는 점을 배우려고 합니다.”注+자신은 자신의 할 수 없는 것을 통해 유하혜의 할 수 있는 점을 배우려 한다고 한 것이다.
공자가 이 이야기를 듣고 말하였다. “훌륭하다.注+부자가 이 일을 듣고 훌륭하다고 칭찬한 것이다. 유하혜를 배우려고 한 자 중에 이와 같은 사람은 있지 않았다.注+유하혜를 배우고자 한 사람 중에 노나라 남자 같은 이는 있지 않은 것이다. 지극한 의 경지에 나아가기를 기약하되 남이 하는 것을 그대로 따라하지 않았으니注+마음으로 지극한 선의 경지에 나아가기를 기약하되 타인의 행위를 그대로 따르지 않은 것이다. 지혜롭다고 할 만하다.”注+밝고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할 만하다는 것이다.


역주
역주1 10-10 : 저본의 표제에 “노나라 사람이 여자를 들이지 않다.[魯人不納]”, “노나라 남자가 여자를 들이지 않다.[魯男子不納]”라고 되어 있다.
역주2 그대는……않습니까 : 柳下惠는 전국시대 노나라의 賢人이다. 유하혜가 멀리 갔다가 돌아오던 중 밤에 郭門 밖에서 자게 되었는데, 어떤 여자 한 사람도 와서 같이 자게 되었다. 때가 마침 깊은 겨울이라 유하혜는 그 여자가 얼어 죽을까 싶어 품에 안고 옷으로 덮어주었는데 새벽이 이르도록 음행을 하지 않았다.(≪輟耕錄≫ 권4 〈不亂附妾〉)

공자가어(1) 책은 2020.12.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