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七十二弟子解 第三十八注+孔門弟子 升堂入室者 七十二人이라 故以此名篇하니라
顔回 魯人이요 字子淵이라 年二十九而髮白하고 三十一早死注+顔回少亡이라
孔子曰 自吾有回 門人日益親注+夫子得回하여 而弟子日相親이라이라하다 回以德行注+ 去聲이라著名하고 孔子稱其仁焉注+回有德行하여 孔子稱爲仁人이라이라
○閔損이라 魯人이요 字子騫이라 以德行著名하고 孔子稱其孝焉注+孔子稱美其孝이라
○冉耕이라 魯人이요 字伯牛 以德行著名이라 有惡疾이어늘 孔子曰命也夫注+耕有癩疾이어늘 夫子曰 皆汝命也라하니라
○冉雍이라 字仲弓이요 伯牛之宗族注+伯牛族人之子이라 生於不肖之父 以德行著名注+仲弓之父不賢이로대 生子有德行이라이라
○宰予 字子我 魯人이라 有口才하고 以言語著名注+以口辨得名이라이라
○端木賜 字子貢이요 衛人이라 有口才著名이라
○冉求 字子有 仲弓之族이라 有才藝하고 以政事著名이라
○仲由 弁人이요 字子路 有勇力才藝하고 以政事著名이라
○言偃이라 魯人이요 字子遊 以文學著名이라
○卜商이라 衛人이요 字子夏 以文學著名이라
○顓孫師 陳人이요 字子張이라 有容貌姿質하고이라
○曾參이라 南武城人이요 字子輿 志存孝道 孔子因之以作孝經注+孝經 因曾子而作이라하다
○澹注+ 音談이라臺滅明이라 武城人이요 字子羽 有君子之姿하고 爲人公正無私
○高柴 齊人이요 字子羔 爲人篤學而有法이라
○宓不齊 魯人이요 字子賤이라 爲單注+ 音善이라父宰하여 有才智仁愛하여 百姓不忍欺
○樊須 魯人이요 字子遲 弱仕於季氏
○有若이라 魯人이요 字子有 爲人彊識注+ 音志好古道
○公西赤이라 魯人이요 字子華 束帶立朝하여 閑賓客之儀
○原憲이라 宋人이요 字子思 淸靜守節하고 貧而樂道
○公冶長이라 이요 字子長이라 爲人能忍恥 孔子以女妻注+ 去聲이라
○南宮韜 魯人이요 字子容이라 以智自將하여 世淸不廢하고 世濁不洿 孔子以兄子妻之
齊人이요이라 未嘗屈節人臣이라 孔子貴之
○曾點이라 曾參父 字子晳이라 禮敎不行하여 欲修之하니 孔子善焉하다 論語所謂浴乎沂하고 風乎舞雩之下
○顔由 顔回父 字季路 孔子始敎學於闕里할새 而受學이라
○商瞿 魯人이요 字子木이라 好易이라 孔子傳之하여 志焉이라
○漆雕開 蔡人이요 字子若이라 習尙書하고 不樂仕
○公良孺 陳人이요 字子正이라 賢而有勇이라
○秦商이라 魯人이요 字不慈
○顔刻이라 魯人이요 字子驕
○司馬黎耕이라 宋人이요 字子牛 爲性躁好言語 見兄桓魋注+ 徒回切이라行惡하고 牛常憂之
○巫馬期 陳人이요 字子期
○梁鱣이라 齊人이요 字叔魚
○琴牢 衛人이라 字子開 一字張이라
○冉儒 魯人이요 字子魚
○顔辛이라 魯人이요 字子柳
○伯虔이라 字楷
○公孫寵이라 衛人이요 字子石이라
○曹䘏이라
○陳亢이라 陳人이라 字子亢注+ 音剛이라이요 一字子禽이라
○叔仲會 魯人이요 字子期
○秦祖 字子南이라
○奚蒧이라 字子偕
○公祖玆 字子之
○廉潔이라 字子曹
○公西與 字子上이라
○宰父黑이라 字子黑이라
○公西減이라 字子尙이라
○穰駟赤이라 字子從이라
○冉季 字子産이라
○薛邦이라 字子從이라
○石處 字里之
○懸亶이라 字子象이라
○左郢이라 字子行이라
○狄黑이라 字哲之
○商澤이라 字子秀
○任不齊 字子選이라
○榮祈 字子祺
○顔噲注+ 苦怪切이라 字子聲이라
○原桃 字子
○公肩이라 字子仲이라
○秦非 字子之
○漆雕從이라 字子文이라
○燕級이라 字子思
○公夏守 字子乘이라
○勾井疆이라
○步叔乘이라 字子車
○石이라 字子明이라
○邽選이라 字子飮이라
○施之常이라
○申績이라 字子周
○樂欣이라 字子聲이라
○顔之僕이라 字子叔이라
○孔弗이라 字子蔑注+孔子兄之子이라
○漆雕侈 字子歛이라
○懸成이라 字子橫이라
○顔相이라 字子襄이라
○右七十二弟子 皆升堂入室者


제38편 72제자에 대한 해설注+孔門의 제자 중에 升堂入室한 자가 72인이기 때문에 이렇게 편명을 붙인 것이다.
孔門의 제자 72인의 德行言論을 기술한 편이기에, 편명을 ‘七十二弟子解’로 삼았다. 하지만 실제로는 76인의 제자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 편은 ≪史記≫ 〈仲尼弟子列傳〉과 함께 공문 제자들을 연구하는 기본 자료가 된다. ≪論語≫ 〈先進〉에 “덕행에는 顔淵, 閔子騫, 冉伯牛, 仲弓이고, 언어에는 宰我, 子貢이며, 정사에는 冉有, 季路이고, 문학에는 子遊, 子夏이다.”라고 하여, 이들 10명을 특히 아끼는 제자로 꼽았다. ≪孔子家語≫와 ≪史記≫에서도 이들 10명을 제일 첫 머리에 적고 있는데 순서가 조금 다르다.
顔回:나라 사람이고 子淵이다. 29세에 머리가 세었고 31세에 요절하였다.注+ 안회는 젊어서 죽은 것이다.
顔回顔回
공자는 “내가 안회를 얻은 뒤로 門人들이 날로 더욱 서로 친해졌다.”注+부자가 안회를 얻고서부터 제자들이 날로 서로 친해진 것이다.라고 하였다.
안회는 德行으로 이름이 났고,注+ 頭註:(행실)은 거성이다. 공자가 그의 을 칭찬하였다.
注+안회가 덕행이 있어 공자가 仁人이라고 칭찬한 것이다.
閔損:노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騫이다. 덕행으로 이름이 났고, 注+공자가 그의 효를 칭찬한 것이다.
閔損閔損
冉耕:노나라 사람이고 자는 伯牛이다. 덕행으로 이름이 났다.
惡疾(불치병)에 걸리자 공자가 “운명이구나!”注+염경이 문둥병에 걸리자 부자가 말하기를 “모두 너의 운명이다.”라고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冉耕冉耕
冉雍:자는 仲弓이고 伯牛宗族이다.注+염백우 族人의 아들이다. 注+ 중궁의 아버지는 현명하지 못하였지만 낳은 아들은 덕행이 있었던 것이다.
冉雍冉雍
宰予:자는 子我이고 노나라 사람이다. 말재주가 있었고 注+口辯으로 명성을 얻은 것이다.
宰予宰予
端木賜:자는 子貢이고 나라 사람이다.
端木賜端木賜
冉求:자는 子有이고 중궁의 친족이다.
仲由: 땅 사람이고 자는 子路이다.
言偃:노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遊이다.
卜商:위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夏이다. 문학으로 이름이 났다.
顓孫師: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張이다. 용모와 자질이 뛰어나고 성품이 관대하고 온화하였다.
曾參:南武城 사람이고 자는 子輿이다. 뜻이 효도에 있었으므로 공자가 이로 인하여 ≪孝經≫을 짓게 하였다.注+≪효경≫은 증자를 통해 지어졌다.
注+頭註:(맑다)은 이다.臺滅明:武城 땅 사람이고 자는 子羽이다.
澹臺滅明澹臺滅明
高柴: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羔이다. 사람됨이 독실하게 배우고 법도가 있었다.
宓不齊(복부제):노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賤이다.
單父(선보)의注+頭註:(고을 이름)은 이다. 가 되어 才智仁愛가 있었으므로 백성들이 차마 속이지 못하였다.
樊須:노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遲이다. 弱冠의 나이에 季氏에게서 벼슬하였다.
有若:노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有이다. 사람됨이 注+頭註:(기억하다)는 이다. 옛날의 도를 좋아하였다.
公西赤:노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華이다.
公冶長:노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張이다. 注+頭註:(시집보내다)는 거성이다.
曾點:曾參의 아버지로, 자는 子晳이다. 禮敎가 행해지지 않아 이를 정비하려고 하였으므로 공자가 훌륭하게 여겼다. ≪論語≫에 라고 말한 사람이다.
顔由:顔回의 아버지이니 자는 季路이다. 공자가 에서 처음 학문을 가르칠 때에 수학하였다.
漆雕開: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若이다. ≪尙書≫를 잘 알았고,
公良孺: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正이다. 현명하면서도 용맹하였다.
秦商:노나라 사람이고 자는 不慈이다.
顔刻:노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驕이다.
司馬黎耕:송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牛이다.
형인 桓魋注+頭註:(사람 이름)는 의 반절이다. 악행을 저지르는 것을 보고 자우가 늘 근심하였다.
巫馬期: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期이다.
梁鱣(양전):나라 사람이고 자는 叔魚이다.
琴牢:나라 사람이다. 자는 子開이고 다른 자는 이다.
冉儒: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魚이다.
顔辛: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柳이다.
伯虔:이다.
公孫寵: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石이다.
陳亢(진항):나라 사람이다. 자는 子亢이고注+頭註:(높다)은 이다. 다른 자는 子禽이다.
叔仲會:나라 사람이고 자는 子期이다.
秦祖:자는 子南이다.
奚蒧(해점):자는 子偕이다.
公祖玆:자는 子之이다.
廉潔:자는 子曹이다.
公西與:자는 子上이다.
宰父黑:자는 子黑이다.
公西減:자는 子尙이다.
穰駟赤:자는 子從이다.
冉季:자는 子産이다.
薛邦:자는 子從이다.
石處:자는 里之이다.
懸亶(현단):자는 子象이다.
左郢:자는 子行이다.
狄黑:자는 哲之이다.
商澤:자는 子秀이다.
任不齊:자는 子選이다.
榮祈:자는 子祺이다.
顔噲(안쾌)注+頭註:의 반절이다.:자는 子聲이다.
原桃:자는 子藉이다.
公肩:자는 子仲이다.
秦非:자는 子之이다.
漆雕從:자는 子文이다.
燕級:자는 子思이다.
公夏守:자는 子乘이다.
步叔乘:자는 子車이다.
石字蜀:자는 子明이다.
邽選:자는 子飮이다.
申績:자는 子周이다.
樂欣:자는 子聲이다.
顔之僕:자는 子叔이다.
孔弗:자는 子蔑이다.注+공자 형의 아들이다.
漆雕侈:자는 子歛이다.
懸成:자는 子橫이다.
顔相:자는 子襄이다.
○위 72제자는 모두 승당입실한 자이다.


역주
역주1 38-1 : 저본의 표제에 “증점이 沂水에서 목욕하다.[曾點浴沂]”라고 되어 있다.
역주2 안회는……칭찬하였다 : 공자가 문하의 제자들을 두고 “덕행엔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이다.[德行 顔淵 閔子騫 冉伯牛 仲弓]”라고 하였고, 공자가 안회에 대해서 “그 마음이 석 달 동안이나 仁을 어기지 않았다.[其心三月不違仁]”라고 하였다.(≪論語≫ 〈先進〉, 〈雍也〉)
역주3 공자가……칭찬하였다 : 공자가 민자건에 대해서 “효성스럽다 민자건이여! 남들이 그의 부모나 형제가 칭찬하는 말에 트집 잡지 못하는구나.[孝哉閔子騫 人不間於其父母昆弟之言]”라고 하였다.(≪論語≫ 〈先進〉)
역주4 惡疾(불치병)에……하였다 : 염백우가 병에 걸리자, 공자가 문병할 때 남쪽 창문으로부터 그의 손을 잡고 말하기를, “이런 병에 걸릴 리가 없는데, 운명인가 보다. 이런 사람이 이런 병에 걸리다니![亡之 命矣夫 斯人也而有斯疾也]”라고 하였다.(≪論語≫ 〈雍也〉)
역주5 不肖한……났다 : 중궁의 부친은 출신이 미천하고 행실이 좋지 않았는데, 공자가 중궁을 두고 “얼룩소의 새끼가 털이 붉고 뿔이 반듯하면 비록 제사 희생으로 쓰지 않고자 하더라도 산천의 신이 버려두겠는가.[犁牛之子 騂且角 雖欲勿用 山川其舍諸]”라고 하였다.(≪論語≫ 〈雍也〉)
역주6 언어로……났다 : 공자가 문하의 제자들을 두고 “언어엔 재아와 자공이다.[言語 宰我 子貢]”라고 하였다.(≪論語≫ 〈先進〉)
역주7 말재주로……났다 : 자공은 말을 잘하여 교묘하게 꾸몄는데 공자가 항상 그의 변설을 꾸짖었다.(≪史記≫ 卷67 〈仲尼弟子列傳〉)
역주8 才藝가……났다 : 季康子가 공자에게 염구가 정사에 참여할 만한 능력이 있는지 묻자, 공자가 “구(염구)는 재예가 있으니 정사에 참여하는 데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求也藝 於從政乎何有]”라고 하였고, 공자가 “정사엔 염유와 계로이다.[政事 冉有 季路]”라고 하였다.(≪論語≫ 〈雍也〉, 〈先進〉)
역주9 勇力과……났다 : 공자가 “유(자로)는 과감하니 정사에 참여하는 데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由也果 於從政乎何有]”라고 하였고, 또 공자가 자로에게 말하기를 “유는 용맹을 좋아함이 나보다 나으나, 사리를 헤아려 의리에 맞게 하지는 못한다.[由也 好勇過我 無所取材]”라고 하였고, 공자가 “정사엔 염유와 계로이다.[政事 冉有 季路]”라고 하였다.(≪論語≫ 〈公冶長〉, 〈雍也〉, 〈先進〉)
역주10 문학으로……났다 : 공자가 “문학엔 자유와 자하이다.[文學 子遊 子夏]”라고 하였다.(≪論語≫ 〈先進〉)
역주11 : 慶長本에는 ‘重’으로 되어 있다.
역주12 군자다운……있었고 : ≪史記≫ 〈仲尼弟子列傳〉에는 “담대멸명의 얼굴이 매우 추해서 공자에게 처음 가르침을 받으러 왔을 때 공자가 재주가 없다고 생각하였다.”라고 하였으니, 이 내용과 대비가 된다.
역주13 사람됨이……없었다 : 공자가 자유에게 인물을 얻었느냐고 묻자, 자유가 “담대멸명이라는 자가 있는데, 길을 다닐 적에 지름길로 가지 않고, 공적인 일이 아니면 일찍이 저의 집에 이른 적이 없습니다.[有澹臺滅明者 行不由徑 非公事 未嘗至於偃之室也]”라고 하였다.(≪論語≫ 〈雍也〉)
역주14 單父(선보)의……못하였다 : ≪呂氏春秋≫ 〈察賢〉에 “宓子賤이 單父를 다스릴 적에 琴을 타기만 할 뿐 堂에서 내려가지 않았는데도 선보가 잘 다스려졌다.[宓子賤治單父 彈鳴琴 身不下堂而單父治]”라고 하였다.
역주15 잘 기억하고 : 원문의 ‘彊識’는 ‘強記’와 같은 말로 기억을 잘한다는 말이다.
역주16 관대를……익숙하였다 : 孟武伯이 공서적이 仁한지 묻자 공자가 “관대를 두르고 조정에 서서 빈객과 함께 말하게 할 만하지만 그가 仁한지는 모르겠다.[束帶立於朝 可使與賓客言也 不知其仁也]”라고 대답하였다.(≪論語≫ 〈公冶長〉)
역주17 성품이……즐겼다 : 원헌은 공자가 죽은 뒤 은거하고 지냈는데, 위나라 재상으로 있던 자공이 화려한 복장을 하고 와서 초라한 행색의 원헌을 보고는 부끄러워하며 말하기를 “그대는 어찌하여 이렇게 병들었습니까?” 하니, 원헌이 대답하기를 “제가 듣기로 재물이 없는 것을 가난하다고 하고 道를 배웠으면서도 실천하지 않는 것을 병들었다고 합니다. 저는 가난한 것이지, 병든 것이 아닙니다.”라고 하자 자공이 부끄러워서 돌아갔다고 한다.(≪史記≫ 卷67 〈仲尼弟子列傳〉)
역주18 사람됨이……시집보냈다 : ≪論語≫ 〈公冶長〉에 “공자가 공야장을 평하여 ‘사위 삼을 만하다. 비록 감옥에 갇혀 있지만, 그의 죄가 아니다.’라고 하고는 자기의 딸을 그에게 시집보냈다.[子謂公冶長 可妻也 雖在縲絏之中 非其罪也 以其子妻之]”라고 하였다.
역주19 魯人 : ≪史記≫ 〈仲尼弟子列傳〉에는 ‘齊人’으로 되어 있다.
역주20 지혜로써……시집보냈다 : ≪論語≫ 〈公冶長〉에 “공자가 남용을 평하여 ‘나라에 도가 있을 때는 쫓겨나지 않고 나라에 도가 없을 때는 형벌을 면할 것이다.’라고 하고는 형의 딸을 그에게 시집보냈다.[子謂南容 邦有道不廢 邦無道免於刑戮 以其兄之子妻之]”라고 하였다.
역주21 절개를……여겼다 : 공자가 공석애를 평하여 “천하에 道가 행해지지 않아 대부분 家臣이 되거나 도성에서 벼슬하였지만 季次(공석애)만은 벼슬한 적이 없었다.”라고 하였다.(≪史記≫ 卷67 〈仲尼弟子列傳〉)
역주22 公析哀 : ≪史記≫ 〈仲尼弟子列傳〉에는 ‘公晳哀’로 되어 있다.
역주23 季沈 : ≪史記≫ 〈仲尼弟子列傳〉에는 ‘季次’로 되어 있다.
역주24 沂水……싶다 : ≪論語≫ 〈先進〉에 “너의 포부를 말해보아라.”라는 공자의 질문에 답한 말이다.
역주25 闕里 : 山東省 曲阜縣에 있는 공자의 출생지로, 공자가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다.
역주26 주역을……하였다 : ≪史記≫ 〈仲尼弟子列傳〉에 “공자가 상구에게 ≪周易≫을 전수하였고 상구는 초나라 사람 馯臂子弘(간비자홍)에게 전수하였다.”라고 하였다.
역주27 벼슬하는……않았다 : ≪論語≫ 〈公冶長〉에 “공자가 칠조개에게 벼슬하라고 권하자, 그가 대답하기를 ‘저는 벼슬하는 것에 대해 자신할 수 없습니다.’ 하니, 공자가 기뻐하였다.[子使漆雕開仕 對曰 吾斯之未能信 子說]”라고 하였는데, 程子의 주에 “칠조개가 이미 大意를 보았기 때문에 기뻐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28 성격이……좋아하였다 : ≪論語≫ 〈顔淵〉에 사마우가 仁에 대해 묻자, 공자가 “어진 사람은 말을 신중하게 한다.[仁者 其言也訒]”라고 하였는데, 주희의 주에 “공자가 사마우가 말이 많고 성격이 조급하기 때문에 이렇게 말하여 말을 삼가게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29 형인……근심하였다 : ≪論語≫ 〈顔淵〉에 사마우가 군자에 대해 묻자, 공자가 “군자는 근심하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는다.[君子不憂不懼]”라고 하였는데, 주희의 주에 “형인 司馬向魋, 즉 桓魋가 난리를 일으켜서 그가 늘 근심하고 두려워하였으므로 이렇게 일러준 것이다.”라고 하였다.
역주30 曹䘏(조휼) : ≪史記≫ 〈仲尼弟子列傳〉에는 자가 ‘子魯’라고 되어 있다.
역주31 : 慶長本과 四部叢刊本에는 ‘籍’으로 되어 있다.
역주32 勾井疆 : 四部叢刊本에는 자가 ‘子疆’이라고 되어 있다.
역주33 : 江陵本과 慶長本, 四部叢刊本에는 ‘子’로 되어 있고, ≪史記≫ 〈仲尼弟子列傳〉에는 ‘作’으로 되어 있다.
역주34 施之常 : 시지상의 자는 四部叢刊本에는 ‘子常’으로, ≪史記≫ 〈仲尼弟子列傳〉에는 ‘子恒’으로 되어 있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