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孔子家語(2)

공자가어(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공자가어(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齊太史子與 謂南宮敬叔曰 孔子生於衰周注+太史與敬叔言 夫子生在周末之世하여 先王典籍注+先聖書籍이라 錯亂無紀注+紛錯無統紀어늘 而乃論百家之遺記하여 考正其義注+夫子將百家所存之典하여 考證其義理하여
祖述堯舜注+本述堯舜之道하고 憲章文武注+彰法文王武王이라하며 刪詩述書注+芟去毛詩하여 定爲三百篇하고 纂述尙書하여 爲三十이라하고 定禮理樂注+證定典禮하고 修治惟樂이라하고 制作春秋注+作春秋經이라하고 讚易道注+作十翼等書하여 以明周易之道하여
垂訓後嗣하여 以爲法式注+垂敎後人하여 使爲法式이라하니 其文德著矣注+文德彰明이라 凡所敎誨 束脩已上 三千餘人注+夫子敎弟子 名以束脩禮見者 三千餘人이라이니 或者天將與素王乎注+或者上天欲以夫子爲素王 有德無位曰素 夫何其盛也注+何如此之盛오하니라


나라 太史子與南宮敬叔에게 말하였다. “공자는 주나라가 쇠퇴할 때에 태어나注+태사가 경숙에게 말하기를 “부자는 주나라 말엽에 태어났습니다.”라고 한 것이다. 先王典籍注+先聖의 서적이다. 뒤섞여 체계가 없자注+뒤섞여 체계가 없는 것이다. 百家가 남긴 기록을 가지고 그 뜻을 상고하여 바로잡았습니다.注+부자가 백가가 남긴 전적을 가져다가 그 의리를 考證한 것이다.
그리하여 임금과 임금의 를 근본으로 삼아 서술하고注+요임금과 순임금의 를 근본으로 하여 서술한 것이다. 文王武王을 본받았으며,注+문왕과 무왕을 드러내 본받은 것이다. 注+毛詩≫를 산삭하여 300편으로 정리하고 ≪尙書≫를 찬술하여 32편으로 만든 것이다. 注+典禮를 고증하여 확정하고 을 정리한 것이다. 注+春秋≫의 經文을 지은 것이다. 注+十翼 등의 글을 지어 ≪周易≫의 도를 밝힌 것이다.
이것으로 후세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남겨 法式으로 삼게 하였으니注+후세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남겨 법식으로 삼게 한 것이다.文德이 밝게 드러났습니다.注+文德이 밝게 드러난 것이다. 그가 가르친 사람 중에 로 찾아온 이가 3천여 명이었으니,注+부자가 가르친 제자 중에서 束脩의 예로 찾아뵈었다고 명명할 수 있는 자가 3천여 명이라는 것이다. 혹시 하늘이 장차 素王의 칭호를 주려는 것일까요?注+“아마도 하늘이 부자를 素王으로 삼으려는 것인가.”라고 한 것이다. 덕은 있는데 지위가 없는 것을 ‘’라고 한다. 어찌 그리도 훌륭하단 말입니까.”注+어찌하여 이렇게 훌륭하냐는 것이다.


역주
역주1 39-3 : 저본의 표제에 “堯임금과 舜임금의 道를 근본으로 삼아 서술하고 文王과 武王을 본받다.[祖述堯舜 憲章文武]”라고 되어 있다.
역주2 詩를 刪削하고 : 공자가 고대의 시 3,000여 편에서 중복된 것을 제거하고 禮義에 적용할 만한 것을 305편으로 간추렸다.(≪史記≫ 卷47 〈孔子世家〉)
역주3 書를 찬술하였으며 : 공자가 聖道를 닦고 성인을 드러낼 목적으로 번다한 것을 제거하고 요점만을 간추려 唐虞(요순)시대부터 秦나라와 魯나라 때까지 5대의 역사 총 100편을 찬술하였다.(≪尙書正義≫ 〈尙書正義序〉)
역주4 禮를……정리하였으며 : 공자가 史籍이 번다함을 보고는 읽는 자들의 관점이 같지 않을까 염려하여 禮와 樂을 정리하여 옛 典章을 밝혔다.(≪尙書正義≫ 〈尙書序〉)
역주5 春秋를 짓고 : 노나라에 원래 ≪春秋≫라는 역사책이 있었는데, 공자가 이것을 따라 ≪춘추≫를 지으면서 기록할 만한 것은 그대로 두고 삭제할 만한 것은 삭제하였다.(≪史記≫ 卷47 〈孔子世家〉)
역주6 周易의……밝혔습니다 : 공자가 만년에 ≪周易≫을 좋아하여 〈序卦〉, 〈彖傳〉, 〈繫辭〉, 〈象傳〉, 〈說卦〉, 〈文言〉을 짓고, ≪주역≫을 많이 읽어서 책을 맨 가죽 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고 하였다.(≪史記≫ 卷47 〈孔子世家〉)
역주7 束脩의 禮 : 脯肉 등의 예물을 가지고 처음 스승을 뵙는 예절을 말한다. 脩는 脯이고 束은 10개로, 속수는 가장 값싼 예물이었다. ≪論語≫ 〈述而〉에 “속수 이상을 가지고 와서 執贄의 禮를 행한 자는 내가 한 번도 가르쳐주지 않은 적이 없었다.[自行束脩以上 吾未嘗無誨焉]”라고 한 공자의 말이 나온다.
역주8 : 慶長本에는 ‘三’으로 되어 있다.

공자가어(2) 책은 2020.11.3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