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我朝文廟享祀位
大成至聖文宣王孔子注+諱丘 字仲尼 正位 兗國復聖公顔子注+名回 字子淵이라 沂國述聖公子思注+名伋이요 孔子之孫이라 ○已上位東이라 郕國宗聖公曾子注+名參이요 字子輿 鄒國亞聖公孟子注+名軻 字子輿 ○已上位西
費公閔損注+子騫이라 薛公冉雍注+仲弓이라 黎公端木賜注+子貢이라 衛公仲由注+子路 魏公卜商注+子夏 道國公周敦頤注+茂叔이요 濂溪 豫國公程顥注+伯淳이요 明道 郿伯張載注+子厚 橫渠 ○已上殿東이라
鄆公冉耕注+伯牛 齊公宰予注+子我 徐公冉求注+子有 吳公言偃注+子遊 陳公顓孫師注+子張이라 洛國公程頤注+正叔이요 伊川이라 新安伯邵雍注+堯夫 康節이라 徽國公朱熹注+仲晦 晦庵이라 ○已上殿西
鄕侯澹臺滅明注+子羽 任城侯原憲注+子思 汝陽侯南宮适注+子容이라 須昌侯商瞿注+子木이라 平輿侯漆彫開注+子若이라 益都侯樊須注+子遲
鉅野侯公西赤注+子華 千乘侯梁鱣注+叔魚 臨沂侯冉孺注+子魯 沭陽侯伯虔注+子哲이라 諸城侯冉季注+子産이라 濮陽侯漆彫哆注+子斂이라
高苑侯漆調徒父注+子文이라 鄒平侯商澤注+子季 當陽侯任不齊注+子選이라 牟平侯公良孺注+子正이라侯秦冉注+子開
梁父侯公肩定注+子中이라 聊城侯鄡單注+子家 鄕侯罕父黑注+子素 卽墨侯公祖句玆注+子之 武城侯縣成注+子祺
興元侯注+一作汧源侯燕伋注+子思 宛句侯顔之僕注+子叔이라 建成侯樂欬注+子聲이라 堂邑侯顔何注+子冉이라 林慮侯狄黑注+子皙이라
鄆城侯孔忠注+子蔑이니 孔子兄子 徐成侯公西蒧注+子尙이라 臨濮侯施之常注+子恒이라 華亭侯秦非注+子之
文登侯申棖注+子續이라 濟陰侯顔噲注+子聲이라 中都伯左丘明 樂成伯高堂生 樂壽伯毛萇 彭城伯劉向注+子政이라
中牟伯鄭衆注+仲師 良鄕伯盧植注+子幹이라 滎陽伯服虔注+이라 昌黎伯韓愈注+退之 將樂伯楊時注+中立이라
建寧伯胡安國注+康侯 華陽伯張栻注+敬夫 勉齋黃幹 浦城伯眞德秀注+希元이라 洪裕侯薛聰注+聰智 文成公安
寒暄堂金宏弼 靜庵趙光祖 退溪李滉 栗谷李珥 沙溪金長生 同春宋浚吉注+已上東廡이라
單父侯宓不齊注+子賤이라 高密侯公冶長注+子長이라 北海侯公皙哀注+季次 共城侯高柴注+子羔 睢陽侯司馬耕注+子牛 平陰侯有若注+子若이라
東阿侯巫馬施注+子期 陽穀侯顔辛注+子柳 上蔡侯曹恤注+子循이라 公孫龍注+子石이라 鄄城侯秦商注+子丕 雷澤侯顔高注+子驕
上邽侯壤駟赤注+子徒 成紀侯石作蜀注+子明이라 ○唐本弟子解曰 石子蜀이요 作石蜀이라 鉅平侯公夏首注+子乘이라 膠東侯后處注+子里 ○唐本曰 石處 字里之 石作后 里之作子里 濟陽侯奚容蒧注+子皙이라 富陽侯顔祖注+子襄이라
滏陽侯句井彊注+子彊이라 馮翊侯秦祖注+子南이라 厭次侯榮旂注+ 南華侯左人郢注+子行이라 ○唐本曰 左郢이요 作左人郢이라 胊山侯鄭國注+子徒 ○唐本 薛邦 避漢高祖諱 鄭字 薛字之誤로되 今祀鄭國云이라 樂平侯原亢注+子籍이라
胙城侯廉潔注+子庸이라 博平侯叔仲會注+子期 高唐侯邽巽注+子斂이라 臨朐侯公西輿如注+子上이라 內黃侯蘧瑗注+伯玉이라
長山侯林放注+子企 南頓侯陳亢注+子禽이라 陽平侯琴張注+子開 博昌侯步叔乘注+子車 臨淄伯公羊高 乘氏伏勝
戴聖注+小戴 廣川伯董仲舒 曲阜伯孔安國注+子國이니 孔子十二世孫이라 緱氏伯注+一作樂成伯이라 高密伯鄭玄注+康成이라 新野伯范寗注+武子
溫國公司馬光注+君實이라 豫章羅從彦注+仲素 延平李侗注+愿仲이라 開封伯呂祖謙注+伯恭이라 崇安伯蔡沈注+仲黙이니 元定仲子 朱子之壻 魯齋許衡注+이라
孤雲崔致遠 圃隱鄭夢周 一蠹鄭汝昌 晦齋李彦迪 河西金麟厚 牛溪成渾 尤庵宋時烈 玄石朴世采注+已上西廡



大成至聖文宣王 孔子注+공자는 , 자는 仲尼이다. 정면에 위치한다.正位에 모신다.〉 兗國復聖公 注+안자는 이름은 , 자는 子淵이다.沂國述聖公 注+자사는 이름은 이다. 공자의 손자이다. ○이상은 동편에 위치한다.郕國宗聖公 注+증자는 이름은 , 자는 子輿이다.鄒國亞聖公 注+맹자는 이름은 , 자는 子輿이다. ○이상은 서편에 위치한다. 配享한다.
費公 注+민손의 자는 子騫이다. 薛公 注+염옹의 자는 仲弓이다. 黎公 注+단목사의 자는 子貢이다. 衛公 注+중유의 자는 子路이다. 魏公 注+복상의 자는 子夏이다. 道國公 注+주돈이는 자는 茂叔이고, 호는 濂溪이다. 豫國公 注+정호는 자는 伯淳이고, 호는 明道이다. 郿伯 注+장재는 자는 子厚이고, 호는 橫渠이다. ○이상 대성전 동편에 위치한다.大成殿 동편에 配享한다.〉
鄆公 注+염경의 자는 伯牛이다. 齊公 注+재여의 자는 子我이다. 徐公 注+염구의 자는 子有이다. 吳公 注+언언의 자는 子遊이다. 陳公 注+전손사의 자는 子張이다. 洛國公 注+정이는 자는 正叔, 호는 伊川이다. 新安伯 注+소옹은 자는 堯夫, 호는 康節이다. 徽國公 注+주희는 자는 仲晦, 호는 晦庵이다. ○이상 대성전 서편에 위치한다. 〈대성전 서편에 配享한다.〉
金鄕侯 注+담대멸명의 자는 子羽이다. 任城侯 注+원헌의 자는 子思이다. 汝陽侯 注+남궁괄의 자는 子容이다. 須昌侯 注+상구의 자는 子木이다. 平輿侯 注+칠조개의 자는 子若이다. 益都侯 注+번수의 자는 子遲이다.
鉅野侯 注+공서적의 자는 子華이다. 千乘侯 注+양전의 자는 叔魚이다. 臨沂侯 注+염유의 자는 子魯이다. 沭陽侯 注+백건의 자는 子哲이다. 諸城侯 注+염계의 자는 子産이다. 濮陽侯 注+칠조치의 자는 子斂이다.
高苑侯 注+칠조도보의 자는 子文이다. 鄒平侯 注+상택의 자는 子季이다. 當陽侯 注+임부제의 자는 子選이다. 牟平侯 注+공량유의 자는 子正이다. 新息侯 注+진염의 자는 子開이다.
梁父侯 注+공견정의 자는 子中이다. 聊城侯 注+교단의 자는 子家이다. 祁鄕侯 注+한보흑의 자는 子素이다. 卽墨侯 注+공조구자의 자는 子之이다. 武城侯 注+현성의 자는 子祺이다.
興元侯注+어떤 판본에는 汧源侯라고 되어 있다. 注+연급의 자는 子思이다. 宛句侯 注+안지복의 자는 子叔이다. 建成侯 注+악해의 자는 子聲이다. 堂邑侯 注+안하의 자는 子冉이다. 林慮侯 注+적흑의 자는 子皙이다.
鄆城侯 注+공충의 자는 子蔑이고, 공자 형의 아들이다. 徐成侯 注+공서점의 자는 子尙이다. 臨濮侯 注+시지상의 자는 子恒이다. 華亭侯 注+진비의 자는 子之이다.
文登侯 申棖,注+신정의 자는 子續이다. 濟陰侯 注+안쾌의 자는 子聲이다. 中都伯 左丘明, 樂成伯 樂壽伯 彭城伯 注+유향의 자는 子政이다.
中牟伯 注+정중의 자는 仲師이다. 良鄕伯 注+노식의 자는 子幹이다. 滎陽伯 注+복건의 자는 子愼이다. 昌黎伯 注+한유의 자는 退之이다. 將樂伯 注+양시의 자는 中立이다.
建寧伯 注+호안국의 자는 康侯이다. 華陽伯 注+장식의 자는 敬夫이다. 勉齋 浦城伯 注+진덕수의 자는 希元이다. 洪裕侯 注+설총의 자는 聰智이다. 文成公
寒暄堂 靜庵 退溪 栗谷 沙溪 同春 注+이상 東廡이다.東廡에 배향한다.〉
單父侯 注+복부제의 자는 子賤이다. 高密侯 注+공야장의 자는 子長이다. 北海侯 注+공석애의 자는 季次이다. 共城侯 注+고시의 자는 子羔이다. 睢陽侯 司馬耕,注+사마경의 자는 子牛이다. 平陰侯 注+유약의 자는 子若이다.
東阿侯 注+무마시의 자는 子期이다. 陽穀侯 注+안신의 자는 子柳이다. 上蔡侯 注+조휼의 자는 子循이다. 枝江侯 注+공손룡의 자는 子石이다. 鄄城侯 注+진상의 자는 子丕이다. 雷澤侯 注+안고의 자는 子驕이다.
上邽侯 注+양사적의 자는 子徒이다. 成紀侯 注+석작촉의 자는 子明이다. ○중국본 ≪孔子家語≫의 〈七十二弟子解〉에 石子蜀이라 하였고, ≪史記≫에는 石蜀이라 하였다. 鉅平侯 注+공하수의 자는 子乘이다. 膠東侯 注+후처의 자는 子里이다. ○중국본에 “石處는 자는 里之이다.”라고 하였다. ≪史記≫에는 ‘’이 ‘’로 되어 있고 ‘里之’가 ‘子里’로 되어 있다. 濟陽侯 注+해용점의 자는 子皙이다. 富陽侯 注+안조의 자는 子襄이다.
滏陽侯 注+구정강의 자는 子彊이다. 馮翊侯 注+진조의 자는 子南이다. 厭次侯 注+영기의 자는 子旗이다. 南華侯 注+좌인영의 자는 子行이다. ○중국본에는 ‘左郢’이라 하였고 ≪史記≫에는 左人郢이라 하였다. 胊山侯 注+정국의 자는 子徒이다. ○중국본에 ‘薛邦’이라고 한 것은 高祖(劉邦)를 피휘한 것이다. ‘’자는 ‘’자의 오기인데, 지금 제사에서는 ‘鄭國’이라고 한다. 樂平侯 注+원항의 자는 子籍이다.
胙城侯 注+염결의 자는 子庸이다. 博平侯 注+숙중회의 자는 子期이다. 高唐侯 注+규손의 자는 子斂이다. 臨朐侯 注+공서여여의 자는 子上이다. 內黃侯 注+거원의 자는 伯玉이다.
長山侯 注+임방의 자는 子企이다. 南頓侯 注+진항의 자는 子禽이다. 陽平侯 注+금장의 자는 子開이다. 博昌侯 注+보숙승의 자는 子車이다. 臨淄伯 乘氏伯
考城伯 注+대성의 별칭은 小戴이다. 廣川伯 曲阜伯 注+공안국의 자는 子國이다. 공자 12세손이다. 緱氏伯注+어떤 판본에는 樂成伯이라고 되어 있다. 高密伯 注+정현의 자는 康成이다. 新野伯 注+범녕의 자는 武子이다.
溫國公 注+사마광의 자는 君實이다. 豫章 注+나종언의 자는 仲素이다. 延平 注+이통의 자는 愿仲이다. 開封伯 注+여조겸의 자는 伯恭이다. 崇安伯 注+채침의 자는 仲黙이다. 蔡元定의 둘째 아들이다. 魯齋 注+허형의 자는 仲平이다.
孤雲 圃隱 一蠹 晦齋 河西 牛溪 尤庵 玄石 注+이상 西廡이다.西廡에 배향한다.〉


역주
역주1 我朝文廟享祀位 : 이 자료는 조선조 문묘에 享祀한 인물을 나열하고 배향한 位次를 나타낸 것이다.
역주2 顔子 : B.C.521~B.C.491. 자는 子淵으로 曲阜 출신이다. 공자보다 30세 연소하였으며 가장 촉망받던 제자였는데, 29세에 요절하였다. 元나라 文宗 때 兗國復聖公으로 추증되었고, 明나라 世宗 때 復聖公으로 추봉되었다.
역주3 子思 : B.C.483~B.C.402. 자는 子思이며 子思子라고도 불린다. 공자의 嫡孫이자 孔鯉의 아들이다. 曾子에게 배웠다. ≪中庸≫을 저술하였다. 원나라 문종 때 沂國述聖公으로 추증되었고, 명나라 세종 때 述聖公으로 추봉되었다.
역주4 曾子 : B.C.505~B.C.435. 자는 子輿이다. 공자 만년의 제자로 아버지 曾點과 함께 공자 문하에 있었다. 공자가 죽은 후 삼년상을 지냈다. ≪大學≫의 經을 지었다고 전해진다. 원나라 문종 때 郕國宗聖公으로 추증되었고, 명나라 세종 때 宗聖公으로 추봉되었다.
역주5 孟子 : B.C.372~B.C.289. 자는 子輿 혹은 子居 등이 전하나 정확하지 않다. 전국시대 鄒나라 출신으로 子思를 사숙하였다. 제자들에 의해 ≪孟子≫가 전한다. 원나라 문종 때 鄒國亞聖公으로 추증되었고, 명나라 세종 때 亞聖公으로 추봉되었다.
역주6 閔損 : B.C.563~B.C.487. 자는 子騫이며, 閔子라고도 불린다. 魯나라 靑州 宿國 출신이다.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고, 덕행으로 안회와 병칭된다. 평생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南宋 度宗 때 費公에 봉해졌고, 明 世宗 때 ‘先賢閔子’로 칭해졌다.
역주7 冉雍 : B.C.522~? 자는 仲弓이다. 형 冉耕, 이복동생 冉求와 함께 삼형제가 공자의 문하에서 이름을 날려, ‘一門三賢’으로 불렸다. 덕행으로 이름이 났으며, 공자가 ‘南面’을 시킬 만하다고 평하였다. 남송 도종 때 ‘薛公’에 봉해졌고, 명 세종 때 ‘先賢冉子’로 칭해졌다.
역주8 端木賜 : B.C.520~B.C.456. 자는 子貢이다. 춘추시대 衛나라 출신이다. 공자가 노나라를 떠나 위나라에 유세할 때 공자의 문하에 들어가 함께 천하를 주유하였다. 공자가 ‘瑚璉之器’라고 평한 바 있다. 노나라와 위나라의 재상을 역임하였다. 상업에도 능해 부를 축적하여, 공자의 제자 가운데 가장 부유하다고 일컬어진다. 남송 도종 때 ‘黎公’에 봉해졌고, 명 세종 때 ‘先賢端木子’로 칭해졌다.
역주9 仲由 : B.C.542~B.C.480. 자는 子路 혹은 季路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공자 제자 가운데 政事를 잘하는 것으로 꼽혔다. 사람됨이 강직하고 용기가 있었다. 공자를 따라 천하를 주유하였다. 위나라에 있을 때 내란 중 살해당하였다. 남송 도종 때 衛公에 봉해졌고, 명 세종 때 ‘先賢仲子’로 칭해졌다.
역주10 卜商 : B.C.507~? 자는 子夏이다. 춘추시대 晉나라 출신이다. 일설에는 衛나라 출신이라고도 한다. 공자의 제자 가운데 문학으로 꼽혔다. 공자가 죽고 문하에 내분이 일어나자 魏國 西河에 가서 학문을 가르치고 제자를 길렀다. 남송 도종 때 魏公에 봉해졌고, 명 세종 때 ‘先賢卜子’로 칭해졌다.
역주11 周敦頤 : 1017~1073. 북송의 학자이다. 자는 茂叔, 호는 濂溪, 시호는 元公이며, 湖南省 永州 출신이다. 程珦의 추천을 받아 分寧縣의 주부를 거쳐 南安의 司理參軍으로 임명되었다. 이때 정향의 두 아들 程顥‧程頤 형제를 가르쳤다. 合州判官‧虔州通判‧廣東轉運判官‧知南康軍을 역임하였다. 陳搏의 〈無極圖〉를 참고하여 〈太極圖說〉을 만들었는데, 이는 송대 성리학의 중요한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 그 외에 대표적인 저서로 ≪通書≫가 있다. 宋나라 理宗 때 汝南伯에 봉해지고 문묘에 종사되었으며, 元나라 仁宗 때 道國公에 추봉되었다.
역주12 程顥 : 1032~1085. 북송의 학자이다. 자는 伯淳, 호는 明道, 시호는 純이다. 아버지 程珦이 南安의 판관이었을 때 주돈이에게 배웠다. 鄠縣 주부를 시작으로 지방관을 역임하였다. ‘理氣一元論’, ‘性則理說’을 주창하였다. 그의 사상은 동생 정이를 거쳐 주자에게 큰 영향을 주어 송대 성리학의 기초가 되었다. 대표적인 저서로 후인들이 그와 정이의 저서를 합편한 ≪二程全書≫가 있다. 송나라 이종 때 河南伯에 봉해지고 문묘에 종사되었다. 원나라 문종 때 豫國公으로 추봉되었다.
역주13 張載 : 1020~1077. 북송의 학자이다. 자는 子厚, 호는 橫渠先生, 시호는 明公이며 大梁 출신이다. 1057년 진사에 급제한 뒤에 祁州司法參軍, 雲岩縣令, 著作佐郞, 簽書, 渭州軍事判官, 崇文院校書 등을 역임했다. 저작으로 후세 사람들이 편찬한 ≪張載集≫이 남아 있다. 송대 理學의 주류 가운데 하나인 關學의 창시자이다. 송나라 이종 때 郿伯에 봉해지고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14 冉耕 : B.C.544~? 자는 伯牛이며, 冉牛라고도 불린다. 덕행으로 안연, 민손과 병칭되었다. 병 때문에 일찍 죽었다. 염옹의 형이다. 남송 度宗 때 鄆公에 봉해졌고, 명 세종 때 ‘先賢冉子’로 칭해졌다.
역주15 宰予 : B.C.522~B.C.458. 자는 子我이며, 宰我라고도 불린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공자 제자 가운데 언어를 잘하는 것으로 꼽힌다. 남송 도종 때 齊公에 봉해졌고, 명 세종 때 ‘先賢宰子’로 칭해졌다.
역주16 冉求 : B.C.522~? 자는 子有이며, 冉有라고도 불린다. 다재다능하였고 理財에 밝았다. 노나라 계씨의 재신을 역임한 바 있다. 염옹의 이복동생이다. 남송 도종 때 徐公에 봉해졌고, 명 세종 때 ‘先賢冉子’로 칭해졌다.
역주17 言偃 : B.C.506~B.C.443. 자는 子遊이며, 叔氏라고도 불린다. 춘추시대 오나라의 常熟 출신으로, 72제자 가운데 유일한 남방 출신이다. 노나라 武城宰를 역임하였다. 남송 도종 때 吳公에 봉해졌고, 명 세종 때 ‘先賢言子’로 칭해졌다.
역주18 顓孫師 : B.C.504~? 자는 子張이며, 춘추시대 陳나라 출신이다. 세속에 아부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남송 도종 때 陳國公에 봉해졌다가 얼마 후 陳公으로 개칭되었고, 명 세종 때 ‘先賢顓孫子’로 칭해졌다.
역주19 程頤 : 1033~1107. 북송의 학자이다. 자는 正叔, 호는 伊川, 시호는 正公이며, 洛陽 출신이다. 형 정호와 함께 주돈이에게 배웠고, 형과 함께 ‘二程子’라 불리며 程朱學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國子監敎授‧秘書省校書郞‧崇政殿說書를 역임하였다. ≪周易≫에 연구가 깊어 ≪易傳≫을 남겼다. 송나라 이종 때 伊川伯에 추봉되었고, 문묘에 종사되었다. 원나라 문종 때 洛國公에 추봉되었다.
역주20 邵雍 : 1011~1077. 북송의 학자이다. 자는 堯夫, 호는 安樂先生, 시호는 康節이다. 李之才로부터 圖書‧天文‧易數를 배웠다.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고 유교의 易哲學을 발전시켜 독자적인 數理哲學을 만들었다. 벼슬을 사양하고 평생 낙양에 은거했다. ≪皇極經世書≫, ≪伊川擊壤集≫ 등을 남겼다. 송 휘종 때 新安伯에 봉해지고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21 朱熹 : 1130~1200. 남송의 학자이다. 자는 元晦‧仲晦이며, 호는 晦庵‧晦翁‧雲谷山人‧滄洲病叟 등이다. 시호는 文公이다. 복건성 尤溪 출신으로, 24세 때 李侗을 만나 배우면서 유학에 전념하였다. 19세에 진사에 급제한 후 관직을 거치기도 하였으나 거의 학문에 전념하였다. ≪朱文公文集≫, ≪朱子語類≫ 등을 남겼으며 성리학을 집대성한 인물로 평가된다. 남송 이종 때 信國公에 봉하였다가 徽國公으로 개칭하였고, 문묘에 종사하였다.
역주22 澹臺滅明 : B.C.512?~? 자는 子羽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武城 출신이다. 子遊가 武城의 邑宰로 있을 때 등용했던 인물로, 공자의 문하에 들어갔다. 후에 楚國으로 내려가 제자를 기르고 그곳에서 죽었다. 宋나라 眞宗 때 金鄕侯에 봉해졌고, 明나라 世宗 때 ‘先賢澹臺子’로 칭해졌다.
역주23 原憲 : B.C.515~? 자는 子思이며, 춘추시대 송나라 출신이다. 평생 안빈낙도하며 세상에 영합하지 않았다. 공자가 魯나라 司寇를 지낼 때 家宰를 맡은 바 있다. 공자 사후 衛國에 은거하였다. 송나라 진종 때 任城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愿子’로 칭해졌다.
역주24 南宮适 : ?~? 자는 子容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으로 공자의 학생이었다. 후에 조카사위가 되었다. 송나라 진종이 龔丘侯로 봉하였는데 휘종 때 汝陽侯로 개봉되었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南宮子’로 칭해졌다.
역주25 商瞿 : B.C.522~? 자는 子木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易經≫을 좋아하여, 공자가 그에게 전수한 바 있다. 송나라 진종 때 須昌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商子’로 칭해졌다.
역주26 漆彫開 : B.C.540~B.C.489. 자는 子開 또는 子若이다. 일설에 子修라고도 한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으로 공자 문하에서 덕행으로 이름이 났다. 저서에 ≪漆雕子≫ 13편이 있다. 송나라 진종 때 汝陽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漆雕子’로 칭해졌다.
역주27 樊須 : B.C.505?~? 자는 子遲이며, 樊遲라고도 불린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益都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樊子’로 칭해졌다.
역주28 公西赤 : B.C.509?~? 자는 子華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공자의 제자로, 그의 가신으로 있었다. 공자의 상례 때 기물제도는 그에 의해 배치된 것이다. 송나라 진종 때 鉅野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公西子’로 칭해졌다.
역주29 梁鱣 : B.C.522~? 자는 叔魚이며, 춘추시대 제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千乘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粱子’로 칭해졌다.
역주30 冉孺 : B.C.501~? 자는 子魯, 혹은 子曾이다. 冉求의 둘째 아들이다. 송나라 진종 때 臨沂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冉子’로 칭해졌다.
역주31 伯虔 : B.C.501~? 자는 子哲, 혹은 子折, 子晳이다. 공자의 만년 제자로, 儒行으로 이름이 났다. 송나라 진종 때 沭陽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伯子’로 칭해졌다.
역주32 冉季 : B.C.498~? 자는 子産이며, 冉雍의 둘째 아들이다. 공자 제자 가운데 가장 연소하다. 공자가 처음 그를 보고 대성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제자로 삼았다. 송나라 진종 때 諸城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冉子’로 칭해졌다.
역주33 漆彫哆 : ?~? ‘漆雕侈’로 기록된 곳도 있다. 자는 子斂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濮陽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漆雕子’로 칭해졌다.
역주34 漆調徒父 : ?~? 漆雕從이라고도 한다. 자는 子文, 子有, 子友, 子期 등으로 알려졌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으로, 덕성으로 이름이 났다. 송나라 진종 때 高苑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漆雕子’로 칭해졌다.
역주35 商澤 : ?~? 자는 子季이다. 송나라 진종 때 鄒平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商子’로 칭해졌다.
역주36 任不齊 : B.C.545~B.C.468. 자는 子選이며, 춘추시대 초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當陽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任子’로 칭해졌다.
역주37 公良孺 : ?~? 자는 子正, 혹은 子幼이다. 公良儒, 公襄儒라고도 불린다. 춘추시대 陳나라 출신으로, 송나라 진종 때 牟平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公良子’로 칭해졌다.
역주38 秦冉 : ?~? 자는 子開로, 춘추시대 蔡나라 출신이다. ≪史記≫ 〈仲尼弟子列傳〉에는 이름이 기재되어 있으나 ≪孔子家語≫에는 실려 있지 않다. 송나라 진종 때 新息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秦子’로 칭해졌다.
역주39 公肩定 : ?~? 公堅定이라고도 한다. 자는 子仲, 혹는 子中이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혹은 晉나라, 衛나라 출신이라고도 한다. 문학에 뛰어났다고 한다. 송나라 진종 때 梁父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公肩子’로 칭해졌다.
역주40 鄡單 : ?~? 자는 子家이다. 송나라 진종 때 聊城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鄡子’로 칭해졌다.
역주41 罕父黑 : ?~? 자는 子索, 혹은 子素이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祁鄕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罕父子’로 칭해졌다.
역주42 公祖句玆 : ?~? 公祖玆라고도 한다. 자는 子之이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卽墨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公祖子’로 칭해졌다.
역주43 縣成 : ?~? 懸成이라고도 한다. 자는 子祺, 혹은 子橫이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으로, 송나라 진종 때 武城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縣子’로 칭해졌다.
역주44 燕伋 : B.C.541~B.C.476. 燕級이라고도 한다. 자는 子思이다. 춘추시대 秦나라 출신이다. 노나라 출신이라고도 한다. 22세 때 공자를 따라 배우기 시작하였고, 장년에는 고향에 돌아와 私塾을 일으켰다. 송나라 진종 때 汧源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燕子’로 칭해졌다.
역주45 顔之僕 : ?~? 자는 子叔으로, 곡부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宛句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顔子’로 칭해졌다.
역주46 樂欬 : ?~? 자는 子聲으로,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秦나라 출신이라고도 한다. 송나라 진종 때 建成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樂子’로 칭해졌다.
역주47 顔何 : ?~? 자는 子冉.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孔子家語≫에는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송나라 진종 때 堂邑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顔子’로 칭해졌다.
역주48 狄黑 : ?~? 자는 子皙, 혹은 皙之이다. 송나라 진종 때 林慮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狄子’로 칭해졌다.
역주49 孔忠 : ?~? 자는 子蔑로, 공자의 형 孟皮의 아들이다. 송나라 진종 때 鄆城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孔子’로 칭해졌다.
역주50 公西蒧 : ?~? 자는 子上, 혹은 子尙이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徐城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公西子’로 칭해졌다.
역주51 施之常 : ?~? 자는 子恒, 혹은 子常이다. 魯 惠公의 8세손이다. 송나라 진종 때 臨濮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施子’로 칭해졌다.
역주52 秦非 : ?~? 자는 子之이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華亭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秦子’로 칭해졌다.
역주53 顔噲 : ?~? 자는 子聲.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 송나라 진종 때 ‘濟陰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顔子’로 칭해졌다.
역주54 高堂生 : ?~? 전한 때 곡부 사람이다. 자는 伯이다. 今文禮學을 최초로 전한 경학자이다. 당나라 때 萊蕪伯에 봉하고 문묘에 종사하였다.
역주55 毛萇 : ?~? 전한 때 度 출신이다. 고문경학인 毛詩學의 초기 전수자로 전해진다. 스승 毛亨에게 ≪毛詩詁訓傳≫을 배워, ≪詩經≫에 뛰어났다. 송나라 휘종이 樂壽伯에 봉하였다.
역주56 劉向 : B.C.77~B.C.6. 전한의 학자이다. 자는 子政으로, 한나라 종실 출신이다. 宣帝 때 諫大夫에 기용되어, 수십 편의 賦頌을 지었다. 재차 선제에게 기용되어 石渠閣에서 오경을 강의하였다. ≪說苑≫, ≪新序≫, ≪列女傳≫, ≪戰國策≫, ≪別錄≫ 등의 저술을 남겼다.
역주57 鄭衆 : ?~83. 후한의 경학자이다. 자는 仲師, 河南 開封 출신이다. 中郞將과 大司農 등을 역임하였다. 아버지 鄭興의 춘추좌씨학을 계승하였으며, ≪周易≫과 ≪詩經≫, ≪周禮≫, ≪國語≫ 및 曆算에도 밝았다. ≪周禮鄭司農解詁≫, ≪鄭衆春秋牒例章句≫, ≪鄭氏婚禮≫, ≪國語章句≫ 등을 남겼다. 송나라 진종 때 中牟伯에 봉해지고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58 盧植 : ?~192. 후한의 경학자이다. 자는 子幹, 涿縣 출신이다. 靈帝 때 박사가 되었고, 九江太守, 北中郞將, 尙書 등을 역임하였다. 후에 董卓이 少帝를 폐위할 것을 거론하자 귀향하여, 上谷에 은거했다. ≪尙書章句≫, ≪三禮解詁≫ 등을 저술하였으나 일실되었고 ≪小戴禮記注≫가 전한다. 송나라 진종 때 良鄕伯에 봉해지고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59 服虔 : ?~? 후한의 경학자이다. 자는 子愼, 河南의 滎陽 출신이다. 효렴으로 천거되어 九江太守를 지냈다. ≪春秋左氏傳解≫를 저술하여, 그의 주석이 東晉 및 남북조 시대에 크게 성행하였다. 송나라 진종 때 滎陽伯에 봉해지고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60 韓愈 : 768~824. 당나라 때 학자이다. 자는 退之, 호는 昌黎, 시호는 文公이며, 懷州 修武縣 출신이다. 792년 진사에 급제하여, 監察御史‧陽山縣令‧刑部侍郞‧潮州刺史‧吏部侍郞 등을 역임하였다. 문학사에서 문체개혁을 통한 고문운동의 창시자로 평가된다. 사상면에서는 도교와 불교를 배격하여, 송대 성리학자들에게 인정받았다. ≪韓昌黎集≫ 등을 남겼다. 송나라 신종 때 昌黎伯에 봉해져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61 楊時 : 1053~1135. 북송 때의 학자이다. 자는 中立, 호는 龜山, 福建의 將樂 출신이다. 程顥‧程頤 형제에게 수학하였다. 이들의 도학을 전파하여 洛學의 大宗으로 추앙받았다. ≪龜山集≫, ≪龜山語錄≫, ≪二程粹言≫ 등을 남겼다. 명나라 효종 때 將樂伯에 봉해졌다.
역주62 胡安國 : 1074~1138. 북송 때의 학자이다. 자는 康侯, 시호는 文定이며, 福建 崇安 출신이다. 程頤를 私淑하여 居敬窮理의 학문을 중히 여겼다. ≪春秋胡氏傳≫, ≪資治通鑑擧要補遺≫ 등을 남겼다. 明나라 憲宗 때 建寧伯에 봉해졌다.
역주63 張栻 : 1133~1180. 북송의 학자이다. 자는 敬夫, 호는 南軒, 四川 廣漢 출신이다. 胡宏의 학문을 이어받아 송나라 湖湘學派의 영수가 되었다. 주자는 장식의 학문이 높아 도저히 따라갈 수가 없다고 칭송하였으며, 유고집인 ≪南軒集≫을 편찬하였다. 南宋 理宗 때 華陽伯에 봉하고 문묘에 종사하였다.
역주64 黃幹 : 1152~1221. 남송의 학자이다. 자는 直卿, 호는 勉齋, 시호는 文肅이며, 福州 閩縣 출신이다. 젊어서 주희에게 배웠는데, 주희가 딸을 시집보냈다. 주희가 위독했을 때 자신의 저서를 모두 그에게 남겨 학문을 잇도록 했다. 처음엔 스승의 학설을 고수했지만, 나중에는 陸學과 조화시키려 했다. 저서에 ≪書說≫과 ≪勉齋集≫, ≪六經講義≫, ≪禮記集注≫, ≪論語通釋≫, ≪論語意原≫, ≪中庸總論≫, ≪中庸總說≫, ≪經解≫, ≪聖賢道統傳授總敍說≫ 등이 있다. 淸나라 世宗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65 眞德秀 : 1178~1235. 남송 때 학자이다. 자는 景元 또는 希元인데, 나중에 景希로 고쳤다. 호는 西山, 시호는 文忠이며, 建寧府 浦城 출신이다. 1199년 진사로 급제하였고, 泉州와 福州의 知州‧戶部尙書‧翰林學士‧知制誥‧參知政事 등을 역임했다. 강직하기로 유명했다. 시정에 대해 자주 건의했고, 奏疏는 수십만 자에 이르렀다. 저서에 ≪大學衍義≫, ≪唐書考疑≫, ≪西山讀書記≫, ≪文章正宗≫, ≪西山甲乙稿≫, ≪西山文集≫ 등이 있다. 明나라 憲宗 때 浦城伯에 봉해지고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66 薛聰 : 655~? 신라시대의 학자로, 자는 聰智이다. 아버지는 元曉, 어머니는 瑤石公主이다. 경주 설씨의 시조로 알려져 있다. 經史에 박통했으며, 우리말로 九經을 읽고 후생을 가르쳤다. 強首‧崔致遠과 더불어 신라 3대 문장가로 꼽힌다. 설총의 문장으로는 〈花王戒〉가 ≪三國史記≫ 〈薛聰列傳〉에 전한다. 高麗 顯宗 때 弘儒侯에 봉해졌다.
역주67 安珦 : 1243~1306. 본관은 順興, 자는 士蘊, 호는 晦軒, 시호는 文成이며, 경상도 興州 출신이다. 1260년 문과에 급제하여, 校書郞‧監察侍御史‧左承旨 등을 역임하였다. 1289년 왕과 왕후를 호종하여 원나라에 가서 朱子書를 베끼고 공자와 주자의 畵像을 그려 가지고 이듬해 돌아왔다. 1230년에 精舍를 짓고, 공자와 주자의 화상을 모셨다. 1303년 金文鼎을 중국 강남에 보내어 공자와 70제자의 화상, 그리고 문묘에서 사용할 祭器‧樂器 및 六經‧諸子書‧史書‧朱子書 등을 구해오게 하였다. 1304년에 대성전이 완성되자, 중국에서 구해온 공자를 비롯한 先聖들의 화상을 모셨다. 우리나라에 성리학을 최초로 도입한 인물이자, 최초의 주자학자로 평가받는다. 1319년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68 金宏弼 : 1454~1504. 본관은 瑞興, 자는 大猷, 호는 簑翁‧寒暄堂, 시호는 文敬이다. 김종직의 문하에 들어가 ≪小學≫을 배웠고, ≪소학≫에 심취하여 ‘소학동자’라 자칭하였다. 1494년 遺逸로 천거되어 남부참봉에 제수되었으며, 사헌부감찰‧형조좌랑을 역임하였다. 1498년 무오사화 때 유배되었고, 1504년 극형에 처해졌다. 중종반정 뒤 복권되어 도승지에 추증되었으며, 1575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문묘종사를 하자는 건의가 꾸준히 이어져오다가 선조 때 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 등과 함께 五賢으로 문묘에 종사되었다. ≪景賢錄≫, ≪寒暄堂集≫ 등을 남겼다.
역주69 趙光祖 : 1482~1519. 본관은 한양, 자는 孝直, 호는 靜菴, 시호는 文正이다. 17세 때 魚川察訪으로 부임하는 아버지를 따라가, 戊午史禍로 熙川에 유배 중이던 김굉필에게 수학하였다. 성리학 연구에 힘써 김종직의 학통을 이은 사림파의 영수가 되었다. 1515년 별시문과에 급제, 成均館典籍‧監察‧禮曹佐郞‧經筵侍讀官‧大司憲 등을 역임하였다. 중종의 신임 하에 至治主義에 입각한 왕도정치의 실현을 역설하였다. 향촌의 상호부조를 위해 ≪呂氏鄕約≫을 8도에 실시하도록 하였고, 昭格署의 폐지를 강력히 주청하여 혁파하였다. 현량과 실시를 주장하여, 신진사류를 등용하도록 하였다. 훈구대신들의 탄핵으로 유배되었고, 기묘사화 때 賜死되었다. 선조 때 신원되어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묘에 배향되었다. 저서로 ≪靜菴集≫이 있다.
역주70 李滉 : 1501~1570. 본관은 眞寶, 자는 景浩, 호는 退溪‧退陶‧陶叟, 시호는 文純이다. 성균관에 들어가 김인후 등과 교유하였고, ≪心經附註≫를 입수하여 크게 심취하였다. 1534년 문과에 급제하여, 承文院副正字‧弘文館修撰‧成均館司成을 역임했다. 을사사화 후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독서에 전념하였다. 풍기군수로 있을 때, 백운동서원을 최초의 사액서원인 紹修書院으로 개창하였다. 이후 여러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고사하였다. 68세의 노령에 大提學‧知經筵의 중임을 맡고, 선조에게 〈戊辰六條疏〉를 올렸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묘에 종사되었다. 저서로 ≪退溪集≫, ≪聖學十圖≫, ≪自省錄≫ 등이 있다. 그의 학문은 영남을 배경으로 퇴계학파를 형성하였으며, 일본 崎門學派 및 熊本學派의 성립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역주71 李珥 : 1536~1584. 본관은 德水, 자는 叔獻, 호는 栗谷‧石潭이며, 시호는 文成이다. 1558년 별시에서 장원하였다. 과거에서 아홉 번 장원하여 ‘九度壯元公’이라는 별칭이 있다. 吏曹佐郞‧吏曹判書 등을 역임하였다. 19세 때부터 교분을 맺은 성혼과 주자학의 근본 문제를 논의하였다. 1575년 주자학의 핵심을 간추린 ≪聖學輯要≫를 편찬하고, 1577년 아동교육서인 ≪擊蒙要訣≫을 편찬했다. 서인의 영수로서 동인과의 당쟁을 조정하려 하였으나 성과 없이 동인의 공격대상이 되었다. 탄핵을 받자 사퇴하였고, 49세에 병사하였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숙종 때 성혼과 함께 문묘에 종사되었다. 己巳換局 때 출향되었다가, 甲戌換局 이후 다시 종사되었다.
역주72 金長生 : 1548~1631. 본관은 光山, 자는 希元, 호는 沙溪, 시호는 文元이다. 宋翼弼과 李珥의 문하에서 배웠다. 1578년 학행으로 천거되어 昌陵參奉이 되고, 敦寧府參奉‧定山縣監‧刑曹參判 등을 역임하였다. 학문적으로 송익필‧이이‧성혼 등의 영향을 함께 받았다. 禮學 분야는 송익필의 영향이 컸으며, 예학을 깊이 연구해 아들 金集에게 계승시켜 조선 예학의 한 주류를 형성하였다. 송시열, 송준길을 필두로 하여 수많은 문인을 배출하였다. 저서로 ≪喪禮備要≫, ≪家禮輯覽≫, ≪近思錄釋疑≫, ≪經書辨疑≫ 등이 있다. 숙종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73 宋浚吉 : 1606~1672. 본관은 恩津, 자는 明甫, 호는 同春堂, 시호는 文正이다. 이이를 사숙했고, 20세 때 김장생의 문하생이 되었다. 1624년 진사가 된 뒤 학행으로 천거 받아 1630년 洗馬에 제수되었다. 司憲府執義‧大提學‧兵曹判書‧右參贊 등을 역임하였다. 1659년 慈懿大妃의 服喪問題로 禮訟論爭이 일어났을 때, 송시열과 함께 기년제를 주장해 관철시켰으나 남인들의 공격을 받아 벼슬을 사퇴하였다. 1674년 仁宣大妃가 죽은 후 다시 예송논쟁이 일어났는데, 이때 관직을 삭탈 당했다가 1680년 庚申換局 때 복권되었다. 송시열과 함께 ‘兩宋’으로 불리며, 조선 후기 西人 山林의 영수 역할을 하였다. 죽은 후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영조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74 (禽)[金] : 底本에는 ‘禽’으로 되어 있으나, ≪宋史≫에 의거하여 ‘金’으로 바로잡았다.
역주75 (恩)[息] : 底本에는 ‘恩’으로 되어 있으나, ≪宋史≫에 의거하여 ‘息’으로 바로잡았다.
역주76 (沂)[祁] : 底本에는 ‘沂’로 되어 있으나, ≪宋史≫에 의거하여 ‘祁’로 바로잡았다.
역주77 (眞)[愼] : 底本에는 ‘眞’으로 되어 있으나, ≪後漢書≫에 의거하여 ‘愼’으로 바로잡았다.
역주78 (向)[珦] : 底本에는 ‘向’으로 되어 있으나, ≪高麗史≫에 의거하여 ‘珦’으로 바로잡았다.
역주79 宓不齊 : B.C.501?~B.C.445. 자는 子賤으로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출신이라고도 한다. 공자가 군자답다고 칭찬한 바 있다. 송나라 진종 때 ‘單父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宓子’로 칭해졌다.
역주80 公冶長 : ?~? 자는 子長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사람이다. 계씨의 일족인 季冶의 후손이다. 공자의 제자이자 사위이다. 송나라 진종 때 高密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公冶子’로 칭해졌다.
역주81 公晳哀 : ?~? 자는 季次, 혹은 季沈이라고도 한다. 춘추시대 제나라 출신이다. 여항 출신으로 평생 벼슬을 하지 않았다. 송나라 진종 때 北海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公子’로 칭해졌다.
역주82 高柴 : B.C.521~B.C.393. 자는 子羔, 또는 子皐, 子高, 季高, 季臯, 季子臯이다. 춘추시대 제나라 출신으로 노나라와 위나라에서 여러 벼슬을 역임하여, 공자 제자 가운데 가장 오랜 기간 벼슬한 제자이다. 송나라 진종 때 ‘共城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高子’로 칭해졌다.
역주83 有若 : B.C.508?~? 자는 子有, 또는 子若이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言偃, 卜商, 曾參, 顓孫師와 마찬가지로 공자의 만년 제자이다. 송나라 진종 때 平陰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有子’로 칭해졌다.
역주84 巫馬施 : B.C.521~? 자는 子期,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陳나라 출신이라고도 한다. 공자가 노나라를 떠나기 전에 문하에 들어간 제자로, 單父宰를 맡아 치적을 낸 바 있다. 송나라 진종 때 東阿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巫馬子’로 칭해졌다.
역주85 顔辛 : B.C.505~? 顔幸이라고도 한다. 자는 子柳,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덕성으로 이름을 남겼다. 송나라 진종 때 陽穀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顔子’로 칭해졌다.
역주86 曹恤 : B.C.501~? 曹卹이라고도 한다. 자는 子循. 춘추시대 曹나라 출신으로, 조나라 종실의 후예이다. 역사에서 ‘樂道明義’라 평가되었다. 송나라 진종 때 上蔡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曹子’로 칭해졌다.
역주87 公孫龍 : B.C.498~? 公孫寵이라고도 한다. 자는 子石이며, 춘추시대 초나라 출신이다. 衛나라 사람이며, 혹은 趙나라 사람이라고도 한다. 학문을 구하여 노나라로 와서 공자의 제자가 되었고 이후 공자의 학문이 남방으로 퍼지는 계기가 되었다. 송나라 진종 때 枝江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公孫子’로 칭해졌다.
역주88 秦商 : B.C.547?~? 자는 子彊 혹은 子丕, 子玆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아버지 堇父는 공자의 아버지 叔梁紇과 더불어 용력으로 이름이 났던 사람으로, 진상 역시 용력이 컸으나 공자에게 수행의 방도를 물어 제자가 되었다. 공자의 제자 가운데 가장 나이가 많다. 송나라 진종 때 鄄城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秦子’로 칭해졌다.
역주89 顔高 : B.C.501~? 顔産, 顔刻이라고도 한다. 자는 子驕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공자가 위나라에서 곤액을 당할 때 수행하였다. 송나라 진종 때 雷澤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顔子’로 칭해졌다.
역주90 壤駟赤 : ?~? ≪孔子家語≫ 〈七十二弟子解〉에는 ‘穰駟赤’으로 되어 있다. 자는 子徒. 子從이며, 춘추시대 秦나라 출신이다. 독서를 잘 했다고 한다. 송나라 진종 때 上邽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壤子’로 칭해졌다가 청나라 때 와서 ‘先賢壤駟子’로 개칭되었다.
역주91 石作蜀 : B.C.519~B.C.479. ≪孔子家語≫ 〈七十二弟子解〉에는 ‘石子蜀’으로 되어 있다. 자는 子明, 호는 卓子, 춘추시대 秦나라 출신이다. 노나라에서 공자에게 학문을 배웠다. 후에 고향으로 돌아와 유가의 학설을 전파하여, 후세 사람들이 石夫子라 불렀다. 송나라 진종 때 成紀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石子’로 칭해졌다.
역주92 公夏首 : ?~? ≪孔子家語≫ 〈七十二弟子解〉에는 ‘公夏守’로 되어 있다. 자는 子乘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鉅平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公夏子’로 칭해졌다.
역주93 后處 : ?~? ≪孔子家語≫ 〈七十二弟子解〉에는 ‘石處’로 되어 있다. 자는 子里이며, 춘추시대 제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膠東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后子’로 칭해졌다.
역주94 奚容蒧 : ?~? 자는 子偕, 또는 子楷, 子皙이다. 송나라 진종 때 濟陽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奚子’로 칭해졌다.
역주95 顔祖 : ?~? 자는 子襄, 子商이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富陽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顔子’로 칭해졌다.
역주96 句井彊 : ?~? ≪孔子家語≫ 〈七十二弟子解〉에는 勾井疆으로 되어 있다. 자는 子疆. 혹은 子界라고도 한다. 춘추시대 衛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滏陽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句井子’로 칭해졌다.
역주97 秦祖 : ?~? 자는 子南으로, 춘추시대 秦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馮翊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秦子’로 칭해졌다.
역주98 榮旂 : B.C.542~B.C.470. ≪孔子家語≫ 〈七十二弟子解〉에는 ‘榮祈’로 되어 있다. 자는 子祈, 子祺. 子顔이다.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衛나라 출신이라고도 한다. 이른 나이부터 공자를 따라 배웠고 六藝에 정통하였으며, 공자를 도와 ≪詩經≫, ≪書經≫, ≪易經≫, ≪禮記≫를 산삭, 찬술하였다. 송나라 진종 때 厭次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榮子’로 칭해졌다.
역주99 左人郢 : ?~? 자는 子行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공자의 제자 가운데 덕성으로 이름이 났다. 송나라 진종 때 南華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左子’로 칭해졌다.
역주100 鄭國 : ?~? 자는 子徒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孔子家語≫ 〈七十二弟子解〉에 “薛邦, 자는 子從”이라고 한 인물과 동일인으로 추정된다. 司馬貞에 따르면 ‘薛’자와 ‘鄭’자가 착오를 일으킨 것이고 ‘國’은 漢 高祖 劉邦의 이름을 避諱하여 바뀐 것이라 한다. 송나라 진종 때 朐山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鄭子’로 칭해졌다.
역주101 原亢 : ?~? 原桃라고도 한다. 자는 子籍, 또는 子杭이다. 錢穆은 ≪論語新解≫에서 原亢과 陳亢을 동일인이라고 하였으나, 문묘 배향에서는 다른 사람으로 본다. 송나라 진종 때 樂平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原子’로 칭해졌다.
역주102 廉潔 : ?~? 자는 子庸, 子曹이다. 춘추시대 衛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胙城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廉子’로 칭해졌다.
역주103 叔仲會 : B.C.501~? 자는 子期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또는 晉나라 출신이라고도 한다. 붓을 들고 공자를 모셨다. 송나라 진종 때 博平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叔仲子’로 칭해졌다.
역주104 邽巽 : ?~? 邽選, 邦選, 國選이라고도 한다. 자는 子斂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高唐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邽子’로 칭해졌다.
역주105 公西輿如 : ?~? 公西與라고도 한다. 자는 子上이며, 춘추시대 제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臨朐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公西子’로 칭해졌다.
역주106 蘧瑗 : ?~? 자는 伯玉이며, 춘추시대 衛나라 대부로, 세 公을 섬겼다. 공자가 존경하던 벗이다. ≪史記≫ 〈仲尼弟子列傳〉에는 이름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도가에서는 ‘無爲而治’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시호는 成子이다. 원나라 때 內黃侯에 봉해졌다.
역주107 林放 : ?~? 자는 子邱이며, 춘추시대 노나라 출신이다. ≪史記≫와 ≪孔子家語≫에 이름이 실려 있지 않다. 임방이 예를 묻는 내용이 ≪論語≫ 〈八佾〉에 보인다. 송나라 진종 때 長山侯에 봉해졌다. 명나라 때 鄕祀로 내려 보냈다가 청나라 때 다시 문묘에 입사되어, ‘先賢林子’로 칭해쳤다.
역주108 陳亢 : B.C.511~B.C.430. 자는 子亢, 또는 子禽이다. 춘추시대 陳나라 출신으로, 陳胡公의 20세손이자 제나라 대부 子車의 아우이다. 單父邑宰에 있을 때 백성에게 덕행을 베풀었다. 형이 죽었을 때 순장에 반대하였다. 송나라 진종 때 南頓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陳子’로 칭해졌다.
역주109 琴張 : ?~? 琴牢라고도 한다. 자는 子開, 子張이다. 춘추시대 衛나라 출신이다. 공자에게 ‘狂者’로 평가받은 바 있다. 송나라 때 頓丘侯로 봉해졌다가 후에 陽平侯로 다시 봉해졌다. 명나라 세종 때 ‘先賢琴子’로 칭해졌다.
역주110 步叔乘 : ?~? 자는 子車로, 춘추시대 제나라 출신이다. 송나라 진종 때 博昌侯에 봉해졌고, 명나라 세종 때 ‘先賢步叔子’로 칭해졌다.
역주111 公羊高 : ?~? 子夏의 제자이다. ≪春秋公羊傳≫을 저술하였는데, ≪春秋左氏傳≫, ≪春秋穀梁傳≫과 함께 春秋三傳이라 불린다. 청나라 때 莊存與가 ≪춘추공양전≫을 학문으로 일으켜 공양학이 번성하였다. 당나라 태종 때 문묘에 종사되었고, 송나라 진종 때 臨淄伯에 봉해졌다.
역주112 伏勝 : B.C.264~B.C.170. 자는 子賤이며, 濟南 출신으로 秦나라 때 박사를 지냈다. 진시황의 분서갱유 때 벽 속에 ≪尙書≫를 숨겼다가 한나라 초기에 꺼냈는데, 이를 今文尙書라 한다. 복승은 금문상서를 보존하여 전수한 사람이다. 당나라 태종 때 문묘에 종사되었고, 송나라 진종 때 乘氏伯에 봉해졌다.
역주113 戴聖 : ?~? 전한 때의 학자로, 자는 次君이다. 숙부 戴德과 함께 后蒼에게 배웠고, 小戴로 불린다. 今文禮學인 小戴學의 개창자다. ≪小戴禮記≫를 편찬하였는데, 이것이 지금의 ≪禮記≫이다. 남송 도종 때 考城伯에 봉해졌다.
역주114 董仲舒 : B.C.179~B.C.104. 前漢의 학자로 廣川縣 출신이다. 일찍부터 ≪春秋公羊傳≫을 공부하여, 景帝 때 박사가 되었다. 무제가 크게 인재를 구하므로 賢良對策을 올려 인정을 받았다. ≪董子文集≫, ≪春秋繁露≫ 등을 남겼다. 명나라 헌종 때 廣川伯에 봉해졌다.
역주115 孔安國 : B.C.264?~B.C.170? 전한의 학자로 자는 子國이며, 曲阜 출신이다. 공자의 12세손이며, 博士‧諫大夫를 지냈다. 魯恭王이 공자의 옛 집을 헐었을 때 蝌蚪文字로 된 ≪古文尙書≫, ≪禮記≫, ≪論語≫, ≪孝經≫이 나왔는데, 今文과 대조, 고증, 해독하여 주석을 붙였다. 이것에서 古文學이 비롯되었으므로, 고문학의 창시자로 평가받는다. 송나라 진종 때 曲阜伯에 봉해졌다.
역주116 杜子春 : ?~? 후한 때 학자이다. 河南 緱氏 출신이다. 劉歆에게 ≪周禮≫를 배우고, 太中大夫를 지냈다. 그가 주를 단 ≪주례≫는 鄭玄이 채용했으며, 鄭衆, 賈逵 등에게 ≪주례≫를 전수해주었다. 송나라 때 緱氏伯에 봉해졌다.
역주117 鄭玄 : 127~200. 후한의 학자이다. 자는 康成이며, 北海 高密 출신이다. 鄕嗇夫라는 지방의 말단관리로 있다가, 낙양에 올라가 태학에 입학하였다. 馬融 등에게 배운 뒤 40세가 넘어서 귀향하였다. 44세에 ‘黨錮의 화’를 입고, 집안에 칩거하여 연구와 저술에 몰두하였다. 평생을 학문에 바쳐 수천 명의 제자를 거느리는 일대 학파를 형성하였다. 訓詁學‧經學의 시조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周易≫, ≪尙書≫, ≪毛詩≫, ≪周禮≫, ≪儀禮≫, ≪禮記≫, ≪論語≫, ≪孝經≫ 등을 주석하였다. 송나라 때 高密伯에 봉해졌다.
역주118 范寗 : 339~401. 동진의 학자이며, 자는 武子이다. 孝武帝 때 中書侍郞이 되었으나, 지방관으로 좌천되었다. 이때 학교를 세우고 경학에 힘썼다. ≪春秋穀梁傳≫의 집해를 저술하였다. 송나라 때 新野伯에 봉해졌다.
역주119 司馬光 : 1019~1086. 북송의 학자이다. 자는 君實이며, 호는 迂夫‧迂叟, 시호는 文正이다. 山西 涑水 출신이다. 20세에 진사가 되고, 翰林學士‧樞密副使를 역임하였다. 1084년 편년체 역사서인 ≪資治通鑑≫을 완성하였다. 철종 즉위 후 재상이 되어 구법당의 수령으로 활약하였다. ≪涑水紀聞≫, ≪司馬文正公集≫ 등을 남겼다. 죽은 후 溫國公에 봉해졌다.
역주120 羅從彦 : 1072~1135. 북송의 학자이다. 자는 仲素, 시호는 文質이며, 豫章先生이라 불린다. 福建 南劍 출신이다. 楊時의 가르침을 받았고, 李侗에게 전수하였다. 1130년 博羅 主簿로 임명되었으나, 퇴직한 후 羅浮山에 들어가 학문에 정진하였다. ≪豫章文集≫, ≪遵堯錄≫ 등을 남겼다. 명나라 신종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121 李侗 : 1093~1163. 남송의 학자이다. 자는 愿仲, 호는 延平, 시호는 文靖이며, 연평선생이라 불린다. 福建 劍浦 출신이다. 나종언에게 程子의 理學을 배웠다. 楊時, 羅從彦과 함께 ‘劍南三先生’으로 불렸다. 그의 문하에서 朱熹와 羅博文, 劉嘉 등이 배출됨으로써 二程의 학문이 주희에게 이어지는 교량적 역할을 했다. ≪李延平集≫을 남겼다. 명나라 신종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122 呂祖謙 : 1137~1181. 남송의 학자이다. 자는 伯恭, 호는 東萊先生이며, 婺州 金華 출신이다. 林之奇와 汪應辰 등에게 학문을 배웠고, 주희, 장식 등과 교유하였다. 著作郞 겸 國史院編修官을 거쳐 ≪徽宗實錄≫ 중수에 참여하고, ≪皇朝文鑑≫을 편찬, 간행했다. ≪東萊博議≫, ≪呂東萊先生文集≫ 등을 남겼으며, 주희와 함께 ≪近思錄≫을 저술하였다. 원나라 인종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123 蔡沈 : 1167~1230. 남송의 학자이다. 자는 仲默, 호는 九峰先生, 시호는 文正이다. 蔡元定의 둘째 아들로, 젊어 가학을 이었고, 朱熹에게 배웠다. 아버지를 따라 道州로 유배를 갔다가 아버지가 죽은 뒤 九峰에 은거하면서 주희의 명령으로 ≪尙書≫에 주를 달아, ≪書集傳≫을 완성했다. ≪洪範皇極≫, ≪蔡九峰筮法≫ 등을 남겼다. 명나라 헌종 때 崇安伯에 봉해졌다.
역주124 주자의 사위이다 : 전거 미상. 黃幹에 관한 것을 잘못 기술한 것으로 추정된다.
역주125 許衡 : 1209~1281. 원나라 때 학자이다. 자는 仲平, 호는 魯齋, 시호는 文正이며, 懷孟 河內 출신이다. 蘇門에 살면서 姚樞와 함께 강습하면서 도학을 실천하였다. 憲宗 4년 忽必烈의 초빙으로 京兆提學과 國子祭酒 등의 요직을 맡았다. 集賢殿大學士‧領太史院事 등을 역임하였다. ≪讀易私言≫, ≪魯齋心法≫, ≪魯齋遺書≫, ≪許魯齋集≫ 등을 남겼다. 원나라 인종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126 崔致遠 : 857~? 본관은 경주, 자는 孤雲‧海雲이며, 6두품 출신이다. 12세 때 唐나라에 유학을 떠나, 18세의 나이로 賓貢科에 합격하였다. 876년 당나라의 宣州 漂水縣尉가 되었고, 877년 淮南節度使 高騈의 추천으로 館驛巡官이 되었다. 879년 黃巢가 반란을 일으키자 4년간 고변의 군막에서 表‧狀‧書啓‧檄文 등을 제작하는 일을 맡게 되었다. 그 공적으로 承務郞殿中侍御史內供奉으로 都統巡官에 승차되었다. 당시 지은 〈討黃巢檄文〉을 통해 文名을 날렸다. 신라에 돌아온 뒤에 憲康王에 의해 侍讀兼翰林學士에 임명되었다. 진성여왕에게 時務策을 올리는 등 정치를 개혁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마침내 관직을 버리고 은거하였다. 저술로 ≪桂苑筆耕≫ 등이 있다. 고려 현종 때 文昌候에 봉해지고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127 鄭夢周 : 1337~1392. 본관은 迎日, 자는 達可, 호는 圃隱, 시호는 文忠이다. 1360년 문과에 장원급제해 1362년 예문관 검열이 되었다. 成均館大司成‧政堂文學‧藝文館大提學 등을 역임하였다. 1372년 명나라에 書狀官으로서 다녀왔으며, 1378년 왜구 단속을 위해 일본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하였다. 이후에도 외교적 수완을 발휘하여 성과를 올렸다. 당시 풍속이 모든 喪祭에 불교의식을 숭상했는데, 士庶로 하여금 ≪朱子家禮≫에 의해 사당을 세우고 신주를 만들어 제사를 받들게 하도록 하였다. 서울에는 五部學堂을 세우고 지방에는 향교를 두어 교육의 진흥을 꾀하였다. 義倉을 세워 궁핍한 사람을 구제하고, 水站을 설치해 漕運을 편리하게 하는 등 기울어져가는 국운을 바로잡고자 노력하였다. 이성계의 위망이 날로 높아져 그를 추대하려는 책모가 있음을 알고 이들을 제거하려 하였으나, 결국 이들에 의해 살해되었다. 문집으로 ≪포은집≫이 전한다. 태종 때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중종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128 鄭汝昌 : 1450~1504. 본관은 河東, 자는 伯勗, 호는 一蠹‧睡翁이며, 시호는 文獻이다. 김굉필과 함께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서거정이 그를 경연에서 진강하게 하려 했으나 나가지 않았다. 1483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8월에는 理學으로 추천되었다. 1490년 효행과 학식으로 추천되어 昭格署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자식의 직분을 들어 사양하였다. 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예문관 검열을 거쳐 侍講院說書가 되었다. 戊午史禍로 인해 유배되었다가 배소에서 죽었고, 甲子士禍 때 부관참시 되었다. 저서로 ≪一蠹集≫이 있다. 중종 때 우의정에 추증되었고, 광해군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129 李彦迪 : 1491~1553. 본관은 驪江, 자는 復古, 호는 晦齋‧紫溪翁, 시호는 文元이다. 1514년 문과에 급제하여, 吏曹正郞‧司憲府掌令‧弘文館校理‧應敎‧吏曹判書‧左贊成 등을 역임하였다. 乙巳士禍 때는 判義禁府事의 중책을 맡아 사림의 희생을 막으려고 노력하다가 결국 사화로 화를 입게 되었다. 주희의 주리론적 입장을 정통으로 확립하여 이황에게 영향을 주었다. 1547년 양재역 벽서사건으로 유배되었다. 배소에서도 학문에 전념하다가 죽었다. 1556년 복권되었고, 1567년 왕이 내탕금을 내려 그의 문집을 간행하도록 하였다. 저서로, ≪求仁錄≫, ≪大學章句補遺≫, ≪中庸九經衍義≫, ≪奉先雜儀≫ 등이 있다. 광해군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130 金麟厚 : 1510~1560. 본관은 蔚山, 자는 厚之, 호는 河西‧湛齋, 시호는 文正이다. 김안국에게 ≪小學≫을 배웠다. 1540년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弘文館博士兼世子侍講院說書‧弘文館副修撰 등을 역임하였고, 부모의 봉양을 위해 玉果縣監으로 나가기도 했다. 乙巳士禍가 일어나자 병을 이유로 고향인 장성에 돌아가 죽을 때까지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다. 기대승 등의 학문 형성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저서로는 ≪河西集≫, ≪周易觀象篇≫, ≪西銘事天圖≫, ≪百聯抄解≫ 등이 있다. 정조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131 成渾 : 1535~1598. 본관은 昌寧, 자는 浩原, 호는 默庵‧牛溪, 시호는 文簡이다. 1551년에 생원‧진사의 兩場 초시에는 모두 합격했으나 복시에 응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白仁傑의 문하에서 배웠고, 1554년에는 같은 고을의 李珥와 교유하였다. 이이와 9차례 서신을 주고받으며 四七理氣說을 논하였다. 1581년 왕의 경연에 출입하도록 명을 받고, 이듬해 吏曹參判에 제수되었다. 임진왜란 때 세자를 보필하여 군무를 도왔으며 해주에서 중전을 호위하였다. 왜와의 許和를 옹호하다가 선조의 미움을 받고, 1594년 乞骸疏를 올리고 이듬해 고향으로 돌아가 학문에 전념하다가 여생을 마쳤다. 저서로 ≪牛溪集≫, ≪朱門旨訣≫, ≪爲學之方≫ 등이 있다. 1602년 기축옥사로 인해 삭탈관직 되었다가 인조 때 복권되어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숙종 때 이이와 함께 문묘에 종사되었다. 1689년에 한때 출향되었으나 1694년에 다시 陞廡되었다.
역주132 宋時烈 : 1607~1689. 본관은 恩津, 자는 英甫, 호는 尤菴‧尤齋, 시호는 文正이다. 김장생에게 성리학과 예학을 배웠고, 김장생 사후 김장생의 아들 김집 문하에서 배웠다. 1635년에는 봉림대군의 師傅로 임명되어, 이후로 효종과 깊은 유대를 맺는 계기가 되었다. 병자호란으로 인한 좌절감 속에서 낙향하여 10여 년간 학문에만 몰두하였다. 효종 즉위 후 世子侍講院進善‧吏曹判書‧左議政 등을 역임하였고, 북벌 계획의 중심인물로 활약하였다. 효종 사후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현종 때 여러 차례 초빙이 있었으나 재야에 머물렀으나 막대한 정치력을 행사하였다. 제2차 예송논쟁에 패하여 유배되었다가 1680년 경신환국 때 풀려났다. 1689년 기사환국 때 유배되었다가 서울로 압송되어 오는 도중 정읍에서 사약을 받고 죽었다. 1694년 갑술환국 때 신원되었다. 정치적으로 노론의 영수로 활약하였고, 학문적으로 조광조, 이이, 김장생으로 이어진 조선 기호학파의 학통을 계승, 발전시킨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주자학에 전심하여, ≪朱子大全箚疑≫, ≪朱子語類小分≫ 등의 저술을 남겼다. 영조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133 朴世采 : 1631~1695. 본관은 潘南, 자는 和叔, 호는 玄石‧南溪, 시호는 文純이다. 1649년 진사가 되어 성균관에 들어갔다. 1650년 이이‧성혼의 문묘종사에 대해, 영남유생이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자, 그 상소의 부당함에 대해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그러나 이에 대한 효종의 비답에 실망하여, 과거공부를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1651년 金尙憲과 金集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659년 천거로 翊衛司洗馬가 되었다. 자의대비 복상 문제 때 송시열과 송준길의 기년설을 지지하였다. 1674년 남인이 집권하자 관직을 삭탈 당하고 유배생활을 하였다. 1680년 경신환국 때 다시 등용되어 司憲府執義‧大司憲‧吏曹判書‧右參贊 등을 역임하였고, 1689년 기사환국 때에 재야로 물러나 右議政‧左議政을 두루 거치며 소론의 영수 역할을 하였다. ≪範學全編≫, ≪詩經要義≫, ≪春秋補編≫, ≪大學補遺辨≫, ≪心經要解≫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특히 예학에 큰 업적을 남겨, ≪南溪先生禮說≫‧≪六禮疑輯≫ 등에서 예학의 새 국면을 개척하였다. 영조 때 문묘에 종사되었다.
역주134 (牟平侯)[枝江侯] : 底本에는 ‘牟平侯’로 되어 있으나, ≪宋史≫에 의거하여 ‘枝江侯’로 바로잡았다. ‘牟平侯’는 公良孺의 봉작이다.
역주135 子旗 : ≪史記≫에 의거하였을 때, ‘子旗’는 ‘子祈’의 오기인 듯하다.
역주136 (侯)[伯] : 底本에는 ‘侯’로 되어 있으나, ≪宋史≫에 의거하여 ‘伯’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37 [考城伯] : 底本에는 누락되어 있으나, ≪宋史≫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
역주138 (士)[子] : 底本에는 ‘士’로 되어 있으나, ≪宋史≫에 의거하여 ‘子’로 바로잡았다.
역주139 (平仲)[仲平] : 底本에는 ‘平仲’으로 되어 있으나, ≪元史≫에 의거하여 ‘仲平’으로 바로잡았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