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釋奠
是日丑前五刻 初獻官及兩廡分奠官二員 各具公服於幕次하니라
諸執事者 具儒服하고 先於神門하여 升西序하고 東向立하니 以北爲上이라
此際 明贊承傳贊 先詣殿庭前하여 再拜하고이어든 明贊 升露階東南隅하여 西向立하고
承傳贊 立於神門階東南隅하여 西向立하고 掌儀 先引諸執事者하여 各司其事하니라
引贊者 引初獻官兩廡分奠官하여 點視陳設할새 引贊者 進前曰 請點視陳設하라하고 至階어든 曰 升階하라하고
至殿簷下어든 曰 詣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北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詣兗國公神位前하라하니라 至位어든 曰 東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詣鄒國公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西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詣東從祀神位前하라하니라 至位어든 曰 東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詣西從祀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西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詣酒尊所하라하니라 至酒尊所어든 曰 西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詣三獻官爵洗位하라하니라 至階어든 曰 降階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北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詣三獻官盥洗位하라하니라
至位어든 曰 北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請就次하라하니라
方初獻點視時 引贊二人 各引東西廡分奠官曰 請詣東西廡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東西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詣先儒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南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退詣酒尊所하라하니라 至酒尊所어든 東西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退詣分奠官爵洗位하라하니라 至位어든 曰 南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退詣分奠官盥洗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南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請就次하라하니라 西廡分奠官 點視畢이어든 引贊曰 請詣望瘞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北向立하라하고 點視畢이어든 曰 請就次하라하니라
初獻官 釋去公服이라가 司鍾者 聲鍾이어든 初獻已下 各服其服하고 齊班於幕次하니라
掌儀 點視班齊하고 詣明贊報知하니라 此際 引禮者 引監祭官監禮官하여 就位進前曰 請就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西向立하라하니라 續後 明贊 唱曰 典樂官 以樂工進就位하라하면
承傳贊曰 典樂官以樂工進就位하라하니라 明贊 唱曰 諸執事者 就位하라하면 承傳贊曰 諸執事者就位하라하니라
俟就位하여 明贊 唱曰 諸生就位하라하면 承傳贊曰 諸生就位하라하니라
引班者 引諸生就位어든 明贊 唱曰 陪位官 就位하라하면 承傳贊曰 陪位官就位하라하니라
引班者 引陪位官하여 就位어든 俟陪位官就位하여 明贊 唱曰 獻官 就位注+分獻官在內하라하면 承傳贊曰 獻官就位하라하니라
引贊者 進前曰 請就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西向立하라하니라 俟獻官就位하여 明贊 唱曰 闢戶하라하고
俟戶闢하여 迎神之曲九奏하니라 樂止어든 明贊 唱曰 初獻官以下 皆再拜하라하면
承傳贊曰 鞠躬拜興拜興平身하라하니라 明贊 唱曰 諸執事者 各司其事하라하니라
俟執事者立定하여 明贊 唱曰 初獻官 奠幣하라하면 引贊者 進前曰 請詣盥洗位하라하니라
盥洗之樂作하고 至位어든 曰 北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盥手하고 帨手하고 出笏하면 樂止하니라
方行至階어든 曰 升階하라하면 升殿之樂作하고 樂止하여 入門이어든
曰 詣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北向立하고 稍前하라하니라
奠幣之樂作이어든 搢笏하고 跪上香하니라 三上香하고 奠幣注+奉幣者 以幣授初獻하고 初獻 受幣하여 奠訖이라하니라 出笏하고 就拜하고하고 平身하니라
少退再拜하고 鞠躬하고하고하고하고하고 平身하니라 曰 詣兗國公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東向立하라하니라 奠幣如上儀 曰 詣鄒國公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西向立하라하니라 奠幣如上儀 樂止어든 曰 退復位하라하고
至階어든 降殿之樂作하고 樂止하여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西向立하라하니라
俟立定하여 明贊 唱曰 禮饌官 進俎하라하면 奉俎之樂作하고 乃進俎하니라
樂止하고 進俎畢이어든 明贊 唱曰 初獻官 行禮하라하면 引贊者 進前曰 請詣盥洗位하라하니라
盥洗之樂作하고 至位어든 曰 北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盥手하고 帨手하고 出笏이어든 請詣爵洗位하니라
至位어든 曰 北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執爵하고 滌爵하고 拭爵하고 以爵受執事者하니라 如是者三하고 出笏하니라
樂止어든 曰 請詣酒尊所하라하니라 至階어든 升殿之樂作하고 曰 升階하라하니라
樂止하고 至酒尊所어든 曰 西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執爵하고 擧冪하면 司尊者 酌犧尊之泛齊하여 以爵授執事者하니라
如是者三하고 出笏이어든 曰 詣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北向立하라하니라
酌獻之樂作이어든 稍前하여 搢笏하고 跪上香하니라 三上香하고 執爵하고 祭酒하니라 三祭酒하고 奠爵하고 出笏이어든 樂止하니라
祝人 東向跪하여 讀祝注+祝在獻官之左하니라 讀畢하고하여 先詣左配位하여 南向立이어든
引贊曰 就拜하고하고 平身하라하면 少退하여 再拜하고 鞠躬하고하고하고하고하고 平身하니라
曰 詣兗國公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東向立하라하니라
酌獻之樂作하고 樂止어든 讀祝如上儀하니라 曰 詣鄒國公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西向立하라하니라
酌獻之樂作하고 樂止어든 讀祝如上儀하니라 曰 退復位하라하고 至階어든 降殿之樂作하니라
樂止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西向立하라하니라
俟立定하여 明贊 唱曰 亞獻官 行禮하라하면 引贊者 進前曰 請詣盥洗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北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盥手하고 帨手하고 出笏하면 請詣爵洗位하니라
至位어든 曰 北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執爵하고 滌爵하고 拭爵하고 以爵授執事者하니라
如是者三하고 出笏하니라 請詣酒尊所하여 至酒尊所어든 曰 西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執爵하고 擧冪하고 司尊者 酌象尊之醴齊하여 以爵授執事者하니라 如是者三하고 出笏하니라
曰 詣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北向立하라하니라
酌獻之樂作하면 稍前하여 搢笏하고 跪上香하니라 三上香하고 執爵하고 祭酒하니라
三祭酒하고 奠爵하고 出笏하여 就拜하고하고 平身하니라
少退하여 再拜하고 鞠躬하고하고하고하고하고 平身하니라
曰 詣兗國公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東向立하라하니 酌獻如上儀하니라
曰 詣鄒國公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西向立하라하니 酌獻如上儀하니라
樂止어든 曰 退復位하라하고 至階어든 曰 降階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西向立하라하니라
明贊 唱曰 終獻官 行禮하라하면 引贊者 進前曰 請詣盥洗位하라하니라
至位어든 曰 北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盥手하고 帨手하고 出笏하니라 請詣爵洗位하여
至位어든 曰北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執爵하고 滌爵하고 拭爵하고 以爵授執事者하니라
如是者三하고 出笏하니라 請詣酒尊所하여 至階어든 曰升階하라하니라 至酒尊所어든 曰西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執爵하고 擧冪하고 司尊者 酌象尊之醴齊하여 以爵授執事者하니라 如是者三하고 出笏하니라
曰 詣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北向立하고 稍前하라하니라
酌獻之樂作하면 搢笏하고 跪上香하니라 三上香하고 執爵하고 祭酒하니라 三祭酒하고 奠爵하고
出笏하여 就拜하고하고 平身하니라 少退하여 再拜하고 鞠躬하고하고하고하고하고 平身하니라
曰 詣兗國公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東向立하라하니 酌獻如上儀하니라
曰 詣鄒國公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西向立하라하니 酌獻如上儀하니라 樂止어든 曰 退復位하라하고
至階어든 曰 降階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西向立하라하니라
俟終獻將出門하여 明贊 唱曰 分獻官 行禮하라하면 引贊者 分引東西從祀分獻官하여 進前曰 詣盥洗位하라하니라
至位어든 曰 北向立하라하고 搢笏하고 盥手하고 帨手하고 出笏하니라
詣爵洗位하여 至位어든 曰 北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執爵하고 滌爵하고 拭爵하고 以爵授執事者하고 出笏하니라
詣酒尊所하여 曰 西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執爵하고 擧冪하면 司尊者 酌象尊之醴齊하여 以爵授執事者하고 出笏하니라
曰 詣東從祀神位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東向立하고 稍前하라하니라
搢笏하고 跪上香하니라 三上香하고 執爵하고 祭酒하니라 三祭酒하고 奠爵하고 出笏하여
就拜하고하고 平身하니라 少退하여 再拜하고 鞠躬하고하고하고하고하고 平身하니라
退復位하여 至階어든 曰 降階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西向立하라하니라
引西從祀分獻官 同上儀로대 唯至神位前하여 東向立 作西向立하니라
俟十哲分獻官離位하여 明贊 唱曰 兩廡分奠官 行禮하라하면 引贊者 進前曰 詣盥洗位하라하니라
至位어든 曰 南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盥手하고 帨手하고 出笏하니라
詣盥洗位하여 至位어든 曰 南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執爵하고 滌爵하고 拭爵하고 以爵授執事者하고 出笏하니라
曰 詣東廡酒尊所하라하고 至階어든 曰 升階하라하고 至酒尊所어든 曰 北向立하라하니라
搢笏하고 執爵하고 擧冪하고 酌象尊之醴齊하고 以爵授執事하고 出笏하니라
詣東廡神位前하여 至位어든 曰 東向立하라하니라 稍前하여 搢笏하고 跪上香하니라
三上香하고 執爵하고 祭酒하니라 三祭酒하고 奠爵하고 出笏하여 就拜하고하고 平身하니라
稍退하여 再拜하고 鞠躬하고하고하고하고하고 平身하니라 退復位하여
至階어든 曰 降階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西向立하라하니라
引西廡分奠官 同上儀로대 唯至神位前하여 東向立 作西向立하니라
俟終獻十哲兩廡分奠官 同時復位하여 明贊 唱曰 禮饌者 徹籩豆하라하니라
之樂作하고 禮饌者하여 移先聖前籩豆하여 略離席하면 樂止하니라
明贊 唱曰 諸執事者 退復位하라하면 俟諸執事者 至板位立定하여 送神之樂作하니라
明贊 唱曰 初獻官以下 皆再拜하라하면 承傳贊曰 鞠躬拜興拜興平身이라하고 樂止하니라
明贊 唱曰 祝人取祝하고 幣人取幣하여 詣瘞坎하라하면 俟徹祝幣者 出殿門하여 北向立하고
望瘞之樂作하니라 明贊 唱曰 三獻官 詣望瘞位하라하면 引贊者 進前曰 請詣望瘞位하라하고
至位어든 曰 就位하여 北向立하라하고 曰 可瘞라하니라 埋畢이어든 曰 退復位하라하니라
至殿庭前하여 此時候樂止하면 明贊 唱曰 典樂官 以樂工出하여 就位하라하니라
明贊 唱曰 闔戶하라하고 又唱曰 初獻官以下 退詣圓揖位하라하면 引贊者 引獻官하여 退詣圓揖位하니라
至位어든 初獻在西하고 亞終獻及分獻已下在東하고 陪位官東班在東하고 西班在西하니라
俟立定하여 明贊 唱曰 圓揖하라하니라 禮畢이어든 退復位하니라
引贊者 各引獻官하여 詣幕次하여 更衣하니라 其飮福受胙 除國學外諸處 仍依常制하니라


제사를 지내다
이날 에, 초헌관 및 分奠官 2이 각기 幕次에서 公服을 갖추어 입는다.
執事들은 儒服을 갖추어 입고 먼저 으로 들어가 로 올라가 동쪽을 향해 서는데, 북쪽이 上席이 된다.
이 사이에 明贊, 承傳贊이 먼저 대성전 뜰에 나아가 두 번 절한다. 마치면 明贊露階의 동남쪽 귀퉁이로 올라가서 서쪽을 향해 서고,
承傳贊神門 계단의 동남쪽 귀퉁이에 서서 서쪽을 향하여 선다. 掌儀가 먼저 執事들을 인도하여 각기 제 일을 맡긴다.
引贊者初獻官, 兩廡分奠官을 인도하여 진설한 것을 점검한다. 인찬자가 앞에 나아가 “진설한 것을 점검하여 보시기 바랍니다.”라고 하고, 계단에 이르면 “계단에 오르시오.”라고 한다.
대성전 처마 아래 이르면 “대성지성문선왕의 신위 앞에 나아가시오.”라고 하고, 신위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연국공 신위 앞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신위에 이르면 “동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추국공 신위 앞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신위에 이르면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동쪽에 종사한 신위 앞으로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신위에 이르면 “동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서쪽 종사한 신위 앞으로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신위에 이르면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酒尊所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酒尊所에 이르면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세 獻官은 잔[]을 씻는 자리로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계단에 이르면 “계단을 내려가시오.”라고 하고,
爵
자리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이 끝나면 “세 헌관은 손을 씻는 자리로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幕次로 가시기 바랍니다.”라고 한다.
초헌관이 점검할 때 인찬자 2인이 각기 東廡西廡의 분전관을 이끌고 “동무와 서무의 신위 앞으로 나아가기 바랍니다.”라고 하고,
신위에 이르면 “동쪽과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先儒의 신위 앞에 나아가시오.”라고 하고, 신위에 이르면 “남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물러나 주준소로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주준소에 이르면 “동쪽과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물러나 분전관이 잔을 씻는 자리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남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물러나 분전관이 손을 씻는 자리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남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幕次에 나아가시기 바랍니다.”라고 한다. 서무의 분전관이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인찬자가 “로 나아가시기 바랍니다.”라고 하고,
망예위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점검하는 일을 마치면 “막차로 나아가시기 바랍니다.”라고 한다.
초헌관이 공복을 벗고 을 맡은 자가 종을 울리면 초헌관 이하가 각기 자기 옷을 입고 막차에서 반열을 나란히 한다.
掌儀가 반열을 점검하고 明贊에게 나아가 알린다. 이 사이 引禮者監祭官, 監禮官을 인도하여 자리에 나아가서 앞으로 나가 “제자리에 나아가도록 하십시오.”라고 하고,
자리에 이르면 “자리를 잡고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뒤를 이어 明贊이 “典樂官은 악공을 데리고 자리에 나아가시오.”라고 외치면,
承傳贊이 “전악관은 악공을 데리고 자리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명찬이 “집사들은 자리에 나아가시오.”라고 외치면, 승전찬이 “집사들은 자리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자리 잡기를 기다렸다가 明贊이 “諸生은 자리를 잡으시오.”라고 외치면 承傳贊이 “제생은 자리를 잡으시오.”라고 한다.
引班者가 제생을 인도하여 자리에 나아가면 명찬이 “陪位官은 자리에 나아가시오.”라고 외치고, 승전찬이 “배위관은 자리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인반자가 배위관을 인도하여 자리에 나아가면 배위관이 자리 잡기를 기다렸다가 명찬이 “헌관은 자리에 나아가시오.”注+분헌관은 안에 있다.라고 외치고, 승전찬이 “헌관은 자리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인찬자가 앞으로 나아가 “자리에 나아가시기 바랍니다.”라고 하고, 자리에 이르면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헌관이 자리 잡기를 기다렸다가 명찬이 “문을 여시오.”라고 외친다.
문이 열리기를 기다렸다가 신을 맞이하는 곡을 아홉 번 연주한다. 음악이 그치면 명찬이 “초헌관 이하는 모두 두 번 절하시오.”라고 외친다.
승전찬이 “하시오. 절하시오. 일어나시오. 절하시오. 일어나시오. 平身하시오.”라고 한다. 명찬이 “집사들은 각기 제 일을 담당하시오.”라고 외친다.
집사들이 제자리에 자리 잡기를 기다렸다가 명찬이 “초헌관은 를 하시오.”라고 외친다. 인찬자가 앞으로 나아가 “손을 씻는 자리에 나아가시기 바랍니다.”라고 한다.
손을 씻을 때의 음악이 시작되고, 자리에 이르면 “북쪽을 향하여 서시오.”라고 한다. 을 꽂고, 손을 씻고, 손을 수건에 닦고, 홀을 꺼내면 음악이 그친다.
笏
걸어서 계단에 이르면 “계단을 오르시오.”라고 한다. 계단을 오를 때의 음악이 시작되고 음악이 그치면 문으로 들어간다.
“대성지성문선왕 신위 앞으로 나아가시오.”라고 하고, 신위 앞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북쪽을 향해서 서시오. 조금 앞으로 나오시오.”라고 한다.
奠幣할 때의 음악이 시작되면 홀을 꽂고 꿇어앉아 향을 올린다. 향을 세 번 올리고 폐백을 올린다.注+폐백을 받는 자가 폐백을 초헌관에게 주고 초헌관은 폐백을 받아 전폐례를 마친다. 홀을 꺼내고 나아가 절을 하고 일어나서 평신을 한다.
조금 물러나 두 번 절하고, 국궁하고, 절하고, 일어나고, 절하고, 일어나고, 평신을 한다. “연국공 신위 앞에 나아가시오.”라고 하고,
신위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동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위와 마찬가지 의식으로 전폐례를 행한다. “추국공 신위 앞에 나아가시오.”라고 하고,
신위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위와 마찬가지 의식으로 전폐례를 행한다. 음악이 그치면 “물러나 제자리로 돌아가시오.”라고 하고,
계단에 이르면 계단 내려갈 때의 음악이 시작되었다가 음악이 그친다. 제자리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제자리에 자리 잡기를 기다렸다가 明贊이 “禮饌官를 바치시오.”라고 외친다. 조를 받들 때의 음악이 시작되면 조를 바친다.
음악이 그치고 조를 바치는 일을 마치면 명찬이 “초헌관은 예를 행하시오.”라고 외친다. 인찬자가 앞으로 나와서 “손을 씻는 자리에 나아가시기 바랍니다.”라고 한다.
손을 씻을 때의 음악이 시작되고 자리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십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손을 씻고 수건에 닦고 홀을 꺼내면, 잔[]을 씻는 자리에 나아가기를 청한다.
자리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잔을 잡고 잔을 씻고 잔의 물기를 닦고 잔을 執事에게 준다. 이렇게 세 번하고 나서 홀을 꺼낸다.
음악이 그치면 “주준소에 나아가시기 바랍니다.”라고 한다. 계단에 이르면 대성전에 오를 때의 음악이 시작되고, “계단을 오르시오.”라고 한다.
음악이 그치고 주준소에 이르면,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잔을 잡고 덮개[]를 들면 술동이를 맡은 자가 에 있는 를 따라서 잔을 집사자에게 준다.
 俎 冪 犧尊 俎 冪 犧尊
이렇게 세 번을 하고 나서 홀을 꺼내면, “대성지성문선왕 신위 앞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신위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술을 따라 바칠 때의 음악이 시작되면 조금 앞으로 나와서 홀을 꽂고 꿇어앉아 향을 올린다. 향을 세 번 올리고 잔을 잡아 술을 올린다. 세 번 술을 올리고 잔을 바치면 홀을 꺼내고, 음악이 그친다.
祝人이 동쪽을 향해 꿇어앉아 축문을 읽는다.注+축인은 헌관의 왼쪽에 자리한다. 읽기를 마치면 일어나 먼저 왼쪽에 配享神位에 나아가 남쪽을 향해 선다.
引贊者가 “나아가 절하시오. 일어나시오, 평신하시오.”라고 하면, 조금 물러나서 두 번 절하고, 국궁하고, 절하고, 일어나고, 절하고, 일어나고, 평신한다.
“연국공 신위 앞에 나아가시오.”라고 하고, 신위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동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술을 따라 바칠 때의 음악이 시작되고, 음악이 그치면 위와 마찬가지 의식으로 축문을 읽는다. “추국공 신위 앞에 나아가시오.”라고 하고, 신위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술을 따라 바칠 때의 음악이 시작된다. 음악이 그치면 위와 마찬가지 의식으로 축문을 읽는다. “물러나 자리로 돌아가시오.”라고 하고, 계단에 이르면 대성전을 내려갈 때의 음악이 시작된다.
음악이 그치고, 자리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제자리에 자리 잡기를 기다렸다가, 明贊이 “아헌관은 예를 행하시오.”라고 외친다. 인찬자가 앞으로 나아가 “손을 씻는 자리로 나아가시기 바랍니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손을 씻고 손을 수건으로 닦고 홀을 꺼내면 잔을 씻는 자리로 나아가기를 청한다.
자리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잔을 잡고 잔을 씻고 잔의 물기를 닦고 잔을 執事에게 준다.
이렇게 세 번 하고, 홀을 꺼낸다. 주준소에 나아가기를 청하여, 주준소에 이르면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잔을 잡고 덮개를 들면, 술동이를 맡은 자가 를 따라 잔을 집사에게 준다. 이렇게 세 번 하고 홀을 꺼낸다.
象尊象尊
“대성지성문선왕 신위 앞에 나아가시오.”라고 하고, 신위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술을 따라 바칠 때의 음악이 시작되면 조금 앞으로 나와서 홀을 꽂고 꿇어앉아 향을 올린다. 향을 세 번 올리고 잔을 잡고 술을 바친다.
술을 세 번 바치고 잔을 올린다. 홀을 꺼내고 나아가 절을 하고 일어나고 평신한다.
조금 물러나서 두 번 절하고 국궁하고 절하고 일어나고 절하고 일어나고 평신한다.
“연국공 신위 앞으로 나아가시오.”라고 하고, 신위에 이르면 “동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술을 따라 바치는 의식을 위와 마찬가지로 한다.
“추국공 신위 앞으로 나아가시오.”라고 하고, 신위 앞에 이르면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술을 따라 바치는 의식을 위와 마찬가지로 한다.
음악이 그치면, “물러나 자리로 돌아가시오.”라고 한다. 계단에 이르면, “계단을 내려가시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明贊이 “종헌관은 예를 행하시오.”라고 외친다. 引贊者가 앞으로 나와 “손을 씻는 자리에 나아가시기 바랍니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손을 씻고 손을 수건으로 닦고 홀을 꺼낸다. 잔을 씻는 자리로 나아가기를 청한다.
자리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잔을 잡고 잔을 씻고 잔의 물기를 닦고 잔을 執事에게 준다.
이렇게 세 번 하고, 홀을 꺼낸다. 주준소에 나아가기를 청하여 계단에 이르면, “계단을 오르시오.”라고 한다. 주준소에 이르면,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잔을 잡고 덮개를 들면, 술동이를 맡은 자가 象尊醴齊를 따라 잔을 집사에게 준다. 이렇게 세 번하고 홀을 꺼낸다.
“대성지성문선왕 신위 앞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신위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북쪽을 향해 서시오. 조금 앞으로 나오시오.”라고 한다.
술을 따라 바칠 때의 음악이 시작된다. 홀을 꽂고 꿇어앉아 향을 올린다. 향을 세 번 올리고 잔을 잡아 술을 바친다. 술을 세 번 바치고 잔을 올린다.
홀을 꺼내고 나아가 절을 하고 일어나고 평신한다. 조금 물러나 두 번 절하고 국궁하고 절하고 일어나고 절하고 일어나고 평신한다.
“연국공 신위 앞으로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신위에 이르면, “동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앞의 의식과 마찬가지로 술을 따라 바친다.
“추국공 신위 앞으로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신위에 이르면,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앞의 의식과 마찬가지로 술을 따라 바친다. 음악이 그치면, “물러나 자리로 돌아가시오.”라고 한다.
계단에 이르면, “계단을 내려가시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종헌관이 문을 나오기를 기다렸다가 명찬이 “분헌관은 예를 행하시오.”라고 외치면, 인찬자가 동쪽과 서쪽의 종사 분헌관을 나누어 이끌고 앞으로 나아가 “손을 씻는 자리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손을 씻고 손을 수건으로 닦고 홀을 꺼낸다.
잔을 씻는 자리에 나아가 자리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잔을 잡고 잔을 씻고 잔의 물기를 닦고 잔을 집사자에게 주고 홀을 꺼낸다.
주준소에 나아가면,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잔을 잡고 덮개를 들면 술동이를 맡은 자가 象尊醴齊를 따라서 잔을 집사자에게 주고 홀을 꺼낸다.
“동쪽에 종사한 신위 앞으로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동쪽을 향해 서시오. 조금 앞으로 나오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꿇어앉아 향을 올린다. 향을 세 번 올리고 잔을 잡고 술을 바친다. 술을 세 번 바치고 술잔을 올리고 홀을 꺼낸다.
나아가 절하고 일어나고 평신한다. 조금 물러나서 두 번 절하고 국궁하고 절하고 일어나고 절하고 일어나고 평신한다.
물러나 자리로 돌아간다. 계단에 이르면, “계단을 내려가시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서쪽 종사분헌관을 인도할 때 의식도 위와 마찬가지이다. 다만 신위 앞에 이르러 동쪽을 향해 서는 것을 서쪽을 향해 서는 것으로 한다.
十哲分獻官이 자리를 떠나기를 기다렸다가 明贊이 “兩廡分奠官은 예를 행하시오.”라고 외친다. 引贊者가 앞으로 나와 “손을 씻는 자리에 나아가시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남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손을 씻고 수건으로 손을 닦고 홀을 꺼낸다.
손을 씻는 자리에 나아가, 자리에 이르면, “남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잔을 잡고 잔을 씻고 잔의 물기를 닦고 잔을 집사에게 주고 홀을 꺼낸다.
東廡의 주준소에 나아가시오.”라고 하고, 계단에 이르면, “계단을 오르시오.”라고 한다. 주준소에 이르면,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홀을 꽂고 잔을 잡고 덮개를 들고 象尊醴齊를 따라 잔을 집사에게 주고 홀을 꺼낸다.
동무의 신위 앞에 나아간다. 신위 앞에 이르면, “동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조금 앞으로 나와 홀을 꽂고 꿇어앉아 향을 올린다.
향을 세 번 올리고 잔을 잡고 술을 바친다. 술을 세 번 바치고 술잔을 올리고 홀을 꺼낸다. 나아가 절을 하고 일어나고 평신한다.
조금 물러나 두 번 절하고 국궁하고 절하고 일어나고 절하고 일어나고 평신한다. 물러나 자리로 돌아온다.
계단에 이르면 “계단을 내려가시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서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한다.
西廡의 분전관을 인도할 때 의식도 위와 마찬가지이다. 다만 신위 앞에 이르렀을 때 동쪽을 향해 서는 것을 서쪽을 향해 서는 것으로 한다.
십철과 양무에 종헌을 한 분전관이 동시에 자리에 돌아오기를 기다렸다가 명찬이 “禮饌者를 거두시오.”라고 외친다.
 籩 豆 籩 豆
변과 두를 거둘 때의 음악이 시작되고 예찬자가 꿇어앉아 선성 앞의 변과 두를 옮겨서 대략 자리에서 옮겨놓으면 음악이 그친다.
명찬이 “집사자들은 물러나 자리로 돌아가시오.”라고 외친다. 집사자들이 제자리로 돌아가 자리잡기를 기다리면 신을 보낼 때의 음악이 시작된다.
명찬이 “초헌관 이하는 모두 두 번 절하시오.”라고 외치면, 승전찬이 “국궁하시오. 절하시오. 일어나시오. 절하시오. 일어나시오. 평신하시오.”라고 하고 음악이 그친다.
명찬이 “祝人은 축문을 가지고, 幣人은 폐백을 가지고 瘞坎에 나아가시오.”라고 외친다. 축문과 폐백을 거두어 대성전의 문을 나가기를 기다렸다가 북쪽을 향해 선다.
예감을 바라볼 때의 음악이 시작된다. 명찬이 “세 헌관은 望瘞位로 나아가시오.”라고 외친다. 인찬자가 앞으로 나가서 “망예위에 나아가길 청합니다.”라고 한다.
자리에 이르면 “자리에 나아가시오. 북쪽을 향해 서시오.”라고 하고, “묻어도 좋습니다.”라고 한다. 묻는 일이 끝나면 “물러나 자리로 돌아가시오.”라고 한다.
대성전 뜰 앞에 이르러 이때 음악이 그치면 명찬이 “典樂官은 악공을 데리고 나가시오. 자리로 나아가시오.”라고 외친다.
명찬이 “문을 닫으시오.”라고 외친다. 또 “초헌관 이하는 물러나 하는 위치로 나아가시오.”라고 외치면 인찬자가 헌관을 이끌고 물러나 원읍하는 자리로 나아간다.
자리에 이르면 초헌관은 서쪽에, 아헌관과 종헌관 및 분헌관 이하는 동쪽에, 배위관의 동반은 동쪽에, 서반은 서쪽에 자리한다.
자리 잡기를 기다려 명찬이 “원읍하시오.”라고 외친다. 예가 끝나면 물러나 자리로 돌아온다.
인찬자는 각기 헌관을 이끌고 막차로 나아가 옷을 갈아입는다. 음복과 祭肉 받는 일을 국학 외에 모든 곳에서는 일반적인 제도를 그대로 따른다.


역주
역주1 丑時……전 : 오후 11시 45분쯤을 가리킨다. 축시는 오전 1시부터 3시 사이를 가리키고, 하루가 100刻이므로 1각은 약 15분에 해당한다.
역주2 兩廡 : 문묘의 동서 양쪽 행랑채를 가리킨다.
역주3 神門 : 종묘, 문묘, 향교, 서원 등의 출입문을 가리킨다. 세 칸의 문으로 만들기 때문에 神三門이라고도 한다.
역주4 西序 : 제단을 중심으로 제사에 참여한 인원이 東西로 나누어 설 때 서쪽에 있는 반열을 가리킨다. 東序에 비해 비교적 높은 신분의 사람이 선다.
역주5 望瘞位 : 제사를 마친 후 瘞坎을 감독하기 위해 만든 자리이다. 예감은 축문이나 폐백을 불사르는 곳으로, 실내에서는 화로에, 실외에서는 구덩이에서 한다.
역주6 鞠躬 : 선 채로 허리를 굽혀 하는 절이다.
역주7 奠幣 : 神位에 폐백을 올리는 의식이다.
역주8 : 희생 고기를 올린 적대이다.
역주9 犧尊 : 제례에서 중요하게 사용된 6종의 술동이[尊] 가운데 하나로, 희생 중에서 大牲에 해당하는 소를 그려 넣거나 소 모양으로 만들었다.
역주10 泛齊 : 제사에 쓰이는 5종의 술 가운데 하나로, 찌꺼기가 뜨는 가장 탁한 술이다.
역주11 象尊 : 제례에서 중요하게 사용된 6종의 술동이[尊] 가운데 하나로, 표면에 코끼리를 그려넣거나 코끼리 모양으로 만들었다.
역주12 醴齊 : 제사에 쓰이는 5종의 술 가운데 하나로, 泛齊 다음으로 탁한 술이다.
역주13 籩과 豆 : 籩은 대나무로 만든 제기로 마른 음식이나 과일 등을 담으며, 豆는 나무로 만든 제기로 주로 국, 젓갈, 고기와 같은 젖은 음식을 담는다.
역주14 圓揖 : 몸을 굽히고 두 손을 배 앞에서 모아 아래에서 위로 올리며 읍하는 것을 가리킨다. 몸을 구부려 둥글게 되기 때문에 원읍이라는 칭호가 생겼다.
역주15 [徹豆] : 底本에는 없으나, ≪元史≫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