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祠祭
前漢高帝 過魯하여 以太牢 祠孔子하다
○後漢光武 破董憲하고 車駕還할새 幸闕里하여 使太司空祀하다
○後漢明帝 東巡狩하고할새 過魯하여 幸闕里하여 以太牢祀하다
○後漢章帝元和二年 東巡狩하고할새 過魯하여 幸闕里하여 以太牢祠孔子及七十二賢할새
作六代之樂하고 大會孔氏男子二十以上者六十三人이라 因謂孔僖曰 今日之會 寧於卿宗有光乎아하니
對曰 臣聞明王聖主 莫不尊師貴道라하니 今陛下親屈萬乘하여 辱臨闕里하니
此乃崇禮先師 增輝聖德이니 至於光榮하여는 非所敢承이니이다하니
帝笑曰 非聖者子孫이면 焉有斯言이리오하다


제사
로 공자에게 제사를 지냈다.
過魯社聖過魯社聖
에 행차하여 太司空으로 하여금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
를 하고 돌아올 때 땅을 들러서 闕里에 행차하여, 太牢로 제사를 지냈다.
후한의 章帝元和 2년(85)에 동쪽으로 순수하고 돌아올 때, 땅을 들러 闕里에 행차하여 太牢로 공자 및 72현에게 제사를 지냈다.
이때 六代의 음악을 연주하고 20세 이상의 孔氏 남자 63인을 크게 모았다. 이에 에게 말하였다. “오늘 모임에서 어떻게 하면 의 종족에게 光榮이 있겠는가?”
대답하였다. “제가 들으니 현명한 왕과 성스러운 군주 가운데 先師를 높이고 도를 귀하게 여기지 않는 분은 없다고 하였습니다. 지금 폐하께서 직접 萬乘의 천자 지위를 굽혀서 욕되이 궐리에 오셨습니다.
이것이 바로 선사를 높이 예우하는 것이자 聖德을 더욱 빛나게 하는 것입니다. 光榮 같은 것은 감히 받들 바가 아닙니다.”


역주
역주1 前漢의……들러 : 高祖는 漢나라의 초대 황제인 太祖 劉邦(B.C.247~B.C.195)을 가리킨다. B.C.196년 英布가 반란을 일으켜, 유방이 병중에 직접 정벌에 나서게 되었다. 이듬해 10월 會甀에서 격파하고, 돌아가는 길에 魯 땅을 지나게 되었다. ≪資治通鑑≫ 권12에 “11월, 上이 魯 땅을 지날 때 太牢로 공자에게 제사를 지냈다.[十一月 上過魯 以太牢祠孔子]”라고 하였다. 유방은 돌아온 후 병이 깊어져 곧 죽었다.
역주2 太牢 : 희생으로 쓰는 소를 가리킨다. 牢는 희생을 묶어두는 곳으로, ≪通鑑節要≫에 太牢는 소, 小牢는 양이라고 하였다. 또는 천자의 제사에 소, 양, 돼지 세 종류의 희생을 쓰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역주3 後漢의……돌아올 때 : 光武帝는 後漢의 초대 황제 세조 劉秀(B.C.6~57)를 가리킨다. 劉邦의 9대손으로, 王莽이 세운 新나라 말기 하북에서 병사를 일으켜 황제에 등극했다. 29년 東海郡을 근거지로 하고 있던 董憲을 공격하여 대패시켰다.
역주4 闕里 : 공자가 태어난 마을이다. 唐나라의 張守節이 ≪史記正義≫에 ≪括地志≫를 인용하여, “伍緝之의 ≪從征記≫에 ‘闕里는 洙水를 등지고 泗水를 마주하고 있으니 바로 이곳이다.’라고 하였으니, 살펴보면 부자께서 鄒에서 태어나서 성장하여 曲阜로 옮겨갔으므로 이에 闕里라 부르게 된 것이다.[伍緝之從征記云 闕里背洙面泗 卽此也 按夫子生在鄒 長徙曲阜 乃號闕里]”라고 하였다.
역주5 후한의……지냈다 : 후한의 明帝는 顯宗 劉莊(28~75)으로, 2대 황제이다. 72년 闕里에 가서 공자 및 72제자에 제사를 지냈다.
역주6 巡狩 : 황제가 제후국을 순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孟子≫ 〈梁惠王 下〉에 “천자가 제후에게 가는 것을 巡狩라고 한다. 순수라는 것은 지키는 곳을 순행하는 것이다.[天子適諸侯曰巡狩 巡狩者 巡所守也]”라고 하였다.
역주7 孔僖 : ?~88. 자는 仲和이다. 공자의 19대손이다. 85년 황제를 따라 상경하여 東觀에서 校書를 하다가 후에 臨晉令으로 부임하였으며, 임소에서 죽었다.(≪後漢書≫ 〈孔僖傳〉)
역주8 후한의……하겠는가 : 후한의 章帝는 肅宗 劉炟(57~88)로, 후한의 3대 황제이다. 85년 궐리에 가서 공자 및 72제자에 제사를 지내고 공씨 남자들을 모아 잔치를 베풀고 돈과 비단을 내렸다. 그리고 孔僖를 데리고 돌아가 校書郞中에 임명하였다.(≪後漢書≫ 〈孔僖傳〉)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