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孔子在衛 聞齊國田常 將欲爲亂注+夫子在衛國 聞齊人田常 專政有無君之心이라호대 而憚鮑晏注+鮑氏晏氏 齊之卿大夫 田常畏之하여 因欲移其兵하여 以伐魯注+遂欲用兵以伐魯國이라하고
孔子會諸弟子하여 而告之曰注+夫子會合衆弟子하여 與之言이라 父母之國이니 不可不救注+ 乃父母之邦이니 當救其難이라 今吾欲屈節於田常하여 以救魯注+今我欲屈己於田常하여 以救魯難이라하노니 二三子誰爲使注+使 去聲이라注+衆弟子誰能爲使
子貢請使어늘 夫子許之注+子貢請爲使한대 夫子許其往이라하다 遂如齊注+子貢乃往齊國이라하여注+이라田常曰 今子欲收功於魯하니 實難注+子貢謂田常言 今子欲伐魯하여 以取功하니 此事實難이라이라 不若移兵於吳則易注+不若徙兵以伐吳國하니 其事則易리라
田常不悅注+田常聞子貢之言而不悅이라한대 子貢曰 夫憂在內者 攻彊하고 憂在外者 攻弱注+子貢言 所憂在內者則攻強國하고 在外則功弱國이라하나니라
田常曰 善注+田常善其言이라하다 然兵甲已加魯矣注+然而兵甲已及於魯地로다 子貢曰 緩師注+子貢言 但緩其師行이라하라 吾請救於吳하여 令救魯而伐齊하리니 子因以兵迎之注+我請往吳國하여 使救魯伐齊하리니 子因以兵伐之하라한대 田常許諾注+田常從子貢言이라하다


37-2 공자가 나라에 있을 때 나라 이 장차 난리를 일으키려고 하다가注+부자가 위나라에 있을 때 제나라 사람 전상이 정사를 독단하고 임금을 무시하는 마음이 있었던 것이다. 의 세력을 두려워하여注+포씨와 안씨는 제나라의 卿大夫인데 전상이 이들의 세력을 두려워한 것이다. 이로 인해 군사를 보내서 노나라를 치려고 한다는 소식을 들었다.注+마침내 군사를 일으켜 노나라를 치려고 한다는 소식을 들은 것이다.
공자가 제자들을 모아 놓고 말하였다.注+부자가 제자들을 모아 놓고 그들에게 말한 것이다. “노나라는 부모의 나라이니 구원하지 않을 수 없다.注+노나라는 바로 부모의 나라이니 마땅히 그 난리를 구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내가 전상에게 절개를 굽혀 노나라를 구원하려고 하는데注+지금 나는 전상에게 나의 절개를 굽혀 노나라에 닥칠 난리를 구원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그대들 중에 누가 사신으로 가겠는가?”注+頭註:使(사신 가다)는 거성이다.注+제자들 중에 누가 사신으로 가겠느냐는 것이다.
자공이 사신으로 가기를 청하자 부자가 허락하였다.注+자공이 사신으로 가기를 청하자 부자가 가도록 허락한 것이다. 마침내 제나라에 가서注+자공이 이에 제나라에 간 것이다. 전상에게 다음과 같이 유세하였다.注+頭註:(유세하다)는 의 반절이다. “지금 그대가 노나라를 쳐서 공을 거두고자 하니 이 일은 실로 어렵습니다.注+자공이 전상에게 말하기를 “지금 그대가 노나라를 쳐서 공을 거두고자 하니 이 일은 실로 어렵습니다.”라고 한 것이다. 차라리 오나라로 군사를 옮기는 것이 나으니 이 일은 쉽습니다.”注+차라리 군사를 옮겨 오나라를 치는 것이 나으니 이 일은 쉽다고 한 것이다.
전상이 기뻐하지 않자注+전상이 자공의 말을 듣고 기뻐하지 않은 것이다. 자공이 말하였다. “우환이 국내에 있는 경우에는 강한 나라를 공격하고, 우환이 국외에 있는 경우에는 약한 나라를 공격하는 법입니다.”注+자공이 말하기를 “우환이 국내에 있는 경우에는 강한 나라를 공격하고 국외에 있는 경우에는 약한 나라를 공격하는 법입니다.”라고 한 것이다.
전상이 말하였다. “좋다.注+전상이 그 말을 훌륭하게 여긴 것이다. 그러나 군대가 이미 노나라에 이르렀다.”注+하지만 군대가 이미 노나라 땅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자공이 대답하였다. “행군을 늦추십시오.注+자공이 말하기를 “행군을 늦춰주기만 하십시오.”라고 한 것이다. 내가 오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여 오나라로 하여금 노나라를 구원하고 제나라를 치게 할 것이니, 그대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오나라를 요격하십시오.”注+내가 오나라에 가서 오나라로 하여금 노나라를 구원하고 제나라를 치게 할 것이니, 그대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군사를 거느리고서 오나라를 치라는 것이다. 전상이 허락하였다.注+전상이 자공의 말대로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田常 : 춘추시대 제나라의 權臣인 대부 陳恒으로, 齊 簡公을 시해하고 平公을 옹립하였다. ≪論語≫ 〈憲問〉에 “진성자가 〈자신의 임금인〉 간공을 시해하자, 공자가 목욕을 하고 조정에 나아가 哀公에게 고하기를 ‘진항이 자기 임금을 시해하였으니 토벌하소서.’라고 하였다.[陳成子 弒簡公 孔子沐浴而朝 告於哀公曰 陳恒弒其君 請討之]”라고 한 내용이 보인다.
역주2 鮑氏와 晏氏 : 제나라의 權臣이다. ≪史記≫ 〈仲尼弟子列傳〉에는 “高氏, 國氏, 鮑氏, 晏氏를 두려워하였다.[憚高國鮑晏]”라고 되어 있다.
역주3 (說)[銳] : 저본에는 ‘說’로 되어 있으나, 江陵本과 慶長本에 의거하여 ‘銳’로 바로잡았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